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여성

Search Result 10,2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Meaning of Women's Education as Human Capital (인적자본으로서 여성교육의 의미)

  • 이미정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0 no.2
    • /
    • pp.135-159
    • /
    • 1997
  • Education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has been known to be small in Korea. Then, the meaning of women's education as human capital needs to be questioned. Both the increasing desire for working among women and the criticism to under-utilization of women's 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reflect that women's education is surely perceived as human capital. However, women's education dose not seem to function well as human capital i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pointed out that educational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s weak but the effect on earnings is evident. There were few attempts to evaluate economic returns to women's education over the life-cycle analyzing both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Considering that the economic behaviors of women in nonagricultural sector have changed little until the mid-1980s, I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as human capital over the women's life cycle using cross - sectional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does not exist and the working period is very short. Although the educational effect on earnings among working women is clearly shown, it tends to limited to younger women. Despite the educational effect on earnings among younger women, the meaning of education as human capital among Korean women does not hold well due to short working period and the low participation of the educated in the labor market.

  • PDF

The Effects of Female Leadership on Job Stress and Promotion of Female Workers (여자의 적은 여자인가?: 상사 성별이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ung, Han Na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0 no.4
    • /
    • pp.61-8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x of supervisor on the stress and promotion of Korean women workers in the workplace using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 direct boss of female workers was female, stress in the workplace was high and the promotion rate of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was low. According to the theory of queen bee phenomenon and role congruity theory, a structure of glass ceiling and the male-dominated working culture does not require positive qualities of female leadership but requires a high recognition standard or competitiven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emale worker with the female supervisor showed more stress in the workplace and the probability of female promotion in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is low.

  • PDF

젠더레짐이 여성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i-Y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67-170
    • /
    • 2020
  •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창업시장에 남성 못지않게 여성의 창업도 증가하고 있다. 여성 창업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도 많지만 남성의 창업 성과에 비해 여성의 창업 성과는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청에서 조사된 창업 현황으로 본다면 남성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창업을 하고 있고 자금투자유치 및 고성장도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여성은 한정된 산업 분야에 개인자금조달 및 소규모경영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의 창업 형태가 위와 같이 차이가 나는 근본적인 원인을 사회적으로 잠재되어있는 젠더레짐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하고 실증적인 검증을 하려고 한다. 양성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뿌리 깊은 젠더편향적인 한국문화적 특성상 그 성-편향적 사고의 틀 안에서 여성 창업에 대하여 평가하고 있다. 여성 창업은 꾸준히 증가되고는 있지만 암묵적으로 방관하는 젠더편향적인 사회 문화를 인식을 개선하지 않는 이상 여성 창업 환경과 그 성과는 앞으로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 된다. 이에 남성 주류의 창업생태계 안에서 여성 창업에 대한 편견 및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그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연구는 젠더레짐이 여성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려고 한다.

  • PDF

The Analysis of Woman User Behavior Pattern in Online Games (여성 유저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에서의 젠더 정체성을 중심으로-)

  • Seok, Sung-Hye;Lee, Ji-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93-704
    • /
    • 2007
  • 지금까지 사이버문화에 대한 연구는 해당 문화의 가장 큰 특성 중인 익명성과 그것이 개별 이용자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어왔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싸이월드나 블로그 등 CMC환경에서 매체가 일반적으로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및 여성성과 연관되어 정체성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이용 형태를 마케팅과 접목하여 높은 여성 참여와 구매력을 이끌어내고 있다. 반면 온라인게임은 남성 중심의 매체로써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가 미흡하였다. 온라인게임에서 여성 이용자의 참여나 구매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남성 중심적 매체에서 여성 온라인게임 유저의 이용 행태 분석 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여성의 온라인게임 소비 패턴과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고객 충성도, 구매력과의 관련성 속에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게임 여성 유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연령별 게임 이용 패턴 - 게임이용 장소, 초기 진입 방식, 커뮤니티 활동, 아이템 구매 형태 등 - 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으로 여성 유저의 게임 플레이 방식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전유 방식(몰입)과 게임 플레이 스타일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때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방식이 남성적 매체라는 구조적 공간 내에서 여성의 성적 특성이 온라인게임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여성 유저의 이용 방식에 따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A Case Study on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to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중년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사례연구)

  • Min, deul-l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23-324
    • /
    • 2013
  • 본 연구는 충남 아산시 "찾아가는 맞춤형 여성교육" 프로그램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여성이 사회참여 필요성 증대 및 여성들의 다양한활 동 등 삶의 질 향상 등 맞춤형 여성교육 프로그램 확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4주간 매1회씩 인터뷰를 통해 여성의 전문성 향상 및 지속적인 사회참여활동을 지원하는 것에 만족감, 대인관계 및 인맥을 확장등의 긍정적인 반응들이 나타났다. 반면 전문 강사진,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이 나타났다.

  • PDF

IT 여성 전문인력 육성방안

  • 김혜영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12
    • /
    • pp.105-107
    • /
    • 2001
  • 여성 IT 전문인력 육성은 사회제도와 조직문화가 여성인력을 수용하도록 개선되고 수요자인 기업이 여성인력을 유치하고 보유하려는 시도가 매우 중요하다. 한국통신학회 정보통신여성위원회에서는 사회제도와 조직문화적 측면에서여성의 IT 산업진출장애에 대한 논의는 여성의 사회진출관련 광범위한 잉슈를 포함하게 됨으로서 본고에서는 IT 여성 전문인력 육성방안모색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IT 전문 인력범위를 살펴보고 주변인이 아닌 핵심인력으로 육성키 위한 방안으로 장기적 추진방향과 산.학.연.관 협력추진활동을 제언한다.

  • PDF

Comparison of Obstetric Outcomes between Married Immigrant and Korean Pregnant Women in University Hospital (일 대학병원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과적 결과 비교)

  • Lee, Eun-Sook;Moon, 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3
    • /
    • pp.279-287
    • /
    • 201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obstetric outcom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Korean wome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were 302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who were delivered in the university hospital from 2011 to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WIN 24.0 program. Factors affecting obstetric outcome wer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gestational hypertension, amniotic fluid abnormalities, and medical illness in both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In addition, age, spouse's age, occupation, hemoglobin level, and placental abnorma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obstetrical outcome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bstetric outcome of married immigrant women, a prenatal care program consider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will be needed.

A Comparison of Gait Patterns in Young Asian and Caucasian Women (젊은 아시아인과 코카시아 여성의 보행 패턴 비교)

  • Kwon, Soonjung
    • Physical Therapy Korea
    • /
    • v.5 no.4
    • /
    • pp.30-40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젊은 아시아인과 코카시아 여성의 보행패턴 중 보폭시간(step time) 과 보폭 (step length)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골반넓이와 보폭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15명의 아시아인과 15명의 코카시아 여성이었으며 나이는 23세에서 35세 범위에 있었다. 보행분석을 위해서는 GAITRite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인종(아시아인대 코카시아인)과 신체부위(좌측, 우측)를 요인으로 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하였다. 아시아인 여성보다 코카시아인 여성의 보폭, 다리길이, 골반 넓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왼쪽 다리의 걸음과 오른쪽 다리의 걸음에 있어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보폭시간, 속도, 걸음수(cadence)에 있어서도 두 여성 인종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행변수 중에서 걸음수나 속도와 같은 시간변수에 았어서는 아시아인 여성과 코카시아인 여성간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 PDF

여성농업인의 자아성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조혜정;김경희;박분희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3-73
    • /
    • 2003
  • 본 연구는 문헌고찰, 기존의 관련 교육프로그램 분석 그리고 여성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접 결과를 기초로 하여 여성농업인들의 자아성장에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성농업인들에게 자아성장을 위한 교육의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농업인들은 도시에 사는 여성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자아의식이 낮으며 부정적이다. 둘째, 여성농업인들은 자기를 돌아볼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가사와 농업 그리고 자녀양육 둥에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자신이 누구인가를 생각해 볼 여유가 없다. 셋째, 성인기는 많은 위기를 경험하는 시기인데 여성농업인들은 위기상황이 왔을 때 그것을 극복할 전략을 모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결국 부정적 자아개념을 갖게 된다. 넷째, 미래의 자기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미래의 자아상을 갖지 못하고 자신의 삶에 소극적이 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기존 교육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성농업인들이 자아의식과 관련해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농업인 교육 담당자 및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프로그램 수정, 보완에 관한 자문을 구하였다. 최종단계로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 받았고 피드백 결과를 기초로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 PDF

The Nature and Challenges of Childcare Policies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취업여성을 위한 보육정책의 특성과 과제)

  • Yu, Bo-Gy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91-120
    • /
    • 2004
  • 이 연구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 보육정책의 특성을 분석한다. 우선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보육정책의 규정들은 무엇보다 성 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불완전하다. 취업여성의 육아가 사회의 책임, 남녀공동의 책임이라는 인식에 못 미치고 있다. 둘째, 기존 보육정책은 일반적인 취업여성의 대리보육 지원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저소득층 영${\cdot}$유아, 영아보다는 유아에 대한 보육지원에 역점을 둠으로써 취업여성의 실제 보육수요를 충족하지 못한다. 셋째, 정부는 강제적 규정, 재정지원의 확대라는 조치들을 통해 취업여성의 보육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수준은 그렇게 강력하지 못하다. 넷째, 정책결과의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 보육시설은 상당한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공공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의 비율은 매우 낮다. 육아휴직 정책 역시 전체적 이용률이 낮은 수준이며, 남성의 이용률은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체 및 근로자의 보육실태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에서도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은 여전히 매우 높으며, 특히 가족에 의한 대리보육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보육정책이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을 경감하여 고용평등을 제고하고, 출산율 향상을 도모하는 방안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정책의 보완이 요구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