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sychosocial changing process of upper grade students expelled from local private university

지방사립대 남학생들의 학업중단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고학년 제적학생을 중심으로

  • 박경은 (세명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윤진영 (세명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0.08.25
  • Accepted : 2021.04.04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social changing process of upper grade students expelled from local privat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5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s a result, 183 concepts, 54 sub categories, and 18 essential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process analysis showed that the process of psychosocial changing is composed of seven steps Find a sense of belonging', 'Find fun', 'Stop thinking',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Career decision', 'Immersion', 'Finish the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and the newly discovered point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nd points to be considered in local private university fiel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존립의 위협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 지방사립 대학 고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중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지 한 대학에서 제적 학생의 명단을 받아 연구 참여에 동의한 15명 학생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질적 연구 분석 방법 가운데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83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 범주, 18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매트릭스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과정 분석에서는 지방사립대 고학년 남학생의 학업중단의 과정은 총 7단계로, '소속감 찾기', '재미 찾기', '멈춰 생각하기', '(바깥)세상 경험하기', '진로 확정하기', '몰두하기', '학업 마무리 짓기'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방사립대학의 존립을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 (2010).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3(1), 25-53.
  2. 권재환, 김경희 (2013).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5, 32-58.
  3. 김성식 (2007). 대학생들의 학업 지속/이동 결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 요인과 대학생활 요인의 영향. 제3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77-93.
  4. 김성식 (2008).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및 학교 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의 영향. 한국교육, 35(1), 27-249.
  5. 김수연 (2006).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 요인분석. 한국교육, 33(4), 33-62.
  6. 김수연 (2010). 대학생의 학업지속 경향성 척도개발과 양호도 검증. 진로교육연구, 23(3), 1-29.
  7. 김수연 (2012). 대학 학업중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1학년 적응과정 분석: 대학 중도 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기초연구. 진로교육연구, 25(3), 139-160.
  8. 김안나, 김성훈 (2010). 대학생 선택에 미치는 학자금지원의 영향: 휴학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41(2), 163-180.
  9. 김영도, 박상일 (2016). 대학생 성별에 따른 체육대회 참여동기, 참여태도, 대학생활적응 및 대학생활 만족 관계분석. 한국웰니스학회, 11(2), 77-88.
  10. 김형관, 신현석, 서민원, 황기우 (2001). 대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이 학생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등교육, 12(2), 117-154.
  11. 노혜란, 최미나 (2008).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89-107.
  12. 박성호, 강영혜, 임후남, 이정미, 엄문영, 김본영 (2014).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III):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3. 박은선, 김광현 (2016).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 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0), 361-384.
  14. 박은주, 이혜경 (2016).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K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청소년포럼, 46, 91-111.
  15. 박정애, 진미경 (2015). 남녀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가까운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2(1), 101-123.
  16. 박환보, 김성식 (2011). 개인배경, 취업준비노력, 대학서열유형이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1(3), 77-98.
  17. 박희민 (2009). 전문대학 학생중도탈락 요인분석: 오산대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8. 배상훈, 박인심, 강민수, 윤수경, 전수빈 (2016). 2016년 학부교육 교수.학습 질관리 및 제고 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 백은주, 남민우, 이해듬 (2015).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233-260.
  20. 변기용, 이석열, 송경오, 변수연 (2016).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 재정지원 사업 및 평가체제 발전 방안. 지역발전위원회.
  21. 손진희 (2010).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 요인 탐색: 청소년기 학업우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35-457.
  22. 안나영 (2016). 대학 신입생의 전공 관심도, 동료 및 선배들과의 관계, 경제적 어려움이 학업중단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방의 한 국립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3. 오영재 (2005).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1), 327-356.
  24. 유현숙, 임후남, 서영인, 신현석, 고장완 (2012).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25. 이관형, 장용규, 안현미 (2000). 교육대학 남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도 연구. 학생생활연구소, 26, 111-145.
  26. 이덕로, 이성석 (2002). 학생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고객만족관점을 중심으로. 산학경영연구, 15, 1-24.
  27. 이동화 (2014). 학업중단 학생 교육지원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8. 이두휴, 고형일 (2003). 대학서열체계의 공고화와 지역간 불균등발전. 교육사회학연구, 13, 191-214.
  29. 이병식 (2003).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기관 특성의 탐색적 분석. 교육학연구, 41(2), 135-154.
  30. 이석열 (2008). 대학생의 개인특성 및 학교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결정요인 분석. 평생교육.HRD연구, 7(4), 89-118.
  31.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32. 임승달, 권영섭, 변세일 (2004).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 국토개발연구, 2004-10.
  33. 임 언, 곽윤영 (2011). 여자 대학생의 학업중단 유형 분류 및 관련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30(2), 231-248.
  34. 정애경, 김지심, 김정화 (2013).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6(6), 11-18. https://doi.org/10.18108/JEER.2013.16.6.11
  35. 조성연, 문미란 (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31-748.
  36. 조은정, 이혜경 (2014).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 요인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7(4), 113-127.
  37. 진미석 (2013).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105-127.
  38. 최길순 (2010).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광역시 D대학을 중심으로. 한국비지니스리뷰, 3(1), 95-118.
  39. 최명선, 강지희 (2008).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청소년학연구, 15(7), 203-225.
  40. 최보금 (2010). 대학생 학업중단의도의 변화과정과 관련된 요인 분석. 제5회 한국고용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1-25.
  41. 최정윤, 이병식 (2009). 대학생 학습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대학효과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9-222.
  42. 한규철, 이현심 (2019).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구직효능감의 구조적 관계-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3), 967-995.
  43. 한송이 (2010).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44. 형정은, 김정섭 (2016).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우울, 진로미결정,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23(7), 189-220.
  45. 홍지인 (2014).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대학 몰입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46. Braeaon, J M, Jones, W. A., Hirschy, A. S., & Haetley m, H. V. (2008). The roll of active learning in college student persistenc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15, 71-83.
  47. Fredricks, J. A., Blumenfeld, P. C., & Paris, A.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 59-119. 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1059
  48. Ginzberg, E. (1952).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Personal & Guidance Journal, 30, 491-494.
  49. ] M. D. Hoffshire, N. Ralston, and K. J. Lacho. (2013). College freshmen retention: The first-year experience program.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Educational Leadership, 18(1), 31-35.
  50. J. E. Hoyt, and B. A. Winn. Understanding Retention and College Student Boies: Differences Between Drop-Outs, Stop-Outs, Opt-Outs, and Transfer-Outs. (2004), NASPA Jouranl, 41(3), 395-417. https://doi.org/10.2202/1949-6605.1351
  51. K. Zvoch. (2006). Freshman Year Dropouts: Interactions Between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Student Dropout Status. Journla of Education for Students Placed at risk. 11(1), 97-117. https://doi.org/10.1207/s15327671espr1101_6
  52. P. Wilcox, S. Winn, and M. Fyvie-Gauld. (2005).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0(6), 707-722. https://doi.org/10.1080/03075070500340036
  53. Rumberger, R. W. (2004). Why students drop out of school. In Gary Orfield (Ed.), Dropouts in America: Confronting the graduation rate crisis.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54. Sedman, A. (2005). Where we go from here: a retention formula for student success. In Seidman, A.(Ed), College Student Retention, 295-316.
  55. Super, D. E. (1969).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persons, positions,and proces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 2-9. https://doi.org/10.1177/001100006900100101
  56. Tied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and adjustment. Princeton. NJ: College Entrance ExzminationBoard.
  57. Tweedell, C. B. (2000). Retention in accelerated degree-completion programs. Adult Higher Education Alliance conference Archived Proceeding.
  58. V. Tinto. (1975).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1), 89-12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59. V. Tinto. (1992).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In B. Clark. and G. R. Neave(eds.) Encydopedia of Higher Education 3, New York: Pergamon Press. 1697-1707.
  60. V. Tinto. (2006-2007). Research and practice of student retention: What next?. Research and practice of student, 8(11),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