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동지표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42초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 분석 (Perception and importance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in college students in Jeju)

  • 박영미;고양숙;채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77-185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관련 식행동을 조사하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이용실태 및 중요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은 5점 만점에 평균 3.65점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 3.69점, 여자 3.63점으로 나타나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인지 여부에 있어서는 '알고 있다'의 비율이 67.5%로 나타났고 남자는 69.7%, 여자는 65.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알고 있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01).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신뢰도에 있어서는 '매우 신뢰'가 4.9%, '신뢰하는 편'이 45.4%로 나타났고 음식점 원산지표시 확인 여부에 있어서는 '확인한다'가 68.0%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여자 (70.5%)가 남자(64.7%)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식품 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 상위집단(79.3%)이 하위집단 (57.1%)보다 '확인한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01). 조사대상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대해 평균 4.08점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여자 (4.13)가 남자 (4.01)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해 전체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항목별 중요도는 '음식점의 정직한 원산지표시 (4.27)'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위반업체 단속 체계 (4.26) '원산지표시 위반했을 시 처벌 (4.25)',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위반 업체 신고 시 포상제도 (4.09)',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정부 정책 (4.0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품 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에 있어서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점수가 여자 대학생들 보다 높았으나 항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고 남자 대학생들이 여자 대학생들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인지비율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음식점에서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과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중요성 인식에 있어서는 여자 대학생들이 남자 대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기 보다는 전반적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보다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가 높은 학생들이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가 높게 나타났고 중요도에 있어서도 모든 항목에 대해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가 높은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에 대한 홍보 및 교육과 더불어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이 건강을 위해 음식점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음식점의 정직한 원산지표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가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음식점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체계적인정책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행동이론 기반의 BSC 학습과 성장 시각 영역 및 IT KPI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KPI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T of BSC based on Organizational Behavior)

  • 윤응서;이승현;임춘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70
    • /
    • 2004
  • 카플란과 노턴에 의해 1992년에 처음 소개된 BSC (Balanced Scorecard)의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4개 시각 중 '학습과 성장' 시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지표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성과지표 도출의 근원을 조직 행동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개념과 과정이론에서 밝혀냄으로서 '학습과 성장'시각의 목표인 다른 세 시각의 하부구조 및 동인을 달성하고자 조직 행동이론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이 기업의 장기적인 역랑을 배가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 및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장' 시각에서 인적자원의 역랑과의 균형있는 정보기술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업 경영활동의 근간이 되는 구성원과 단위조직, 그리고 정보기술이 기업성과데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과 조직의 보상체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잣대로서 작용하게 된다.

  • PDF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 남궁영;김경미;김미선;이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34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수준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 개방형 설문조사,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역량군, 역량, 행동지표의 체계를 가진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역량모델 초안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 총 4개 역량군, 15개 역량, 6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전문성 역량군'에는 5개의 역량(작업치료 일반 지식, 감각통합중재이론 지식, 평가 기술, 분석 기술, 중재 기술)과 31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전문가 의식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전문성 고취, 교육, 윤리 의식, 정책적 관심)과 13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대인 관계 역량군'에는 2개의 역량(의사소통, 협력)과 6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자기 확신, 자기 성찰, 자기 관리, 긍정적 태도)과 10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한 영역인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학교관리자의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역량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e Model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principles)

  • 김종승;김진연;조동헌;김영민;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4-13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진로직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학교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는 학교관리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되어 학교관리자 스스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진단하고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 고찰, 기초연구, 델파이 조사, 계층화 분석(AHP), 설문조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모델은 역량군 3개, 역량요소 9개, 행동지표 67개 항목으로 구성 되었다. 첫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은 학교 진로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역량,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 학교 진로직업교육 환경 조성 역량 3개 역량군으로 도출되었다. 역량 중에서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이 AHP 분석결과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요소는 목표관리, 성과관리, 교육문화 조성, 교원 교육활동 지원, 학교 교육과정 지원, 학생지원, 인사관리, 자원관리, 지역사회관리로 9개 영역으로 델파이 조사로 확인되었다. 또한 AHP 중요도에 있어서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역량요소가 9개 역량요소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행동지표는 성향 18개 항목, 지식 18개 항목, 수행 31개 항목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학교 진로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역량군 행동지표는 23개 항목,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군 행동지표 23개 항목, 학교 진로직업교육 환경 조성 역량군 행동지표 21개 항목으로 총 67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성과지표의 다양성과 관리적 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역할 (The Role of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in the relation between measurement diversi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 이상완;조용언;이규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219-231
    • /
    • 2013
  • 기업은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이하 'PMS'라 함)을 구축 및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PMS에 관한 실증연구들은 조직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조직수준의 분석이 아닌 개인행동에 대한 세부적인 조사를 수행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과 관리적 성과간의 관계에서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과 관리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정성의 매개역할과 공정성과 관리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역할을 발견하였다.

육계의 성비가 행동 및 복지지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 Ratio on Behavior and Welfare Indexes in Broiler Chicken)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4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육계의 성비가 행동 및 복지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암수의 성비를 0:100 (T1), 25:75(T2), 50:50 (T3), 75:25 (T4) 및 100:0 (T5)의 5 처리를 하여서 4주간 조사하였다. 처리구에서 전체 행동 중 resting 행동 빈도가 74.4% 이상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그 외 pecking 행동이 5.39∼23.07%, standing 행동이 1.78∼24.75%, moving 행동이 0.59∼11.46%로 나타났다. Pecking, standing resting 및 moving 행동 빈도는 성비 및 암수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그러나 pecking, resting 및 moving 행동 빈도는 일령의 변화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Gait, foot pad 및 hock burn score는 성비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모든 처리구에서 수컷보다 암컷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1일령과 35일령에서의 발톱의 길이는 성비에 따라서, 또는 암수간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I-reaction은 21령이 35일령보다, 암컷이 수컷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T4 처리구의 hock burn score, 발톱의 길이 및 TI-reaction이 다른 처리구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육계를 암수 혼합 사육할 때, 암수의 성비는 육계의 복지지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생각된다.

다이아지논에 의해 야기된 송사리의 이상행동 연관 분자생물지표의 선발 (Selection of Molecular Biomarkers Relevant to Abnormal Behaviors of Medaka Fish (Oryzias latipes) Caused by Diazinon)

  • 고성철;신성우;조현덕;전태수;김정상;이성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4호
    • /
    • pp.321-3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이아지논(Diazinon; O, O-diethyl O-[6-methyl-2 (1-methylethyl)-4-pyrimidinyl] phosphorothioate)에 노출된 모델 생물체(송사리)의 행동변화와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을 통하여 비정상적 행동의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지표(biomarker)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및 DNA microarray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전자를 스크리닝하였다. 다이아지논에 노출시킨 송사리에서 발현의 차이가 나는 상향 조절된 유전자 97개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27개 포함)와 하향 조절된 유전자 99개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60개 포함)를 동정 하였고 이들 중 이상행동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 10개 (상향조절 5개, 하향조절 5개)를 선발하였다. 이들 중에서 primer 제작이 잘된 beta-1, Orla C3-1, parvalbumin 및 apolipoprotein E을 선발하여 그 유전자 발현을 real-time PCR 기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Orla C3-1, parvalbumin 및 apolipoprotein E는 고농도의 다이아지논 처리(1000 ppb; 24 h)에서 그 발현이 억제됨이 관찰되었다. 다이아지논 처리 시 신경질환 (알츠하이머 병 및 다운신드롬)에 관련된 apolipoprotein E와 근육세포의 유연화에 작용하는 parvalbumin 등의 발현억제는 송사리의 인지능력 교란 및 근육세포의 경직 등을 각각 유도하여 송사리의 비정상적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들 생물지표는 신경독성물질에 의한 송사리 및 기타 어류의 이상행동의 변화의 감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피키캐스트 콘텐츠의 노출과 관여 행동을 중심으로 (Attention Behavior to Mobile Content: Focusing on Exposure and Involvement of Pikicast Content)

  • 김은미;박현아;임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2-21
    • /
    • 2017
  • 이 연구는 주목 행동을 노출과 관여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목 행동들 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피키캐스트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구하였다. 우선, 이 연구는 이중위험효과(double-jeopardy)가 모바일 콘텐츠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노출과 관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또한 플랫폼별, 주제 속성별(연성 및 경성)로 주목 행동이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노출과 관여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랫폼별로 주목 행동, 특히 공유 행동이 다른 양상을 띠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 속성별로는, 연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반응인 댓글 수, 공유 등의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인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경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비시간과 완독률 같은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 치중했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콘텐츠 중심의 관점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주목 행동의 본질을 새롭게 이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