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계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6초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 류동영;김민석;민오진;김동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O_2}^-,{\cdot}OH$ radical, NO, $ONOO^-$ 자유라디칼을 유발시키는 in vitro assay system과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에 의한 단백질 손상에 대한 진흙버섯속에 속하는 상황버섯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황버섯 물 추출물의 ${O_2}^-,{\cdot}OH$ radical, NO, $ONOO^-$ 자유라디칼 억제효과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양성 대조물 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나 모든 실험계에서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황버섯 물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단백질 손상 억제효과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명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상황버섯의 항산화 효과는 상황버섯의 약리학적 효능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라고 사료된다.

아위버섯 추출물의 혈전용해, 트롬빈저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leurotus ferulea)

  • 김은정;김준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2015
  • 아위버섯을 혈관계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아위버섯 물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3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94.45%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37.0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98.13%의 가장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냈다. 실험 결과로부터 아위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 트롬빈 저해활성 그리고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국주의 제조와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유영주;황인식;정순택;박양균;김선재;박배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8-148
    • /
    • 2003
  • 최근 홍국색소는 천연계착색료로서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 발효조미료등에도 이용되어 기호에 맞는 새로운 홍국 개발도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혈청콜레스테롤저하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항산화작용등 여러가지 약리효능을 지닌 홍국균을 이용해 재래적 방법에 근거하여 홍국주를 제조하여 그 제조공정을 확립하고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Monascus purpureus를 액체배양법에 의해서 홍국코지를 제조하고 코지의 역가는 $\alpha$-amylase와 $\beta$-amylase 활성은 400unit와 4.44unit를 나타났으며, acid protease 활성은 80unit, neutral protease 활성은 91.4unit로 나타났다. 홍국코지에 증자된 쌀과 물을 혼합하여 발효경과를 측정하고, 발효가 끝난 홍국주의 DPPH법에 의한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Total phenolic compound함량, ACE저해작용등을 측정하였다. 홍국주의 발효경과 분석은 알콜도수는 2차 담금 후 2일째-13.2도, 4일-13.5, 6일째-13.5, 8일째-13.5, 10일째-13.4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2일째-23.26, 4일-20.68, 6일째-21.74, 8일째-19.93, 10일째-14.23 $^{\circ}$Brix로 점점 감소한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색도에서 적색을 나타태는 Hunter value a값은 2일째 -14.72, 4일-14.97, 6일째-15.70, 8일째-16.43, 10일째-17.29로 시간이 지날수록 붉은 색소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는 2일째-4.52, 4일-4.02, 6일째-4.11, 8일째-13.11, 10일째-13.18로 pH가 약간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산가는 2일째-8.4, 4일-6.7, 6일째-7.0, 8일째-7.5, 10일째-11.5로 pH가 산성화 될 수록 산가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홍국주의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은 25.6%, 아질산염 소거능은 27.6%,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12.34mg%, ACE저해작용은 38%의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 PDF

음양곽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종원;도재호;이성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32-73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양곽의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 폐놀 성 화합물의 추출방법과 DPPHdp 의한 수소공여능, linoleic acid의 산화방지활성 및 LDL에 의한 항산화활성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음양곽에 60% ethanol를 첨가하여 추출회 수별 폐놀성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3회까지 추출했을 때 약 96%가 추출되었기 때문에 추출 횟수는 3회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0%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회까지 추출했을 때 약 22%이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폐놀성 화합물의 추출 효율은 물 추출구를 100%로 했 을 때, 60% ethanol 추출구는 140%, 그리고 60% ethanoldyddor으로 추출한 뒤 농축하여 물 로 부피를 재조정한 구는 133%로 조사되었다. 항산화활성 조사에서 DPPHdp 의한 수소\ulcorner 여활성은 반응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Linoliec acid 산화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700 ppm 농도에서 약95% 산화저해율을 나타났 으며, LDL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500 ppm 농도에서 산화저해율이 약 70%로 나타났다.

  • PDF

인공재배 상황버섯 재배종 Phellinus linteus 와 P. baumii 자실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폴리페놀 성분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extracts from artificially cultivated Sanghwang mushroom species,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 민경진;윤봉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6
    • /
    • 2020
  • P. linteus(품종명: 고려상황, PLKS)와 P. baumii (장수상황, PBJS)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인공재배하여 얻어진 자실체를 70% 메탄올, 60% 에탄올, 열수추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측정 시 함량은 60%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에탄올을 용매로 PLKS와 PBJS의 자실체를 추출하여 농도별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 (3-ethylbis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LKS와 PBJS는 거의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자실체가 균사체보다 2-3배 이상 높은 항산화 활성이 측정되었으나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분석에서는 자실체와 균사체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PLKS와 PBJS의 자실체 ethyl acetate 분획물을 HPLC 분석한 결과 styrylpyrone 계 폴리페놀 성분인 davallialactone, hispidin, hypholomine B, inoscavin A를 검출할 수 있었으나 균사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자실체 특이적인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약용식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 이승은;성낙술;방진기;박춘근;성정숙;송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7-134
    • /
    • 2003
  • 천연 보존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 신소재의 발굴을 위한 전단계로서 국내산 약용식물 160종 209점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및 linoleic acid 과산화 저해 등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13.5{\mu}g/ml$$RC_{50}$을 보인 ${\alpha}-tocopherol$을 대조구로 하였을 때 쥐손이풀 지상부, 뱀무 지상부, 이질풀 지상부, 오동나무 잎이 각각 $19.3{\mu}g/ml,\;22.5{\mu}g/ml,\;23.9{\mu}g/ml,$$27.2{\mu}g/ml$로서 우수하였고, linoleic acid과산화 반응에 대해서는 고로쇠나무 잎 등 38점의 식물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분말이 당뇨 유발쥐의 혈당과 지질농도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ea Tangle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영자;방미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9-428
    • /
    • 2004
  • 다시마 분말 첨가식이가 당뇨쥐의 당질과 지질대사 및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SD계 횐쥐에 17% 다시마 분말을 급여하여 7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의 포도당 및 지질농도와 주요장기의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다시마 당뇨군(TI)에서 다사마 섭취는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다. 당뇨군의 혈당 농도는 다시마 섭취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3주째에 나타났다. 당뇨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GST 활성도가 다시마 섭취로 인해 정상 수준으로 저하됨으로써 다시마의 섭취가 당뇨시 산화적 반응에 대한 방어기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지방이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하는 경향으로 심혈관계와 관련되는 당뇨합병증의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효소처리에 의한 백삼 저분자 화합물의 V79-4 세포주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treatment on V79-4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김영찬;임주혁;노정해;조장원;이영경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03-209
    • /
    • 2007
  • 본 연구는 효소분해를 통하여 인삼의 저분자 화합물을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페놀 함량, V79-4 세포주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조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29.5-76%였으며, 총페놀 함량은 0.45-2.21%로 처리 효소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pectinase 처리구가 추출 수율과 총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V79-4 세포주에 대해서는 pectinase 처리구와 ${\alpha}$-amylase 처리구에서 50% 이상의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내 항산화 관련 효소계의 활성을 시험한 결과 SOD활성은 처리 효소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CAT와 GPx 활성은 pectinas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지질과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에서도 pectinase 처리구와 protease 처리구에서 50% 이상의 MDA 생성 억제를 보였다.

흑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 신정혜;이현지;강민정;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33-940
    • /
    • 2010
  • 흑마늘의 기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만들어 100, 250, 500 및 $1,000\;{\mu}g/m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hexane 분획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butanol, methanol 및 물 분획물에 비하여 5.5~11.6배 더 많았다. 흑마늘 계통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는 butanol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 모두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아, $1,000\;{\mu}g/mL$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1,000\;{\mu}g/mL$ 농도에서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50.27~81.02%의 범위로 높은 반면 SOD 유사활성은 26.73~47.64%로 비교적 그 활성이 낮았다. Linoleic acid 반응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수록, 시료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으며, 또 극성 용매보다는 비극성용매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비교적 그 활성이 높아 $100\;{\mu}g/mL$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번행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 이민아;최혜정;강점순;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0-2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의 각종 용매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타민 E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음이온 소거활성, 과산화물생성 억제 활성, 환원능력 그리고 금속 킬레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DCM 분획, EA 분획에서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X 분획, EA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의 함량은 HX 분획, DCM 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는 DCM과 EA 추출 분획에서 $IC_{50}$ 값이 각각 $554.25{\mu}g/ml,\;394.96{\mu}g/ml$으로 산화방지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BHT의 $784.7{\mu}g/ml$보다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서 번행초 분획은 지질단백질을 산화로부터 보호한다고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능력을 보였으나,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에 비해서는 억제능이 다소 낮음이 확인되었다. 환원능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1.5 mg/ml농도에서 EA 분획의 활성이 ${\alpha}$-tocopherol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좋은 항산화 소재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