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염

검색결과 1,950건 처리시간 0.036초

해면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및 항염증 활성과 함유 성분의 HPLC 프로파일링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arine sponge extract and HPLC profiling of its components)

  • 김다은;김민선;안혜숙;이재욱;박진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33-38
    • /
    • 2021
  • 해면동물은 강력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함유성분으로 의약후보물질 탐색의 중요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해양생태계 보전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면동물 확보는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고 해양 천연물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해양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181개 해면동물 추출물에 대한 HPLC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항염증 및 신경세포보호 활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면동물 추출물 간의 HPLC를 통한 함유성분에 따른 클러스터링이 가능하였고 또한 각각 17개, 14개 시료에서 항염증 활성과 신경세포보호활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해면동물을 포함한 해양생물자원에서의 효과적인 생리활성 탐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RAW 264.7 세포에서 레드비트의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 연구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eta vulgari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n RAW 264.7 cells)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09-317
    • /
    • 2021
  • 본 연구는 침출차 원료로 레드비트를 활용하기 위해서 세포독성, 항염증 및 항산화 등의 활성을 조사하고자 설계되었다. 항산화 효능은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RAW 264.7 세포를 통해 MTT 분석으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고 LPS로 유도하여 활성산소종과 염증매개체(일산화질소, TNF-α, IL-6 등)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활성산소종(ROS)과 일산화질소(NO), IL-6, TNF-α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레드비트가 안전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침출차의 원료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lpomenia sinuosa extract)

  • 조영재;김숙희;최재영;이자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35-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활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nitrite 소거능 실험,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2.82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3.923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itrite 소거능 실험에서는 17.89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2.062±0.177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62.85±3.18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0.01±0.24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독성과 항염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0.93±2.93%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불레기말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Broccoli Leaf Hexane Fra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Kim, Me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75-18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잎 헥산 분획물의 항염 효과를 평가하여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PS-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iNOS와 COX-2의 발현, MAPK (ERK, JNK, p38) 및 브로콜리 잎 헥산 분획을 사용한 NF-κB의 인산화를 분석하였다. 브로콜리 잎 헥산 분획은 TNF-α, IL-4, IL-6, IL-1β 등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와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했습니다. 또한, 브로콜리 잎 헥산 분획물은 MAPK와 NFκB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브로콜리 잎 헥산 분획물은 식품 및 화장품에서 천연 항염증 소재로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항염증 기전 및 주요 생리활성 물질의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의 항염증 효능 분석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PDRN (Polydeoxyribonucleotide))

  • 송미희;최문혁;정진형;이상식;정우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96-404
    • /
    • 2022
  •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에는 베타카로틴을 비롯한 비타민 A,C, 폴리페놀 성분 등 여러 항산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항염증 효능을 보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추출물에 포함되는 PDRN이 항염증 반응을 매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Lipopolysaccharides(LPS)로 자극하여 염증세포로의 전환을 유도한 다음, 쑥갓에서 추출한 PDRN의 첨가가 염증 억제 효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항염증의 지표로는 IL-1β,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사용하였으며, RT-PCR로 각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분걱 결과, RT-PCR에서는 IL-1β, TNF-α 두 유전자에서 PDRN에 의한 염증 억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선행자료라 사료되며, 염증억제 기전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연구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실리마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ilymarin)

  • 박현빈;경인구;강정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221-230
    • /
    • 2022
  • 본 연구는 실리마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와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5 6-sulfonic acid)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리마린은 1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71%, ABTS 라디칼을 78%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리마린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사람 혈청 단백질과 Cu,Zn-SOD의 산화적 변형을 억제하였다. 또한 실리마린은 H2O2와 LPS에 의한 세포사멸, ROS 생성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을 통해 실리마린은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Barringtonia augusta Kurz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 평가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rringtonia augusta Kurz extract)

  • 류수호;김민정;;정성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4-1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Barringtonia augusta Kurz 추출물의 항염증,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BKE는 LPS에 의한 NO와 ROS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 발현 또한 억제하였다. 특히 IKK 매개 NF-κB pathway에서, IKK의 인산화 억제를 통하여, IκBα의 감소와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NF-κB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논문은 BKE가 NO와 ROS의 생성과 iNOS의 발현을 IKK매개 NF-κB 인산화 억제를 통해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KE는 항염증, 항산화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 소재로써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누에고치에서 유래된 세리신(Sericin)의 화장품 소재로서 In Vitro 효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 Vitro as a Cosmetic Material of Sericin Originated from Silkworm Kochi)

  • 권현지;이지혜;정은미;이은홍;박진한;오성음;박상혁;정지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8-94
    • /
    • 2023
  • 세리신은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누에고치에서 유래된 세리신 표준품의 항주름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리신의 항산화 효과는 DPPH 및 ABTS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lipoplyscaccharide를 이용하여 유도된 염증반응을 이용하여 세리신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리신은 DPPH, ABTS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1,000 ㎍/mL의 농도에서 NO를 억제하였다. 종합하여 세리신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항노화 및 항염증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흑마늘박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lack Garlic Pomace Extract)

  • 김건우;윤영빈
    • 산업과 과학
    • /
    • 제2권1호
    • /
    • pp.8-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제조 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사료 첨가제룰 개발하기 위한 사전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흑마늘박의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강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흑마늘박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흑마늘박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중 흑마늘박을 포함한 식물성 시료의 면역증강 활성을 실험하기 위해 Nitric oxide(NO) assay 실험을 한 결과 식물성 추출물인 흑마늘박, 섬쑥부쟁이, MIX가 최고 농도에서 LPS(100%)대비 각각 흑마늘박(69.4%), 섬쑥부쟁이(35.9%), MIX(45.3%)의 NO를 생성하였다. 따라서, 흑마늘박이 항염증 효과를 함유하고 있고 흑마늘박과 섬쑥부쟁이의 최적의 혼합비를 선정한다면 항염증 효과를 함유하고 있는 사료 첨가제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Coumari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marin as a Cosmetic Ingredient)

  • 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73-1380
    • /
    • 2023
  •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물질로써 항바이러스, 항암, 항균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coumarin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써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coumarin은 실험에 적용한 모든 농도에서 이렇다 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적용된 농도 범위 내에서는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coumarin 물질 자체의 항산화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나타내었지만 농도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hydrogen peroxide을 DCF-DA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ROS를 측정한 결과 silica에 의해 생성된 ROS의 억제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coumarin의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Nitric oxide 생성억제와 histamine release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oumarin이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서 항산화와 항염증에 관련된 천연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