• 제목/요약/키워드: 혈액학적 성상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6가크롬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변화 (Effects of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o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mponents in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 김진영;성기현;임록지;서승아;조영록;김준환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24-130
    • /
    • 2018
  • 본 연구는 넙치 치어(평균 체장 $13.3{\pm}1.6cm$, 평균 체중 $25.6{\pm}3.7g$)를 수중 6가크롬에 10일간 0, 0.5,1.0, $2.0mg\;L^{-1}$의 농도로 노출시켜 독성영향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넙치 hemoglobin과 hematocrit와 같은 혈액학적 성상은 수중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무기성분인 calcium과 magnesium은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무기성분인 glucose와 cholesterol과 같은 $1.0mg\;L^{-1}$ 이상의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total protein은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효소성분인 AST, ALT, ALP는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는 수중 크롬노출은 넙치의 혈액 및 혈장성분에 유의적인 변화를 유발하며, 이러한 지표의 변화는 수중 크롬노출의 독성영향을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한방생약부산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관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y-Products of Herbal Medicine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Broiler Chicks)

  • 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4
    • /
    • 2015
  • 본 연구는 한방생약부산물을 이용한 육계의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해 대조군(CON), HM1(한방생약부산물 0.15%), HM2(한방생약부산물 0.3%) 및 HM3(한방생약부산물 0.5%) 등 4개군에 육계 96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여 생산성,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지표, 면역글로블린 및 백혈구 성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방생약부산물 0.15% 첨가군(HM1)에서 대조군에 비해 육계전기(3~21일령) 사료요구율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었으나, 전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장내 소화물의 E. coli 및 Lactobacili 총 균수에서도 한방생약부산물 급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서는 한방생약부산물 급여 시 AST 및 glucose 수준을 유의하게(p<0.05) 감소시켰다. 면역글로불린(IgG 및 IgA)과 백혈구 감별계수에서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육계에서 0.15~0.3% 수준의 한방생약 부산물 첨가는 육계전기에 사료이용성 및 간 조직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바이오플락 및 일반 해수에서 질산염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미치는 급성 독성 및 혈액학적 성상의 변화 (Lethal Toxicity and Hematological Changes Exposed to Nitrate in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in Biofloc and Seawater)

  • 배선혜;김기욱;김수경;김수경;김종현;김준환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73-379
    • /
    • 2017
  • 본 연구는 넙치 치어 (평균 체장 $19.8{\pm}2.6cm$, 평균 체중 $19.8{\pm}2.6cm$)를 바이오플락에 각 농도별 0, 62.5, 125, 250, 500, 1,000, $1,500mg\;L^{-1}$의 질산염과 일반 해수에 각 농도별 0, 62.5, 125, 250, 500, $1000mg\;L^{-1}$의 질산염을 96시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 및 혈액학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넙치 치어의 반수치사농도 ($96h\;LC_{50}$, 96시간 노출 후 총 개체수의 50%가 폐사하는 농도)는 바이오플락 내의 질산염 노출 실험구에서는 $1,226mg\;NO_3L^{-1}$, 해수에서는 $597mg\;NO_3L^{-1}$ (P<0.05)였으며, 이는 넙치 유생이 높은 질산염에 노출되었을 경우, 같은 농도에서도 바이오플락 사육수 보다 일반 해수에서 생물에 독성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혈액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일반 해수에서 넙치의 hematocrit는 $250mg\;L^{-1}$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낸 반면, 바이오플락에서 넙치의 hematocrit는 $1,000mg\;L^{-1}$의 질산염 노출에서만 대조구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P<0.05). 그러나, hemoglobin은 일반 해수와 바이오플락 모두 질산염 농도 의존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산염 노출에 따른 혈장 효소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혈장 AST와 ALT의 경우, 바이오플락과 일반 해수 모두 각 농도별 질산염 노출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LP의 경우 두 실험구에서 모두 질산염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사육된 넙치가 일반해수에 사육된 넙치에 비해 단기간 질산염 노출에 대한 한계농도 및 혈액학적 성상에서 더 높은 질산염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해수보다 바이오플락 내의 질산염 노출이 상대적으로 생물에게 낮은 독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효과는 양식에 있어 바이오플락을 이용함으로써 잠재적인 질산염 독성 영향을 경감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넙치의 해상(海上)가두리 사육시험(飼育試驗)에 따른 혈액학적(血液學的) 연구(硏究)-I 혈액성상(血液性狀)에 대(對)하여 (Hematological Characterietic of Bastard halibut according to Cultured experiment of Mari-floating netcage- I On the Hematological conditions)

  • 심두생;전임기;정승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8
    • /
    • 1990
  • 1. 1990년(年) 4월(月) 7일(日)부터 1990녀(年) 5월(月) 24일(日)까지 대조구(對照區)의 해상(海上)가두리 시설별(施設別)로 양식(養殖)넙치의 혈액성(血液性) 상지수(狀指數)를 측정(測定)하였다. 2. 대조구(對照區)의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는 적혈구수(赤血球數) $289{\pm}61{\times}10^4/mm^3$, 헤모글로빈양(量) $4.8{\pm}0.9g/dl$, 상대적혈구(相對赤血球) 용적(容積) $22{\pm}6%$, 평균(平均)헤모글로빈농도(濃度) $22.7{\pm}4.0%$, 평균(平均)헤모글로빈양(量) $16.9{\pm}3.3pg$ 및 평균적혈구용적(平均赤血球容積) $77{\pm}19{\mu}m^3$를 나타내었다. 3. 대조구(對照區)의 헤모글로빈양(量)과 상대적혈구용적(相對赤血球容積)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r=0.805, p<0.01로 양자(兩者)는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적혈구용적(平均赤血球容積)과 평균적혈구(平均赤血球)헤모글로빈양(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도 r=0.696, p<0.05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시험구별(試驗區別)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에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여 적혈구수(赤血球數)의 경우는 PVC시험구(試驗區)가 이송(移送) 후(後) 21일(日)만에 $293{\pm}57{\times}10^4/mm^3$로 회복(回復)한 후(後) 차츰 저하(低下)되었으며, 네트론시험구(試驗區)의 경우는 21일(日)만에 $286{\pm}42{\times}10^4/mm^3$로 대조구(對照區)의 수치(數値)를 회복(回復)한 후(後) 그 후(後) 약간 저하(低下)되었으나 가장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양(量)의 경우는 이송(移送) 직후(直後)는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상승(上昇)하였다가 그 후(後)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저하(低下)하였으며 그 중(中)에서도 PVC시험구(試驗區)는 이송(移送) 후(後) 21일(日)만에는 상승(上昇)하지 않긴 변동(變動)의 폭(幅)도 적었으며 차츰 안정(安定)된 하강세(下降勢)를 나타내어 45일(日)째에는 $3.9{\pm}6g/dl$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 안정(安定)된 시험구(試驗區)는 네트론시험구(試驗區)이었다. 상대적혈구용적(相對赤血球容積)의 경우도 헤모글로빈양(量)과 마찬가지로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상승(上昇)하였으며 그 후(後) 안정(安定)된 수치(數値)를 나타내는 시험구(試驗區)는 네트론 시험구(試驗區)와 PVC 시험구(試驗區)이었다. 5. 해상(海上)가두리의 각(各) 시설별(施設別)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종합(綜合)한 결과(結果) 지수(指數)의 변동(變動)이 안정(安定)된 시험구(試驗區)는 PVC시험구(試驗區), 네트론시험구(試驗區) 이었으며 그외 시험구(試驗區)들은 변동(變動)의 폭(幅)이 컸었다.

  • PDF

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특성,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과 혈액 내 항산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Querceti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 Immunoglobulin and Blood Antioxidant Activity in Broiler Chicks)

  • 김동욱;홍의철;김지혁;방한태;최지영;지상윤;이왕식;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0
    • /
    • 2015
  •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적 성상, 면역 및 혈액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times}$ Ross 308) 320수를 선별하여 육계초기(0~3주령)와 육계후기(3~5주령)의 35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8처리구(C(-), 대조군; C(+), 항생제 처리군; T1, 비타민 E 20 ppm 처리군; T2, 비타민 E 200 ppm 처리군; T3, quercetin 20 ppm; T4, quercetin 200 ppm; T5, methoxylated quercetin 20 ppm; T6, methoxylated quercetin 200 ppm)를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으로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quercetin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증체량은 quercetin 200 ppm 처리구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혈액 생화학 조성은 creatinine과 BUN이 무항생제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내 immunglobulin인 IgA, IgG 및 IgM 농도는 quercetin이나 methoxylated quercetin 첨가구가 무항생제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내 항산화 인자를 조사한 결과, quercetin 및 methoxylated quercetin 첨가구에 따라 SOD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quercetin 200 ppm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MDA는 무항생제 첨가구에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런 결과들은 사료 내 quercetin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혈액 대사에 효과를 보이며, 최적 수준은 20 ppm 이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Lactobacilli와 Saccharomyces 혼합균주의 대두발효액(Zen) 섭취가 인체의 혈액성상에 미친 영향 (Effect of Soybean Fermentation (Zen) Intake on Human Blood Characteristics of Mixed Lactobacilli and Saccharomyces)

  • 류서원;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28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 대상자에게 12종의 Lactobacillus균주와 4종의 Yeast 혼합 발효용액을 8주간 섭취한 대상자들의 일부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대상자들의 혈액을 채취하여 임상병리학적 혈액 성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백혈구 수의 조사에서는. Zen발효액을 섭취한 실험군의 사전 검사치 평균은 5.73×103 cells/µl, 사후의 평균은 5.37×103 cells/µl로 감소하였으나 차이 값은 유의성은 없었다. 대조군은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Hemoglobin 함량의 조사에서는 Zen-실험군의 섭취전의 평균 수치는 13.58 g/dl이었고, 섭취 후에는 14.77 g/dl이었으며, 유의성이 있게 증가했다. Albumin 함량 조사에서는 Zen-실험군의 섭취전의 평균 수치는 4.33 g/dl이었고, 섭취 후에는 4.36 g/dl이었으나, 유의성은 없이 증가했다. Triglyceride 함량을 조사에서는 Zen-실험군의 사전 측정치 평균은 109.8 mg/dl, 사후의 측정치 평균은 99.93 mg/dl로 9.87 mg/dl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LDL 함량 조사에서는 Zen-실험군의 사전 측정치 평균은 109 mg/dl, 사후의 측정치 평균은 97.87 mg/dl로 나타났으며, 차이 값이 11.13 mg/dl로 유의성이 있게 감소하였다. HDL 함량조사에서는 Zen-실험군은 사전 검사치 평균이 51.4 mg/dl, 사후는 56.87 mg/dl로 나타나 차이 값이 5.47 mg/dl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었다. 결론: Zen발효액을 섭취한 후에는 실험군의 평균치는 백혈구, albumin, triglyceride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hemoglobin, LDL 그리고 HDL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었다. 인체에서 Zen의 섭취가 혈액 성분의 일부 신진대사에는 영향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생리학적 반응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e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조규석;장석우;이유진;강동양;강한승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0-186
    • /
    • 2022
  • 본 연구는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성장, 생존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은 염분 농도 0, 10, 20 및 30‰에서 30일간 실시되었으며 3반복으로 진행되었다. 4주 후 생존율은 0, 10 및 20‰ 실험구에서 87.5% 이상이었으나, 30‰ 실험구는 75%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증중율(Weight gain), 일간 성장률(specific growth rate), 사료효율(feed efficiency), 일간 사료섭식량(daily feed intake), 일간 단백질섭취율(daily protein intake), 단백질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은 10‰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 혈장성분 중 ALT(alanine aminotransferase)는 10, 20 및 30‰ 실험구가 0‰ 실험구에 비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Na+ (sodium)과 Cl- (chloride)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실험기간 중 TP (total protein)과 K+ (potassium)은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연어 치어(11~33 g)의 성장과 생존에 적합한 최적의 염분 농도는 10‰로 보이나, 혈액 성상의 영향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활어수송시 수온, 염분 및 마취제에 의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 반응

  • 허준욱;민병화;이복규;박인석;장영진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3-104
    • /
    • 2003
  • 어류의 양식생산 과정중에는 사육중인 어류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된 종묘의 양식장 운송, 수확한 어류의 소비지 운반 등은 양식과정중 피할 수 없는 작업이다. 어류의 수송 후에는 혈장 corticosteroid, glucose, 전해질, 삼투질 농도, 적혈구수, hematocrit, hemoglobin 등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Chang et al. 2001; Hur et al., 2002, 2003). 스트레스 요인별 연구로는 염분, 수온, 밀도 및 마취제에 관한 것 등이며, 아울러 이들의 복합적인 요인에 대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최소화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류종묘의 수송이나 수확된 어류가 대량으로 수송되고 있으므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와 같은 대량수송 어류의 수송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넙치를 사용하여 염분, 수온 및 마취제에 의한 수송이 스트레스 지표로 알려져 있는 혈액학적 요인, cortisol, glucose, lactic acid 및 삼투질 농도 둥에 나타나는 생리학적 반응을 조사하여, 활어수송 과정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어는 21.2 cm, 97.4 g인 양식 넙치를 사용하여, 수온은 20℃ (natural water temperature, NWT)와 15℃ (cooling water temperature, CWT), 염분은 해수(35‰)와 15‰해수, 마취제(anesthesia, Anes., MS-222)는 50 ppm의 조건으로 혼합한 실험구를 설정하였다. 실험구는 각각 NWT+35‰, CWT+35‰, NWT+15‰, NWT+15‰, NWT+35‰+Anes., CWT+35‰+Anes., NWT+15‰+Anes. 및 CWT+15‰+Anes.의 8개 실험구를 2반복으로 설정하여 경북울진∼부산까지 약 400 km (6시간)를 차량수송하였다. 수송용기는 스티로폼상자(66×42×20 cnn)로서, 여기에 해수 3 L와 액화산소를 넣은 비닐봉지에 넙치 8마리씩 수용하여 수송하였다. 혈액의 성상 및 분석항목은 수송전ㆍ후에 채혈하여 비교하였다. 수송전 hematocrit는 22.2±3.8%에서 수송후 NWT+35‰에서 15.3+3.9%, CWT+35‰은 16.7±3.0%, NWT+15‰구에서는 19.2±1.8%로 낮아졌으며, CWT+15‰구는 20.9±3.6%로 수송전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NWT+15‰+Anes.구는 17.8±0.9%, CWT+15‰+Anes.구는 14.5±1.5%로 낮아졌다. Cortisol은 수송전 2.4±0.1 ng/ml로부터 CWT+35‰구는 16.7±12.8 ng/ml, NWT+35‰구는 47.9+19.8 ng/ml, NWT+15‰구는 43.5±13.9 ng/ml, CWT+15‰구는 26.1±8.3 ng/ml, NWT+15‰+Anes.구는 61.7±3.3 ng/ml, CWT+15‰+Anes.구는 86.1±19.0 ng/ml로 높아졌다. Glucose는 수송전 74.2±32.6 mg/dl로부터 NWT+35‰구는 197.9±27.5 mg/dl, CWT+35‰구도 272.1±29.9 mg/dl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Na/sup +/의 수송전 농도는 163.5±0.6 mEq/L로부터 NWT+35‰구와 CWT+35‰구는 각각 175.3±1.2 mEq/L, 190.0±5.0 mEq/L로 높아졌으며, 다른 실험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cortisol과 glucose에서 수송전보다는 모든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나 수온, 염분 및 마취제를 사용하여도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rtisol의 경우, 수온과 염분만을 혼합한 실험구보다 마취제를 혼합한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른 혈액학적 항목에서는 염분과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실험구인 NWT+35‰구와 CWT+35‰구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glucose, Na/sup +/ 및 Cl/sup -/ 등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과산화수소;($H_{2}O_{2}$) 처리 농도가 생리.생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hydrogen peroxide ($H_{2}O_{2}$) treatment level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최미경;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7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H2O2)처리농도에 따른 체내에서의 혈액생리학적 변화, 항산화효소 및 열충격단백질(HSP)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화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H2O2의 실험구는 각각 0(대조구), 100, 300 및 500 ppm으로 설정하였으며, 1시간 약욕처리 후 순환시켜 1, 3 및 5시간 후에 혈액성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2O2 처리에 의한 혈액성상에서의 헤마토크리트 수치인 경우에는 농도 및 시간에 의존하여 유의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있어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적혈구 수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3시간까지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5시간 경과 후에는 이전 대조구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농도는 500 ppm 처리구에서 0시간 및 1시간째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3시간 경과 이후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및 CAT 효소활성은 유의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SP70 단백질량이 대조구에 비해 전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HSP70 mRNA량은 500 ppm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흰쥐에서 가시오가피 발효물의 단회 및 반복투여 독성평가 (Single- and Repeated-dose Toxic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in Rats)

  • 조주현;박인재;백순옥;최수영;최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49-2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가시오가피 영지버섯 발효물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 발효물에 대한 열수추출물을 최고 2 g/kg의 농도로 단회 투여한 SD-rats에 체중 변화, 임상증상 등에서 어떠한 독성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1 g/kg 이하의 농도로 4주간 반복 투여한 SD-rats에서도 체중변화, 임상증상, 장기 무게, 혈액학적 성상, 혈액생화학적 성상 등에서 어떠한 독성과 비정상적인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가시오가피 영지버섯 발효물 열수추출물(FM-5111)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 발효물 열수추출물(FM-5131)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농도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 함유 아미노산의 결핍은 여러 가지 간질환 등의 증상을 야기한다(27). 또한, Choi와 Ahn(28)은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 뿌리 추출물에서 85.71%로 높은 활성을 보고하여 오가피의 항산화능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 또한 항산화능과 같은 기능성을 가질것으로 사료되며, 추가 연구로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황 함유 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간 기능 개선 효능을 평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