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Based on East Asian Garden Culture - Centering on Community and Integration -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4.27
  • Accepted : 2023.08.14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Landscapes and garden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dium of practice in contemporary cities.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city through the frame of gardens. This is because gardens are being reconceptualized as a medium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ac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villa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landscape theory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by focusing o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e medium of garde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is both a process and a result of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landscape for over a century and rethink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We first examined garden city theory, noting that Ebenezer Howard and Frederick Law Olmsted'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cities were not so different, and that "working and responsive landscapes" were fundamental to cities and the beginning of landscape theory. We also examine how their ideals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in cities over the past century, but the prototype of gardens based on traditional garden culture is now being formed in East Asian cities, and the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 in response. The conclusion is that a new version of the garden concept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living infrastructure in our cities, and a new garden city theory is needed to make it work. To this end, each chapter examines three arguments, as follows First, the values of gardens and East Asian garden cultures in contemporary cities are shaped by the themes of community and integrity. Second, Korean communality, represented by apartments, is expressed through gardening and requires the reconciliation of city and life and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pecialized field to support it. Third, we examine and consider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theory of practice in which city-based, everyday life, and garden mediums, i.e., city, life, and garden, are organic,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ontemporary gardens and cities are looking for important elements and values that still need to be rediscovered in East Asian landscape and garden cultures. Although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cannot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landscaping,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all fields related to cities, not just landscaping, to collaborate and consider garden citie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the concept of garden and city suitable for metropolitan or dense cities, ways to spread and support garden culture based on community,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design theory suitable for lifestyle and terrain conditions, search for sustainable/resilient garden city theory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new role for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seriously considered.

경관과 정원은 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실천 매체로 부각되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정원을 프레임으로 도시를 살펴본다. 정원은 도시민의 활동 매체로 재설정되고 있으며, 도시 재생과 도시형 마을 만들기의 중요한 실행 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에서 본 논문은 정원을 매개로 나타나는 도시 구조와 도시민의 행태, 그 과정 및 결과에 집중하여 볼 때 현시대 우리에게 적합한 조경이론으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제안한다. 이것은 한 세기 넘도록 진화해온 조경을 되돌아보며, 조경의 정체성을 되묻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먼저 정원과 도시 사이에서 조경의 씨앗을 품어둔 바 있는 에벤에저 하워드(Ebenezer Howard)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에 주목하며 '작동하는 경관과 감응하는 풍경'이 도시의 기본적 요소이자 조경이론의 시작이었음을 정원도시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세기를 지나며 그들의 이상이 도시에 모두 구현되지는 못하였으나, 현재는 동아시아 도시에서 전통 정원문화에 기반한 정원의 원형이 형성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는 조경이론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버전의 정원 개념은 우리 도시에서 생활 인프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것이 작동하기 위한 새로운 정원도시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별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논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현대 도시에서 나타나는 정원과 동아시아 정원문화의 가치는 공동체성(community)과 통합성(integrity)을 주제로 형상화되고 있다. 둘째, 아파트로 대표되는 한국적 공동체성은 가드닝(gardening)으로 표출되며 도시와 생활의 재결합과 그것을 지원해줄 전문분야로서 조경의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셋째, 동양적 자연관에 기초한 도시 기반, 일상생활, 정원 매체, 즉 도시-생활-정원이 유기적인 실천론으로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고민해 본다. 결과적으로 현대의 정원과 도시는 동아시아 조경문화, 정원문화에서 아직 재발견이 필요한 중요한 요소와 가치들을 찾고 있음이 확인된다.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제안이 조경의 지속을 담보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계기로 조경뿐만 아니라 도시와 관련한 모든 분야가 협업하며 정원도시를 고민하는 기회는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도시 또는 밀집 도시에 적합한 정원과 도시의 개념, 공동체성에 기반한 정원문화의 확산과 지원 방안, 생활방식과 지형조건에 적합한 조경이론/설계이론의 진화, 기후변화 대응이 가능한 지속가능한/회복탄력적인 정원도시론 모색, 그리고 21세기 조경의 새로운 역할 설정" 등이 본격적으로 고민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동수(2005). 전통도시조경의 비보풍수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조산숲과원지 제방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영문 no.3: 41-49. https://doi.org/10.14700/KITLA.2017.35.3.041
  2. 박재민, 성종상, 조혜령(2017).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원도시 개념의 변천과 함의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 논문집. 18(2): 21-35.
  3. 이서영, 유지민, 정욱주(2022). 신도시 개발 컨셉으로서 정원도시 구현 전략 -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솔라시도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0(5): 54-68.
  4. 박희성(2019).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76-84.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1.076
  5. 우경숙, 서주환(2016).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4(5): 1-11. https://doi.org/10.9715/KILA.2016.44.5.001
  6. 안명준(2013). 05경관_ '그리드락 쏘싸이어티' : 카오스모제의 '경관'(上, 下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08787,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08836)
  7.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정원문화사. 도서출판 대가. p.15.
  8. 안명준, 배정한(2009). 통합적 환경설계 이론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2): 14-25.
  9. 이순우 역(2009). 세컨 네이처(Michael Pollan(2003), Second nature: a gardener's education). 황소자리. p.162.
  10. 찰스 왈드하임(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21세기 조경과 어바니즘의 새로운 패러다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국제회의 자료집(한국조경학회 주최). pp.15-31.
  11. 조경진(2010).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망: 딜레마와 가능성.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국제회의 자료집(한국조경학회 주최). pp.201-226.
  12. 황기원(1987). 정원의 원형 시론. 환경논총. 20: 85-97.
  13. 안명준(2022). 우리시대 도시정원과 정원문화 성찰: 다시 보는 정원, 느껴 보는 서울. 조경시공연구소 느티. pp.64-67.
  14. Ahn, Myung-June(2012). Public Garden Movement through Urban Farming.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Pacific Rim Community Design Network(''도시농사를 통한 공공정원 운동'', 제8차 환태평양 커뮤니티 디자인 네트워크 국제컨퍼런스). pp.269-275.
  15. 황기원(2004). 한국 조경의 문화적 전통 시론. 환경논총. 42: 55-81.
  16. Don, Monty(2008) Around the World in 80 Gardens. London: Weidenfeld & Nicolson.
  17. Drake, Susannah(2010). Term, Definition, Identity: Regenerating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Era of Landscape Urbanism. Topos 71: 51-54.
  18.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1315
  19. 안명준, 배정한(2008). 조선시대 풍속화에 나타난 도시숲의 현대적 해석. 환경복원녹화학회지. 11(6): 11-25.
  20. Gosden, Chris and Head, Lesley(1994). Landscape - A Usefully Ambiguous Concept. Archaeology in Oceania. 29(3): 113-116. https://doi.org/10.1002/arco.1994.29.3.113
  21. 조재성, 권원용 역(2006). 내일의 전원도시(Howard, Ebenezer. Garden Cities of To-Morrow(1902)). 한울아카데미.
  22. Kalfus, Melvin(1990). Frederick Law Olmsted: The Passion of a Public Artist(American Social Experience Series 18). NYU Press.
  23. Kambites, Carol & Owen, Stephen(2006). Renewed prospects for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in the UK. Planning Practice and Research. 21(4): 483-496. https://doi.org/10.1080/02697450601173413
  24. Benedict, Mark A. & McMahon, Edward T.(2002). Green infrastructure: smart conservation for the 21st century. Renewable Resources Journal(Autumn Edition). pp.12~17.
  25. 안명준 외(2012). 텃밭정원 도시미학: 농사일로 가꾸는 도시, 정원일로 즐기는 일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