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지휘관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OSC(On-Scene Commander) and On-Scene Command System on Occurring of Disaster at Sea - Focusing on the Sewol Ferry Sinking Case - (해양 재난사고 시 현장 지휘체계와 현장지휘관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

  • Kim, Ki-Hwan;Choi, Jung-Ho;Choi, Hyun-K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6
    • /
    • pp.692-70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blems and causes of OSC system of the KCG. In the disaster of sea, the possibility that could expect a reasonable decision making is low. The study has carried out for the different point of view of the problems. The problems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e theory and analysis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aspects for the OSC system, such as inefficient organization system, failure of reasonable decision making,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have been proposed such as an advanced On-Scene Command system, efficient organization,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staff, the creating of open organizational cultu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ntent Scenarios for On-Site Commanders Engaged in Firefighting Activities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훈련용 콘텐츠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Chun, Woo-Young;Lee, Ji-Hee;Kim, Hyung-J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141-146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scenarios to facilitate the training of on-site commanders in firefighting activities. To establish the training content scenario system, the three core competencies of the on-site commanders were set as situation judgment,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A system of scenarios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eflect these three core competencies when designing the scenarios. All the contents of these scenarios are based 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 The scenarios comprise 14 stages that are divided into four steps with the exception of stages 1 and 14, which mark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training. It consists of the situation setting stag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cision-making stages. Specifically, situation judgment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each stage.

Exercising the Rights of Self-Defense and Using Force in Response to North Korean Provocations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응한 군사력 사용과 자위권 행사)

  • Bai, Hyung-Soo
    • Strategy21
    • /
    • s.40
    • /
    • pp.216-234
    • /
    • 2016
  • 본 논문은 자위권 사용과 군사력 사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한반도 서해에서의 한국과 북한 간 해상긴장 상황에 적용시킨 이슈를 다룬다. 국가가 행사하는 자위권(self-defense: 自衛權)은 기본적으로 전쟁 방지를 위한 기본적 원칙이다. 그러나 이는 군사력 사용(Use of Forces: 軍事力 使用) 또는 무력행사(武力行事)이라는 측면에서 칼의 양날과 같은 결과를 낳는다. 즉 자위권 행사로 전쟁의 확산을 방지하는 반면에 자위권 행사로 상대방에 대한 적성(敵性)을 인정해 주는 경우이다. 반면 북한의 군사도발은 전방향적이며, 1953년 한반도 정전협정 위반이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양국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의 군사적 충돌을 거쳤으며, 이는 과연 한국이 자위권 차원에서의 방어태세와 군사력 사용 측면에서의 대응태세 간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당연히 피해를 받는 곳은 한국이며, 이는 서해 북방한계선에서의 남북한 해군 간 대결국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자위권을 국가 차원 행사하는 수준과 작전에 투입된 현장 작전 지휘관 차원에서 행사하는 수준으로 구분하여 다룬다. 서해 북방한계선 부근 수역에서의 북한의 해상 군사도발에 대해 현장 작전 지휘관이 행사하는 자위권은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의 자위권 행사와는 다르면, 이 문제를 국제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제한점이 있다. 현행 국제법상 국가 자위권 문제는 군사력을 동반하는 문제로서 그 행사요건이 매우 애매모호하고 까다롭다. 그러나 현장 작전지휘관의 자위권 행사는 단호해야 하며, 이는 군사력 운용으로 나타나야 한다. 실제 서해에서의 남북한 대결국면에서의 대한민국 해군의 자위권 행사는 정전협정에 의거 제한되고 있으며, 이는 2010년 북한의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폭격도발 시 대한 민국 해군과 해병대의 대응에서 증명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국방부는 현장 작전 지휘관에서 소위 '선제적 자위권 행사' 부여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선제적 자위권 행사를 위한 조치들을 제도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2013년 발표된 대한민국 합참과 유엔사령부/한미 연합사령부/주한미군사령부 북한 군사 도발에 대한 대응계획(ROK JCS and UNC/CFC/USFK Counter-Provocation Plan)이 이를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선제적 자위권은 행사에 있어 몇 가지 원칙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합법성 문제는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문제와 북한 군사도발 시에 대한 대한민국의 선제적 자위권 행사 간 연관성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평시 군사력 사용에 따른 무력행사의 적법성은 그 인정이 대단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라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한 가장 효율적 방안이 선제적 자위권이라면, 이에 대한 법적 대응이 무엇인가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필요로 할 것이다.

Fire Tests for Representativ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Field Commander Training Content (현장지휘관 훈련 콘텐츠 개발을 위한 주거목적시설 대표 가연물 실물화재시험)

  • Moon, Min-Ho;Yang, So-Yeon;Han, Kuk-Il;Lee, Ji-Hee;Kim, Hyung-J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22-29
    • /
    • 2020
  • In this study, the fire patterns, heat emissions, and smoke generated by means of fire tests developed for representativ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facilities were analyzed from among seven fire types. These combustibles were selected in a previous study to simulate real-world situations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while dealing with these types of fires and develop the field commander training content. Consequently, the maximum heat dissipation was recorded as 728.6 kW, followed by the dissipation measured from the combination of a mattress and electric blanket, desk and chair, and TV and mattress. The total heat emission of sofas (226.2 MJ) and the combination of mattress and electric blanket (2,259.5 ㎡) was recorded. In this study, the scope of the tests was limited to the fir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bles, and it is expected that a simulation using various data acquisition methods and FDS would be performed and evaluated at a later stage.

The Application of Mission Command for the Korea Coast Guard (임무형 지휘의 해양경찰 적용에 관한 연구)

  • Moon, Joong-Sik;Cho, Jun-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5
    • /
    • pp.444-453
    • /
    • 2016
  • In this study, I suggested 'Mission command' as the on-scene commander's leadership intended to save people's lives quickly and safely when occured marine accident. First, I considered the concepts and limitations, efforts to introduce and settle the mission command, discussed why the introduction of mission command for Korea Coast Guard, the scope and specific way when applied. Korea Coast Guard must apply the Mission command as the on-scene commander's leadership to achieve efficient rescue work at the scene of an accident, even for incidents that can-not be foreseen. However, mission command cannot be established overnight: long-term, systematic efforts to stably develop mission comman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re required. We will strive to apply mission command across all aspects of the system, including education, training, personnel, and procedures, equipping each component with the basic requirements for mission command.

Design of Wearable Interface for Fire Fighting (소방 활동을 위한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디자인)

  • Hwang, Ja-Ne;Kim, G. Joung-Hyun;Kim, Chang-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29-333
    • /
    • 2008
  • 현재 소방관들은 주로 무전기로 다른 소방관이나 중앙 지휘관과 통신을 하고, 필요 정보를 취득 혹은 공유 하면서 소방 활동을 수행 하고 있다. 소방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이 존재 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할 때가 많지만, 이를 미리 모두 숙지 하고 있거나, 동적으로 변화 하는 상황을 무전기를 통하여 취득하고 이해 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운 점을 해소 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한다면 소방 활동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적합한 웨어러블 인터페이스가 디자인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나리오에 기반 한 인터액션 모델링, 화재 현장 및 소방 상황에서의 인간공학적 제한 조건, 사용자 설문조사, 그리고 인터페이스 패턴을 기반으로 소방 활동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및 개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lements(MORT-TAC) of Situation Assessment at Disaster Sites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에 관한 연구)

  • Kim, Sung-Geun;Lee, Young-Ja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
    • /
    • pp.117-127
    • /
    • 2017
  • Even well trained personnel may fall victim to panic, and a wrong assessment of the situation can turn a small accident into a huge disaster. At the disaster site, the event is commonly broadcasted in real time and is unfiltered. Thus, the commander of the site must be able to accurately assess the scene while not missing out on key considerations. Despite the necessity of good situational assessment, there is barely any research on this topic. This study utilizes METT-TC(Mission, Enemy, Troops,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nd Civil considerations) which is used by militaries to assess combat situations, and proposes MORT-TAC(Mission, Object, Resources available,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bility, and Civil considerations) as factors to consider in effectively controlling the disaster site. The standard model is used for assessing disaster scenes by applying the Delphi analytical method on each sub-factor of MORT-TAC.

A Improvement Plan for Fire Fighting Activity of Rack- Type Warehouse Based on Case Study and Field Interview (사례분석과 현장인터뷰를 통한 적층형 대형창고 소방활동 개선방안 연구)

  • Kim, Woon Hyung;Seo, Dong Hun;Ham, Eun Gu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1
    • /
    • pp.67-7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or strengthening fire fighting ability of domestic rack- type warehouse buildings. Method: A fire case of small warehouse with sandwich panel structure and four design review of large warehouse with fire endurance structure were analyzed. Also, interviewed a group of 11 fire fighters who had 20 years field experience. Results: A provision of mobile equipment for initial fire fighting, accessibility of more than three sides, installation of internal entrance windows, proper placement of outdoor fire fighting equipment, image processing of fire site informations, and provide more incentives on the field commander are main factors of improvement plan. Conclusion: Effectiv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OP) and safety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and applied for each stage of the dispatch and on-site response considering the fir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each warehouse by scale.

과학화 전투훈련 신뢰성 제고를 위한 자료검증 방법

  • 문형곤;유승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3-123
    • /
    • 2002
  • 부대기동 및 실사격을 적용한 군사훈련이 가장 사실적이며 현실감이 있지만, 부대기동에 따른 교통체증 유발과 실사격 훈련에 대한 민원 증가로 인하여 실기동에 의한 군사훈련을 실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실사격 훈련의 제한 및 통제형 선형훈련으로 인하여 현장감이 저하되고 학습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군사선진국들은 실전적 훈련묘사 및 정밀 훈련분석이 가능한 과학화 전투훈련장을 구축하여 군사훈련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장(KCTC) 구축사업이 현재 진행중에 있다. 과학화 전투훈련은 일반적으로 마일즈 장비와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지휘/통제/통신 및 기동, 전투근무 지원에 이르는 군사훈련 전과정을 모의하며, 직/곡사화기 교전, 화학 및 지뢰지대 운용, 항공지원 등 전투과정을 재현함으로써 훈련에 참여하는 지휘관과 병사로 하여금 현장감 있는 전투훈련을 유도한다. 이러한 과학화 전투훈련이 실제 훈련과 동일한 훈련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교전 피해평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곡사화기에 의한 살상범위, 피해정도 등이 실무부대 전투결과들과 큰 차이가 발생하면 소기의 훈련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고는 과학화 전투훈련장의 전투피해평가 자료체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검증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과학화 전투훈련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in Korea (우리나라 유류오염 방제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Yun, Jong-Hw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355-362
    • /
    • 2009
  • In this paper, the author carried out the study to develop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for competent responders examining IMO guidelines and response training courses of developed maritime countries as well as Korea. According to a result of study, fundamental training courses are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MO guideline, and also to prepare pre-arranged brief course like Basics of Spill Response for beginner. The courses should be step-by-step related with mutual continuous contents, and more times are given to on-site training for basic course and to classroom lecture with desk-top exercise for advanced course. Besides, SCAT shall be added to shoreline cleanup course, finally it is advisable that total 9 types of courses are established with additional refresh cou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