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실습 능력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 효과 연구 (A Study on On-The-Job Training Effect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from the Specialized High School)

  • 안재영;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5-16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교육적 효과 및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현장 실습의 계획과 운영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국의 공업계 특성화 고교 졸업자 중에서 고교 재학 중에 현장 실습에 참여하여 해당 산업체에서 근무 중인 취업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40부(79.7%)의 설문 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직무 능력 및 현장 적응력의 향상, 직장 생활 관련 소양의 향상, 진로 지도 등의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전공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미미하였다. 취업 진로 결정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기본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전공 관련 분야의 교육적 효과와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현장 실습 이전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른 차이로는, 잠재적 취업 진로 결정 정도가 높았던 졸업자일수록 교육적 효과와 취업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직장 생활 만족도에 따른 차이로는, 직장 생활에 만족하는 졸업자일수록 향후 지속적인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므로 현장 실습이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이라는 특성화 고교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특성화 고교생이 현장 실습에 보다 만족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The Utility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for The Culinary Major College Students)

  • 정현채;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28-139
    • /
    • 2020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연구로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학과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이수가 졸업충족요건 및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수 한 경우 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유형을 도출하고 그 유형들 간의 특성과 함의를 분석함으로서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쟁점들을 탐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인식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은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8) : 목표의식 설정 유형(Sense of Purpose Setting type), 제 2유형(N=8): 상호작용 기술습득 유형(Interaction Skill Acquisition Types), 제3유형(N=6): 전공실무교육 확대 유형(Major Practice Education Enlargement Type), 제4유형(N=6): 현장 적응력 향상 유형(Field Adaptability Improvement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제공하기 위해 정부의 현장실습 제도방안개선, 대학과 산업체 간의 현장실습 규정 체계화, 학과의 신규 산업체 발굴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목표몰입,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including Virtual Simulation on Goal Commitment,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 박금옥;정수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60-6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현장실습이 어려운 COVID-19 상황에서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목표몰입,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 대상자는 A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31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목표몰입, 비판적 사고성향은 사후조사에서 사전조사보다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t=4.222, p<.001)과 문제해결능력(t=6.807, p<.001)은 온라인 실습전보다 실습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가상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COVID-19 의료현장에서의 직접 간호수행이 어려운 만큼 정신간호학실습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온라인 실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Nursing Student in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using DACUM Method)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64-6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초등학교 현장실습에 관한 직무 및 과업을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J도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보건교사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 현장실습과정을 수행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임무, 과업,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 등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고,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도구, 장래전망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분석 내용은 J시, I시, G시 등의 학교현장전문가 7인과 교육학전공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차트는 6개 임무와 24개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학교 학교현장실습의 임무 중 건강관리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과업으로 산출되었고, 교수학습능력과 문서작업능력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로 제시되었다. 학교현장에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증가되므로 보건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의 제도적 노력과 교육환경 개선 등의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Nursing Students on Communication Clarity, Self-Confidence in Communication,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 조헌하;남금희;박정숙;정효은;정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이 의료인들과 인수인계 시 명확한 정보전달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SBAR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여 그들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전후설계실험연구이다. 산모와 신생아의 응급상황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실습과 SBAR교육을 접목하여 의료진에게 응급상황에 대해 명료하고 간략하게 핵심을 전달하고,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1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91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2월 18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실습 후에 측정한 의사소통 명확성(t=-3.99, p<.001), 의사소통 자신감(t=-8.60,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이(t=-4.66,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예비의료인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임상현장에서의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실습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전문성을 고취시키고,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고자 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크다. 또한 간호교육현장에서 의료인들 간의 의사소통을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실습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임상실습에서도 SBAR보고방법이 숙련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기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의한 교수 산업체연수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Professor's Industrial Training Operation of the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Competency(PEUC))

  • 양옥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07-3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교수의 산업체현장연수가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산학협력활동 중에 교수의 산업체현장에서의 재교육 차원의 연수는 학생들의 취업, 현장실습, 교수의 연구활동, 기술지도 등 지역대학의 내실을 기하고 경쟁력 기반구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교수 산업체현장연수를 통해 전문대학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현장적응능력을 향상시켜 현장중심교육으로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개대학 간호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과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C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 양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98-100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과 3학년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자료는 2009년 6월에 85명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 평균 점수는 84.01점이었고, 전체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은 6.99점, 중환자 실습 만족도는 86.88점 이었다.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은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신경계 간호수행력, 순환기계 간호수행력, 호흡기계 간호수행력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지식은 순환기계 관련 지식이 가장 높았고,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지식, 호흡기계 간호지식, 신경계 간호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은 중환자 실습 만족도와 유의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환자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난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중환자 간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 실습 및 교내 실습교육에 관한 개발이 필요함을 본 연구가 시사했다.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bility through Teaching Practicum)

  • 심상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3-183
    • /
    • 2017
  • In this study we reveal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after the practicums of pre-service math teachers, in that, they changed contents of class and the way of explana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addition, they made more use of textbooks in their class instead of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acquired before the practicum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fore and after their practicums, neither in their review of lessons nor in their use of simple 'question and answer' strategies. In this regard, we suggest continuous researches be conducted in order to enh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bility, especially those which is hard to be acqui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ystematic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re requir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프로젝트 기반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적용 사례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1-41
    • /
    • 2018
  •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8년 4학년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3월12일부터 6월27일까지이며,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조장의 팀 수행능력이 높은팀이 점수 결과도 높게 나타났으며($3.91{\pm}0.82$), 학생들은 실습은 꼭 필요하다($4.10{\pm}0.88$)하였고, 전공담당교수의 피드백($3.73{\pm}0.86$)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e-briefing Team-bas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71-279
    • /
    • 2020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부담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면서 불안과 소극적인 실습참여는 실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72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팀 기반 학습을 사전브리핑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중요한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확대 적용 및 사전브리핑 단계를 표준화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