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5.046

Aesthetic Features & Awareness Observed in Traditional Boots  

Lee, Jae-Young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Fashion is a cultural element expressing general and common aesthetic awareness in a relevant region in the relevant times. On the aspect that shoes are also a part of fashion reflecting the unique aesthetic awareness of Korea,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awareness contained in the aesthetic features observed in the traditional boots. The aesthetic features in terms of the form were the balanced usage of each element including curves, straight lines, simple shapes, contrast colors and materials, and the application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as the symbol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in terms of the contents. Aesthetic awareness pursues the beauty of moderation through the compromise between curves and straight lines, as both elements accept each other's features and keep balance without inclination to one element. Next, solid and void are naturally expres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xpression on colors, materials and shapes through the harmony of composure and techniques. While traditional boots were used as the sign indicating social position and status as the unity of spirit and a thing, they pursue the value of rhythmic vitality by giving spiritual meaning to a thing.
Keywords
Boots; Aesthetic Awareness; Curves and Straight Lines; Composure and Techniques; Spirit and a T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용숙, 한국화 감상법 : 현대 한국화의 전개와 이해, 대원사, p.36, 1992.
2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4, 2015.
3 박선희, 한국 고대 복식, 지식산업사, pp.525-526, 2009.
4 이여성, 조선복식고, 범우사, p.93, 1998.
5 박수자, 우리나라 신의 變遷에 對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6, 1968.
6 김동욱, 증보한국복식사연구, 아세아문화사, p.20, 1979.
7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9, 2015.
8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8, 2015.
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靴.鞋.履, pp.68-69, 2004.
10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28, 2015.
1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靴.鞋.履, p.165, 2004.
12 조선희, 東北아시아 신 文化에 關한 연구 : 靴, 鞋, 履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9, 1997.
13 황호근, 한국장신구미술연구, 일지사, p.291, 1980.
14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p.29-30, 2015.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靴.鞋.履, p.169, 2004.
16 高春明, 中國服飾名物考, 上海文化出版社, p.780, 2001.
17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2000년조직위원회,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 p.41, 2001.
18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0, 2015.
19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2-34, 2015.
20 곽경희, 조선시대 남자용 革, 布製 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4, 2003.
21 김민자,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제다움 찾기 :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p.43-45, 2010.
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316&cid=50293&categoryId=50293, 2018.2.7.
23 곽경희, 조선시대 남자용 革, 布製 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6, 2003.
24 김민자,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제다움 찾기 :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p.116, 2010.
25 김민자,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제다움 찾기 :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p.57, 2010.
26 김민자,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제다움 찾기 :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p.50, 2010.
27 박용숙, 한국화 감상법 : 현대 한국화의 전개와 이해, 대원사, p.38, 1992.
28 박용숙, 한국화 감상법 : 현대 한국화의 전개와 이해, 대원사, p.56, 1992.
29 황호근, 한국장신구미술연구, 일지사, p.437, 1980.
30 박수자, 우리나라 신의 變遷에 對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9, 1968.
31 최공호,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p.38, 2015.
32 허동화,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규방 문화, 현암사, p.232, 1997.
33 王宇淸, 中國服裝史綱 修訂本, 中華大典編印會, p.114, 1976.
34 김지희, 우리나라 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7,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