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대도시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 Study on Hybrid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Reinterpreted by the Idea of Liminal Space (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Zoh, Kyung-Jin;Han,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4
    • /
    • pp.49-59
    • /
    • 2011
  • This study is a re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with a view to liminal space. The conditions of pubic space now cannot be captured through the existing discourses of publicness, and public space. The basic premise of the study is that the idea of liminal space or liminality is useful to grasp the fluid and hybrid attribute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Liminal space, originally from anthropological studies, is the intermingled stage between two realms and the sustained period of the ritual. The idea has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cultural phenomenon and spatial experiences. A literature review on public space and liminal space was carried out. Cases pertaining to public space with a view to liminal space were examined and discussed in detail. Through the careful reading of several public spaces with an angle toward liminal space, the new perspective toward public space will be drawn out. First, we need to emphasize the fluid spectrum of public space rather than the serial stage such as the public, the semi-public, the semi-private, and the private. Second, the idea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lexible state depending upon time. What we can learn from case studies is the volatile characteristics in public space as a common phenomenon support its vitality. This interpretation will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a new horizon of public space. The nature of public space is unpredictable and free. In reality, the spectrum of public space will expand and fluctuate. Ironically, public space can be vitalized through enhancing and activating the private space. The intimate and complicated interface between the two realms is a key issue. The boundary of public space might be redefined to embrace the flexible the fragile nature of changing public space. These research implications will guide the thoughtful design and management of pubic space.

Exploring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Based on East Asian Garden Culture - Centering on Community and Integration -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 Ahn, Myung-Jun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3-26
    • /
    • 2023
  • Landscapes and garden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dium of practice in contemporary cities.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city through the frame of gardens. This is because gardens are being reconceptualized as a medium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ac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villa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landscape theory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by focusing o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e medium of garde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is both a process and a result of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landscape for over a century and rethink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We first examined garden city theory, noting that Ebenezer Howard and Frederick Law Olmsted'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cities were not so different, and that "working and responsive landscapes" were fundamental to cities and the beginning of landscape theory. We also examine how their ideals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in cities over the past century, but the prototype of gardens based on traditional garden culture is now being formed in East Asian cities, and the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 in response. The conclusion is that a new version of the garden concept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living infrastructure in our cities, and a new garden city theory is needed to make it work. To this end, each chapter examines three arguments, as follows First, the values of gardens and East Asian garden cultures in contemporary cities are shaped by the themes of community and integrity. Second, Korean communality, represented by apartments, is expressed through gardening and requires the reconciliation of city and life and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pecialized field to support it. Third, we examine and consider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theory of practice in which city-based, everyday life, and garden mediums, i.e., city, life, and garden, are organic,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ontemporary gardens and cities are looking for important elements and values that still need to be rediscovered in East Asian landscape and garden cultures. Although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cannot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landscaping,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all fields related to cities, not just landscaping, to collaborate and consider garden citie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the concept of garden and city suitable for metropolitan or dense cities, ways to spread and support garden culture based on community,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design theory suitable for lifestyle and terrain conditions, search for sustainable/resilient garden city theory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new role for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seriously considere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건축 외피에 의한 인터페이스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Sun-Ah;Kim, Jong-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D
    • /
    • pp.509-521
    • /
    • 2009
  • In modern society the architecture surface involves a lot of meaning other than having simple physical functions. The interface space generated b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mong those becomes to have many significances in modern society, and plays a role of symbolic space of a city. The interface space is threshold space that connects two separate spaces and revitalize its states. Nowadays, people have many chances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 space and also settle urban problems caused by spacial and functional discontinuity through the interface space. However, the interface space in Korea could not be built up well due to rapid growth of cities, and a lot of different natures in space and viewpoint have been appeared accordingly, which gives rise to a problem of the discontinuity of urban spa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composing the major factor of a city; architecture integument in Nam-po Dong, Jung Gu, Busan City as the object of the study.

A study of information Integ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 of Connected System on U-City and City. -Focused on the Incheon and IFEZ- (U-City와 기존도시간의 행정조직의 정보통합관리 및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와 송도 IFEZ 사례를 중심으로-)

  • Chae, Myungl-Ki;Kang, Su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8-220
    • /
    • 2009
  •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현대의 사회와 도시는 인터넷 이전의 사회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세계의 여러 나라와 도시들은 기존의 도시 기능으로는 타 국가와 도시에 대한 경쟁우위를 가지기 힘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 것이 바로 u-City의 출현이다. 각국과 도시들은 여러 사업체와의 제휴를 통하여 활성화된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특화된 사업 모델을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좁게는 도시민의 편의와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더 나아가 지역산업활성화를 도모하여 경쟁력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지능기반 사회를 추구하는 u-City의 발전이 무조건 사회에 장점만을 반영할 것인가와 u-City와 기존도시와의 정보통합관리 및 정보와 조직의 연계방안에 대한 발전방안 살펴보고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 PDF

A Study on Signboard Design of Changchun (중국 장춘시 상업지역 옥외간판 연구)

  • Wei, Guo;Kim, Mae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9-111
    • /
    • 2010
  • 도시의 옥외광고는 정보전달매체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그 시각적 표현은 도시미관을 형성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현대의 간판은 한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수준을 판가름하는 척도로 인식될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환경 속에서의 간판은 시민들이 항상 접하고 있는, 시민들의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간판은 이제 상점을 홍보하는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건물과 가로수, 광고의 내용물, 도시 시민들과의 유기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만들어야 하는 도시환경구성의 주요 요소로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부분적 요소인 간판을 통해 도시 미관과 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율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장춘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사인보드의 실태를 수집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 Development Case on the Area-Specific Urban Regeneration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의 개발사례 -창원시 마을흔적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Hwang, Hye-Jun;Kim, Jin-Il;Yun, Young-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9-110
    • /
    • 2017
  • 전국적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와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원시의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의 한 가지 사례가 될 수 있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재개발, 재건축으로 사라지는 옛 마을의 흔적을 보전하여 주민들의 추억과 마을역사, 공동체 문화를 이어주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이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현대산업발전의 시대적 산물이며 주민들의 공통된 추억과 기억이 담긴 공간과 환경이 도시개발과정에서 멸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한 가지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지역건축탐방(13) - 서울(하)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9 s.365
    • /
    • pp.43-79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

지역건축탐방(13) - 서울(상)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8 s.364
    • /
    • pp.71-100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