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중단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지방사립대 남학생들의 학업중단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고학년 제적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social changing process of upper grade students expelled from local private university)

  • 박경은;윤진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1호
    • /
    • pp.1-29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존립의 위협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 지방사립 대학 고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중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지 한 대학에서 제적 학생의 명단을 받아 연구 참여에 동의한 15명 학생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질적 연구 분석 방법 가운데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83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 범주, 18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매트릭스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과정 분석에서는 지방사립대 고학년 남학생의 학업중단의 과정은 총 7단계로, '소속감 찾기', '재미 찾기', '멈춰 생각하기', '(바깥)세상 경험하기', '진로 확정하기', '몰두하기', '학업 마무리 짓기'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방사립대학의 존립을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 양영은;배임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189-224
    • /
    • 2010
  • 본 연구는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과 사회적 지지의 경험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제시하고, 사회복지 및 거시적 차원에서 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조사를 실시하여 '범주화' 하였고,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초기적응과정 네트워크' 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적 적응을 제일 힘겨워하였고, 경제적 적응은 학업적응과 매우 긴밀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한거주기간 1.5년 미만의 초기적응과정에 있는 20대 초반의 학업중단 청소년들이었다. 따라서 탈북과정에서 초래된 학업격차와 연령차로 인하여 정규교육체계에 편입하지 못하였고, 취업시 학력조건이 미달되어 단순노동직의 저임금과 과잉근무에 시달리며 잦은 이직과 무직의 경험을 반복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인간관계를 적응과정의 제일 중요한 핵심요소로 인식하였고, 인간관계에서 얻어지는 사회적 지지는 한국사회 적응에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다. 특히 남한사람들과의 교류는 정보적·평가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귀한 자원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정보적·평가적 지지는 연구참여자들의 언어 적응을 돕고 문화적 이질감을 완화하였으며, 심리적 적응의 부정적 측면을 개선해 주었다. 한편 북한이탈주민과의 교류는 '배울 것이 없다' 는 이유로 멀리하였지만, 북한이탈주민 중심의 친밀한 관계에서 오는 정서적 지지는 연구참여자들의 적응과 심리적 안정에 매우 긍정적인 기능을 담당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신체건강 및 심리적 적응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지병은 치료받지 못하여 악화되었고, 여성의 자각증상은 매우 높았다. 새로운 환경에서 밀려오는 스트레스는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감부족, 대인기피, 소외감을 경험하였고, 스트레스가 만성적인 경우 좌절감과 패배감을, 심각한 경우에는 분노와 우울증상을 경험하였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은 가족과 함께 남한에 거주하였으므로 '가족을 고향에 버리고 왔다' 는 죄책감이나 '혼자' 라는 외로움이 낮았고,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자유감과 안전감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체계의 강화, 자립·자활을 위한 경제적 지원정책 제안, 학업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정책 마련 등에 관한 구체적인 해결방향을 제언하였다.

학업중단 청소년 (The School-Dropout Adolescent)

  • 조성연;이미리;박은미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91-403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status, research issues, and pragmatic and policy issues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As the number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ince 2006, more attentions have been given to these adolescents academically, intervention and policy-wise. Some of the research topics on them include types of school-dropouts, their socio-environmental factors, and reasons for the increase of school-dropouts. In reality,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cope with their dropping out of schools by preparing the career guidance for them and to resolve the issues of their returning to or continuing in school education and their welfare.

  • PDF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through a Dual-mediation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장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02-51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에서 1차 조사 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 6을 활용하여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우울과 충동성을 통한 매개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비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녀의 우울과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여성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수준과 학업지속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 여가 및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Culture and Info-communication Cost)

  • 이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49-3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상황이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한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임신 중인자나 임신해 있으면서 출산 후 자녀를 양육할 계획을 가진 자, 자녀를 낳아 키우고 있는 청소년 한부모 248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명 중 1명이 수혜자로, 청소년 한부모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학업 중단 경향을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조절하여 학업지속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스트레스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려는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을 위해 여가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학교결석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패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cological-Systemic Factors on School Absenteeism in South Korean Children - A Panel Fixed Effects Analysis -)

  • 김동하;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05-125
    • /
    • 2016
  • 학교결석은 학업중단이나 비행 범죄에 대한 잠정적인 조기 예측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의 학교결석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에서 초4 패널의 2차년도와 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2,378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 학교활동참여정도, 학업성적이 학교결석일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는 학교결석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학교활동참여와 학업성적은 학교결석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교결석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교육만족도를 통한 대학생들의 대학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Royalty through Education Satisfaction)

  • 강민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5-37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 소재의 J대학의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학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의 대학 충성도는 학생들의 학업중단 의도와 더불어 대학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주요한 지표로 학업중단 의도와는 반대로 긍정적인 측면을 담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만족도 설문 분석 결과, 첫째, 학년 별, 학점 구간별 각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만족도의 변인 중 학생들의 대학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기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수강의, 학업지도, 취업지도, 교육환경, 학생자신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 결과에서 대학의 충성도를 결정하는 최상위의 결정 요인은 학생 자신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유지 예측 (Predicting the Retention of University Freshmen Using Peer Relationships)

  • 이연주;최승원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1호
    • /
    • pp.31-48
    • /
    • 2021
  • 본 연구는 특정 학과에 입학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과 내 교우관계가 향후 해당 학과에서의 학업유지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업유지 상태는 측정한 기간 동안 학생이 대학에 등록을 하여 재적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자신과 타인의 지각을 집단에서 파악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관계를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요인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7년, 2018년, 2019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름 생성기 방식을 통하여 교우관계를 양적으로 나타내는 네트워크 변인들을 조사하였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2020년 1학기까지의 학업 중단 경험 유무를 통해 학업유지 정도를 예측하였다. 분석 방법은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학생들의 학업유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과 동기 사이의 교우관계가 학업유지 및 중단을 예측하여 조기선별과 학업유지를 위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하나의 학과 신입생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일반화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정신건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중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 방은주;김두형;노법래;유혜승;장지현;하경희;박은진;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73-18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by using longitudinal data. Methods: For this study, 153 high schools were randomly sampled on a nationwide scale. The descriptive data was collected from a school information internet site which is organ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We used the schools' mean scores on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Behavior Questionnaire-II (AMPQ-II) scale which was used for estimating students' mental health in the 2013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test.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llowing year's academic achievement and annual dropout rates. Especially,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tend to increase the school dropout rate in vocational schools.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stat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융복합적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Problem Behaviors in Out-of-school Adolescents: A Focus on Gender Difference)

  • 이재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33-34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에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부산여성가족개발원에서 실시된 학교 밖 청소년 연구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총 499명의 학교 밖 청소년이며, 남자는 337명, 여자는 16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문제행동은 가출, 학업중단, 성매매, 폭력, 인터넷게임중독, 절도, 약물중독 및 흡연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행동 중 인터넷게임중독과 절도는 남자 학교 밖 청소년이 여자 학교 밖 청소년보다 높았다. 인터넷게임중독은 남자 학교 밖 청소년이 여자학교 밖 청소년보다 1.90배 높았다(p=.008, 95% CI=1.18-3.06). 절도는 남자 학교 밖 청소년이 여자 학교 밖 청소년보다 1.92배 높았다(p=.006, 95% CI=1.21-3.03). 앞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대책을 마련할 때, 문제행동의 양상과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