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염증작용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sangwha-Tang' (쌍화탕(雙和湯)의 항염증작용(抗炎症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 Kim, Il-Hyuk;Hwang, Gyu-Jin
    •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 /
    • v.12 no.3
    • /
    • pp.131-135
    • /
    • 1981
  • 'Ssangwha-Tang,' which have known as a tonic and restorative preparation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was shown to have significatio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edema-induced carrageenin inflammation of rats, and also indicated remarkable preventive effect to chronic arthritis model in rat induced by Freund's complete adjuvant method.

  • PDF

IL-1Ra Elaboration by Colchicine Stimulation in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콜히친의 Interleukin-1 수용체 길항제 생성자극)

  • Lee, Jae Hyung;Kim, Sang Heon;Kim, Tae Hyung;Sohn, Jang Won;Yoon, Ho Joo;Shin, Dong Ho;Park, Sung S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3 no.2
    • /
    • pp.145-153
    • /
    • 2007
  • Background: Asthma is a syndrome that is characterized by a variable degree of airflow obstructi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irway inflammation. Colchicine is an inexpensive and safe medication with uniqu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L-1Ra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human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asthm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L-1Ra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lchicine in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NHBE), RAW 264.7 cells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nd a mouse lung. Methods: NHBE, RAW 264.7 cells and BALB/c mice were stimulated with colchicine, and the increase in the IL-1Ra level was estimated by ELISA, Western analysis and RT-PCR analysis. Results: Colchicine stimulated NHBE and RAW 264.7 cells to release IL-1Ra into the supernatant in a dose-and time-dependent manner. The major isoform of IL-1Ra in NHBE and RAW 264.7 cells is type I icIL-1Ra, and sIL-1Ra, respectively. IL-1Ra up-regulation was blocked by PD98059, a specific inhibitor in MAPK pathways. Colchicine also stimulated the secretion of IL-1Ra into the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of BALB/c mouse. Conclusion: Colchicine stimulates an increase in the IL-1Ra level both in vivo and in vitro, and might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Anti-tumor Activity of Saponin Fraction of Platycodon gradiflourm through Immunomodulatory Effects associated with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s (길경 사포닌 분획의 NO생성과 관련된 면역조절작용을 통한 대식세포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효과)

  • Choung, Myoung-Gun;Sohn, Eun-Hwa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5
    • /
    • pp.557-563
    • /
    • 2011
  •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name, Doraji)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s an expectorant for pulmonary disease and a remedy for respiratory disorders in Asia.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tOH extract saponin fraction of P. gradiflourm (PGS) on phagocytosis and anti-tumor activity with related cytokine productions in RAW264.7 macrophage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PGS increased phagocytosis, anti-tumor activity, TNF-${\alpha}$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ithout direct tumor cell cytotoxicity.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NO is involved in anti-tumor and phagocytic activities of PGS, cells were co-treated with specific iNOS inhibitors, L-NIL (N6-(1-iminoethyl)-L-lysine, dihydrochloride), to block NO production. PGS decreased anti-tumor activity in L-NIL-treated cells, whereas phagocytic activity was not inhibi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 anti-tumor activity by PGS appears to be conducted by NO.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 grandiflorum could be used a potential nutrition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patients.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 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3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Hyun's Cooking Class - 또띠아로 싼 치킨카레

  • Hyeon, Seong-Nam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6 no.9
    • /
    • pp.104-105
    • /
    • 2010
  • 입맛이 없을 때 색다른 음식을 찾게 됩니다. 이때 향이 강한 카레가 입맛을 돋우어 줍니다. 항산화, 항염증 작용으로 두뇌 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각광받고 있는 카레와 쫄깃쫄깃한 닭다리살을 이용한 치킨 카레를 만들어 드셔보세요. 여기에다 또띠아를 싸서 먹으면 국이 외식을 나가지 않아도 색다른 요리의 맛과 멋을 즐길 수 있습니다.

  • PDF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Active Fractions Analysis of Ethanol Extract from Red Rose Petals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 분석 및 항염증 활성 효과)

  • Kim, Hyun K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543-551
    • /
    • 2020
  • Red rose petals are usually disposed but they are an abundant source of phenolics and traditionally used as food supplement and as herbal medicine. Of the Various phenolics, they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rose ethanolic extracts(GRP) o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of GRP(500㎍/mL)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by suppressing iNOS protein expression in LPS-stimulated cells. Anti-inflammatory effects byred rose petal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Red rose petal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F-κB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via the suppress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and also inhibited LPS-stimulated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d rose petal exert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help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s of red rose petal. Therefore, red rose petal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s.

Studie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ralia elata Seem and Platycodon grandiflorum of Cultivated in Sunchang-gun (순창산 참두릅과 도라지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에 관한 연구)

  • Se-Won Lee;Mina Shin;Seong-Hyeon Lee;Jeong-Ho Lee;Kyeon-Ok Jeong;Yeo-Jin Yoo;Ha-Young Shin;Hyun-Jin T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83-83
    • /
    • 2020
  • 염증은 물리화학적 자극이나 세균 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 나이며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기전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반응이 과도해 질 경우 궤양성 대장염, 기관지염, 천식, 대장암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염증반응을 조 절하는 항염증제 개발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국내 염증개선 관련 시장은 현재 약 3조원 규모이며 지속 적인 성장세에 있지만 천연소재의 기능성 중심으로 출시된 제품 중 다수의 제품에서 주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 국내 자생 및 재배하는 천연 소재들의 효능에 대한 검증을 통해 수입 원료 의존도를 낮추 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창에서 재배되는 참두릅 (Aralia elata Seem)과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를 이용하여 천연 염증개선 소재화를 목적으로 기능성 증진을 위한 추 출조건 선정과정과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여 천연소재를 이용한 염증개선 소재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북 순창에서 재배되는 참두릅과 도라지의 추출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용매, 온도 및 시간별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 평가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 선정을 진행하 였으며, 선정된 추출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을 확인하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MTT assay,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 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 분석을 통해 최적 추출조건이 선정된 두릅 (주정 40%, 25℃, 3 h), 도라지 (주정 60%, 25℃, 1 h)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도라지보다 두릅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를 활용한 두릅과 도라지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 ug/mL 이내의 농도에서 독성활성이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되었으며,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ug/mL에서 두릅 추출물이 도라지 추출 물보다 약 33% 이상 NO 생성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Taraxacum mongolicums (蒲公英) on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포공영의 NO 생성 억제 효과)

  • Ha, Hyeon-Hee;Park, Sun-Young;Ko, Woo-Shin;Jang, Jeong-Su;Kim, Young-Hee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20 no.3
    • /
    • pp.98-106
    • /
    • 2007
  • 포공영(蒲公英)은 예로부터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NO가 염증의 한 요인이기 때문에 포공영의 항염증 작용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에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 (AETM)의 NO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포공영은 NO 생성 및 iNOS 단백질 발현, iNOS mRNA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전사인자인 $NF-kB$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ERK/MAPK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로 보아 포공영의 항염증 작용이 ERK/MAPK 활성 저해 및 $NF-kB$ 활성 저해로 인한 iNOS 발현의 억제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