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5.175

Aesthetic Category in Korean Traditional Dance, Mat & Meot  

Ko, Kyung-Hee (한국체육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n how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of Korean dance is realized with the analysis of aesthetic meaning and value found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Korean dance, and also the aesthetic concept and consciousness of Korean Studies. Firs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endless life theory" is from the curved motion, which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dance, and is to be sublimated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The life theory of the Korean dance is to be cleary realized by the curved movement aiming the Circle, which is the important principle of movement for feel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But, the Korean dance movement has been affected to follow the Straight motion frequently in recent days rather than the Curved mo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style movement. This makes difficult to find aesthetical sense of "Mat" and "Meot". So, it is very crucial to keep and improve the Curved motion in the Korean dance for protecting and develop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the unique feature of the Korean dance. And the continuos effort and plan of Korean dancer is also needed to make the Mind and the Body coexist each other. Furthermore, the research on t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t" and "Meot" of the Korean dance should be kept going.
Keywords
Korean Traditional Dance; Aesthetic Consciousness; Mat; Meot; Life Theory; Curv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동철, 최진석, 신정근 역,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p.103, 2005.
2 다께우지 도시오/ 안영길, 지미정, 오무석, 민은기, 손현숙, 최범, 이재언 역,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67, 2003.
3 민주식, 한국 전통미학사상의 구조, 미학 예술학 연구, Vol.17, p.40, 2003.
4 조지훈, 한국학 연구 제8권, 서울: 나남출판사, p.363, 1996.
5 노인숙, 한국의 시가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p.45, 2002,
6 에드먼드 버크 지음/ 김동훈 옮김,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서울: 마티, p.134, 2006.
7 백현순, 살풀이춤과 한의 철학적 해석, 한국무용연구회지, Vol.27, No.1, p.50, 2009.
8 채희완, 공동체의 춤.신명의 춤, 서울: 한길사, p.67, 1985.
9 최순우, 나는 내것이 아름답다, 서울: 학고재 p.110, 2002.
10 조요한, 한국미의 조명, 서울: 열화당, p26, 2004.
11 심영옥, 최순우의 한국미관에 의한 한국미의 특징 연구현대미술연구소 논문집, Vol.7, p.71, 2004.
12 고유섭, 구수한 큰 맛, 서울: 다할 미디어, 2005.
13 박용숙, 바시미의 구조 '한국의 미학사상', 서울: 일월서각, p.9, 1990.
14 서경요, 2010, 4: 23, 강의록.
15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서울: 집문당 p.276, 2004.
16 국립국악원, 제31회 동양무용과 무용정신, 제31회 동양음악학 국제학술회의, 서울: 국립국악원, p.90, 1998.
17 이기호, 동래야류의 무대적 수용에 의한 연극 콘텐츠 창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p.167, 2011.
18 서경요, 유가사상의 인문학적 숨결, 서울: 문사철, p.201, 2011.
19 태혜신, 무용사회학 관점에서 본 우리춤의 미학, 우리춤 연구, Vol.3, 2006.
20 고경희, 미학적 대상으로서의 춤, 작법,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2, No.2, 2007.
21 정선희, 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연구, 2008.
22 박은영, <춘앵전> 춤동작 "이수고저"의 미적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Vol.17, No.3, 2009.
23 신지현, 한국춤에 내재된 흥(興)의 미적가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010.
24 백현순,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우리춤 연구, Vol.11, 2010.
25 황미숙, 권오륜, 통영검무의 현상학적 해석과 미적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Vol.11, No.2, 2003.
26 유태균, 장영미, 승전무 북춤에 나타나는 전통적 미 연구,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3, 2011.
27 김운미, 한과과 신명으로 본 한국 춤의 시원에 관한 연구 -축(祝), 제(祭), 유(遊), 무(巫)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Vol.47, No.6, 2008.
28 장미진, 한국미학 연구의 방향성 ; 한국의 미학과 한국미학의 방향성, 미학 예술학 연구, Vol.21, p.25, 2007.
29 윤재근, 동양의 미학, 서울: 집문당, p.126, 1993.
30 민중서림 편집국, 생활옥편, p.427, 1979.
31 두산 편집국, 두산동아국어사전, p.44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