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의식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46초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on Environmental Attitudes)

  • 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4
    • /
    • 2011
  • 친환경, 녹색성장, 그린마케팅 등이 현대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보존 활동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와 여가학 관련 학문에서도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라서 환경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전문화의 하위요인과 환경의식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환경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요인이 환경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서적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매력 요인이 환경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질에 관한 연구 (Special Character of the Korean Costume & Changing Process Aesthetic)

  • 임영자;유순례
    • 복식
    • /
    • 제50권8호
    • /
    • pp.57-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describe about aesthetic of korean art and costume. Therefore we understand the beauty of korean style well. Methods of this study are the analyst of the paper before published on the aesthetic and costume aesthetic. Especially in the global postmodern age.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korean beauty and costume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define of the special character. That is as follows. 1) Beauty of form a. Harmony of line different character b. Composition of plane make super space aesthetic c. Beauty of asymmetric, non formal, freedom of dressed man d. Beauty of symbolic color 2) Beauty of mend a. Aesthetic of the north nomads feeling b. View of the naturalism c. Ceremony of confucianism d.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koreanization from heterogeneity

  • PDF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 및 미의식 (Aesthetic Features & Awareness Observed in Traditional Boots)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6-57
    • /
    • 2018
  • 패션은 한 시대와 지역의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을 표현하는 문화 요소로서, 신발 역시 우리나라만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패션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통해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미적 특성은 형식적인 면에서 곡선과 직선, 단순한 형태, 대비되는 색상과 소재 등 각 요소들의 균형 있는 사용이, 내용적인 면에서 신분과 지위의 상징으로서의 활용과 사상적 의미 부여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미의식은 첫째, 곡선과 직선의 절충(折衷)으로 한 가지 요소에 치우침이 없이 서로의 특징을 수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중용(中庸)의 미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무심(無心)과 기교(技巧)의 조화(調和)로 형태와 색상, 소재에 대한 표현을 적절히 조절하여 비움과 채움을 자연스럽게 나타냈다는 점이다. 셋째, 정신과 물질의 합일(合一)로서 전통 화가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활용되었으나 물질에 정신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가치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한국춤의 미적범주, 맛과 멋 (Aesthetic Category in Korean Traditional Dance, Mat & Meot)

  • 고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75-187
    • /
    • 2012
  • 본 연구자는 먼저 한국학에 있어서 미의 개념 및 미의식을 살펴보면서 한국춤의 미적체험 속에서 맛과 멋으로 표현되는 미적 의미와 가치를 조망하고,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춤의 움직임의 원리를 분석하고, 일반화된 미의식이외에 곡선의 원리에 의한 '무한대의 생명론적 미의식'이 맛과 멋의 미의식으로 승화되었다고 보았다. 한국춤의 생명성은 바로 원을 지향하는 곡선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며, 맛과 멋의 미의식을 가장 크게 느끼게 해주는 움직임의 원리이다. 그러나 한국춤의 움직임이 현대로 오면서 서구의 영향에 의해 점차 직선적인 움직임 기법을 자주 사용하면서 곡선적인 움직임이 사라져가고 맛과 멋에 대한 미적 감성조차 느끼기 힘들어졌다. 따라서 한국춤의 독자적이고 고유한 맛과 멋의 미의식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춤의 전통적인 움직임의 원리인 곡선춤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며 심(心)과 신(身)이 공유할 수 있도록 무용가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방안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춤의 맛과 멋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청소년 정치.행정 형성요인과 정치.행정 의식수준간의 관계 - 대전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Relation with an Factor Forming Politic Administration and Awareness Level - Focus on High School Students in Dea-Jeon -)

  • 최호택;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07-214
    • /
    • 2008
  • 본 연구는 곧 현실 정치에 참여하게 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치에 대한 지식, 정치성향, 정치에 대한 효능, 정치에 대한 신뢰, 정치신뢰 등의 하위 변인들로 이루어진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이러한 정치의식 형성에 영향을 준 정치 사회화 매체에 대해서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 우리 정치의 주체인 청소년들의 정치의식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정치 교육이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해보는 과정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치 행정 형성요인과 청소년의 정치 행정 의식수준간의 영향관계는 가정, 학교, 동료집단,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형성된 의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동료집단에 의해 형성된 의식은 정치 행정 의식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미치고, 반면 매스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것은 청소년의 정치 행정 의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동아리 참여 대학생을 중심으로 (Effec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on Environmental Attitude: Focused o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 Clubs)

  • 황선환;조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19-427
    • /
    • 2011
  • 현대사회에서 여가의 중요성은 이미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이슈들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여가활동으로써 신체적으로 활발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9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서적 전문화의 하위요인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전체는 환경의식에 강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요인 중 정서적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매력 요인이 환경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다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을 더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 워터프런트 공간에 있어서 수변공간의식에 대한 연구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지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rs' Awareness of Waterfront in Japan - Focusing on Yokohama Minatomirai21 area -)

  • 콘 마사유키;이명권;양동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8
    • /
    • 2012
  • 본 연구는 워터프런트로서 일본에서 인지도가 높은 카나가와현 동부지방에 있는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간의 오감을 통한 수변공간의식을 조사하였다. 앙케이트 결과 이용자는 남성이 52.2%가 되고 연령은 20대가 29.6% 가장 많았다. 수변공간의식은 '바다바람을 느낀다'가 237건(78.7%)이고, '바다가 보인다'가 217건(72.1%)이었다. 수변공간의식에 관한 19개의 질문 내용을 각각 인간의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과 활동, 시설의 존재와 같은 7항목에 대해 재분류를 실시하여 워터프런트 이용자의 의식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촉각(22.86%)과 시각(20.77%)이 수변공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 (Aesthetics melodic thought research Jongmyojeryeak)

  • 김현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183-207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진 종묘제례악의 미의식과 다른 관점에서 여러 사상을 배경으로 완성된 종묘제례악의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미적 요소를 찾아보고 그에 따른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유교제사 의례의 결정체이자 제례문화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 1964년 국가중요무형문화재(國歌重要無形文化財) 제 1호로 지정되었다. 또 2001년 5월 18일에는 유네스코(UNESCO)지정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한국에서는 가장 먼저 등재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오랜 기간 조선왕조와 명운을 같이한 제례문화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우리조상들에 의해 창조된 악 가 무에 따른 총체적 예술형태의 아름다움을 집대성한 우리음악의 정수(精髓)로 인정받으며 전해지고 있다. 또 유교사상 뿐 아니라, 예악사상을 비롯하여 음양오행사상과 삼재사상(三才思想), 팔괘사상(八卦思想)의 전통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묘제례악에는 정관미 유장미 자연미 장려미 조화미가 내제되어 있다. 정관미는 희문과 전폐희문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유장미는 정대업에만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자연미는 변주시 선율진행에서 노련한 연주기교로 자연스런 창작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희문과 전폐희문에 잘 나타나고 있다. 장려미는 보태평 악장선율의 가장 두드러진다. 또 조화미는 종묘제례악의 불협화음이 협화로 음악에서 자연스러운 조화미적인 관점의 미의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대업의 소무에 잘 나타나고 있다.

21세기 뷰티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한국 미의식을 중심으로- (Aesthetical Approach of Beauty Design in the 21st Century -Focus on Korean Aesthetics-)

  • 변영희;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25-1336
    • /
    • 2009
  • This study is to find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aesthetics with emotional, relative, synthetic thinking in the ambiguity of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ism and ambivalence in contemporary beauty design. Beauty design incorporates makeup and hair design to complete the total images with clothing in fashion shows and Korean aesthetics based on Korean religion and art that include the symbolism of humor, irregularity, moderation, harmony, unification, and emptiness. This study analyzes 864 works of make-up and hair design from 2001 S/S to 2009 F/W to understand the beauty design to summarize the natural, eclectic, classic, poor, humor, and decadent tendencies.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s sense of Beauty Design are summarized as artless naturalism, integrate pluralism, de-constructive deviation, and temperate poverty.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Female Hospital Nurses.)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25-43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S시 병원에 근무하는 기혼여성간호사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적대적 성차별의식보다 높았다. 직장-가정 갈등은 40세 미만, 자녀 1명,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일 때가 높았다. 이직의도는 40세 미만(t=3.66, p<.001), 자녀가 없는 경우(F=5.76, p=.004),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F=5.86, p=.004)가 유의하게 높았다.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가정-직장 방향 갈등과 지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직장-가정 방향 갈등과 가정-직장 방향 갈등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간호사들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의 정도와 이직의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직장-가정 양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