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on Environmental Attitude: Focused o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 Clubs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동아리 참여 대학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6.13
  • Accepted : 2011.07.29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leisure has been already recognized widely. Recently, interest in participation in more active leisure activities is growing. Furthermore, environmental concerns stemmed from global warming came to the fore. Thu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representing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more active leisure activities on environmental attitudes. A total of 393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ly active club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recreation specialization had strong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 Second, out of sub-factor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ffective specializ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attitude. Finally, out of sub-factors of affective specialization, attraction positively affected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more actively are more conscious of environmental problems.

현대사회에서 여가의 중요성은 이미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이슈들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여가활동으로써 신체적으로 활발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9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서적 전문화의 하위요인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전체는 환경의식에 강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요인 중 정서적 전문화가 환경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매력 요인이 환경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다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을 더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봉애, 강이주, "아동의 환경의식과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농촌간의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5-44, 1995.
  2. 김대희, "대학생의 자연경험과 환경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제9권, 제1호, pp.75-86, 2002.
  3. 노영래, 김시월, "소비자의 환경의식, 재활용과 재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 미혼 취업여 성의 사장의복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호, pp.163-178, 2002.
  4. 노채영, 신효식, "환경문제에 관한 소비자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5. 변순희, 계선자, "주부의 환경 보전의식 및 행동에 따른 쓰레기처리에 대한 관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88-101, 1995.
  6. 서정희, "환경문제 측면에서 본 소비자행동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7. 여가백서, 한국문화관광연구소, 2008.
  8. 오연옥, 송말희, 한정화, 황경혜, "환경보전에 관한 인지와 관리행동 - 대도시, 중 소도시, 군 단위주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1호, pp.45-60, 1995.
  9. 우형택, 엄봉훈, 문연화,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과 검증", 한국환경과학학회지, 제8권, 제5호, pp.559-568, 1999.
  10. 이연주, "배드민턴 참가자들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여가정체성 및 행복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1권, 제4호, pp.19-30, 2007.
  11. 이진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 미국의 연구 동향과 국내 연구방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28권, pp.67-78, 2005.
  12. 이태연, "환경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 행동간의 일관성 에 대한 연구", 한서대학교 환경연구소 논문집, 제1권, pp.1-13, 2000.
  13. 조윤애, "환경의식 척도와 인구학적 변수의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제13권, 제1호, pp.39-69, 2005.
  14. 최남숙, "환경교육과 환경의식이 환경 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2권, 제5호, pp.29-43, 1994.
  15. 환경부, 21세기 국민 환경의식 조사, 2000.
  16. 황선환, 김홍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서비스 품질, 투자비용 및 기술 수준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4호, pp.387-395, 2009.
  17. 황선환, 원도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스키리조트 선택요인 분석", 체육과학연구, 제19권, 제3호, pp.96-105, 2009.
  18. K. Br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the greening of lifestyles," in M. R. Redclift, and G. Woodgate(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pp.204-217, 1997.
  19. H. Bryan, "Leisure value systems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he case of trout fisher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9, pp.174-187, 1977. https://doi.org/10.1080/00222216.1977.11970328
  20. G. Brooker, "The self-actualizing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 pp.107-112, 1976(9). https://doi.org/10.1086/208658
  21. E. Constantine and K. Hanf, "Environmental concern at lake tahoe: A study of elite perceptions, backgrounds and attitude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4, pp.209-242, 1972. https://doi.org/10.1177/001391657200400204
  22. R. B. Ditton, D. K. Loomis, and S. Choi, "Recreation specialization: Re-conceptualization from a social world perspectiv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4, pp.33-51, 1992. https://doi.org/10.1080/00222216.1992.11969870
  23. R. E. Dunlap and K. D. Van Lier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9, No.4, pp.10-19, 1978. https://doi.org/10.1080/00958964.1978.10801875
  24. K. E. Henion, "The effect 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9, pp.10-14, 1972. https://doi.org/10.2307/3149598
  25. T. C. Kinnear, J. R. Taylor, and S. A. Ahmed,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s : Who are they?," Journal of Marketing, Vol.38, pp.20-24, 1974(4).
  26. B. R. Little, "Specialization and the varieties of environmental experience: Empirical studies within the personality paradigm," In S. Wapner, S. Cohen, & B. Kaplan (Ed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pp.81-116), New York: Plenum Press, 1976.
  27. B. L. McFarlane, "Specialization and motivations of birdwatchers," Wildlife Society Bulletin, Vol.22, pp.361-370, 1994.
  28. B. L. McFarlane,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site choice among vehicle-based campers," Leisure Sciences, Vol.26, pp.309-322, 2004. https://doi.org/10.1080/01490400490461981
  29. R, Schreyer and J. T. Beaulieu, "Attribute preferences for wild land recre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8, pp.231-247, 1986. https://doi.org/10.1080/00222216.1986.11969662
  30. D. Scott and C. S. Shafer,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 critical look at the construc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3, No.3, pp.319-343, 2001. https://doi.org/10.1080/00222216.2001.11949944
  31. L. N. Tognacci, R. H. Weigel, M. F. Wideen, and D. T. "Vernon, environmental quality : How universal is public concern?," E & B, Vol.4, pp.73-86, 1972,
  32. L. R. Turker, "Indenting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consumer: The role of internal-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s,"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 Vol.14, No.2, pp.327-341, 1980.
  33. R. Virden and R. Schreyer, "Recreation specialization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prefer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Vol.20, No.6, pp.721-739, 1988. https://doi.org/10.1177/0013916588206004
  34. R. Weigel and J. Weigel, "Environmental concern: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Environmental and Behavior, Vol.10, pp.3-16, 1978. https://doi.org/10.1177/00139165781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