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기홍(2003). 학업중단청소년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학생생활연구, 24(1), 117-136.
- 교육과학기술부(2009a). 2008년 간추린 교육통계.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09b). 2008년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09c).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09d). 교육통계연보. www.mest.go.kr/ms_kor/inform 2009. 8. 17 인출.
- 교육과학기술부(2009e). 학교부적응 및 학업중단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대폭 확대.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www.mest.go.kr/ms_kor/news에서 2009. 8. 16 인출.
- 교육과학기술부(2009. 2. 13). Wee center, 신빈곤층 위기학생 보호.지원서비스 본격 가동.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 구본영.신현숙.유제민(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 구본용.유제민(2003).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8(1), 133-146.
- 구인회(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 구자경(2003).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309-330.
- 금명자(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4(1), 299-317.
- 금명자.권해수.이자영.이수림.김상수(2004). 학교밖 청소년 중합지원체제구축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9.
- 김광운(2004).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의 활동방향.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29, 61-76.
- 김경식(1997). 중.고교 중퇴생과 재학생의 교내외 생활 비교를 통한 중퇴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7(3), 115-138.
- 김경식(1998). 중.고교 중퇴 청소년의 중퇴 이전과 이후의 비행 비교. 중등교육연구, 41, 1-18.
- 김동민.금명자.권해수.이소영.이희우.이광호(2003).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 구성 및 운영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 김성이.조학래.노충래(2004). 청소년복지학. 서울 : 집문당.
- 김순규(2002). 청소년의 학업중퇴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논집, 28, 21-39.
- 김지혜.안치민(2007).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연구, 17(2), 133-157.
- 김혜영(2002).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13-242.
- 노상우(2004).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전략. 교육의 이론과 실천, 9(2), 45-64.
- 문선화.신심중.이춘기(1998). 중등학교 중퇴자의 학교복귀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 접근방안.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 8(1), 185-207.
- 박수민(1998). 복교를 원하는 중퇴청소년의 학교적용을 위한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4(1), 25-46.
- 박창남.도종수(2003).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207-238.
- 박현선(2004). 학엽중퇴 청소년의 적용유연성. 청소년상담연구, 12(2), 69-82.
- 배영태(2003). 중고생의 중도탈락 인과모형 검증과 판별척도 개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서울 :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 성윤숙(2005).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 송광성.구정화(1993). 정학.퇴학 청소년 선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5, 80-100.
- 안은미(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현의.이소영.권해수(2002).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19-31.
- 우영숙(2004). 보호처분을 받은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수강명령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소고. 사회복지실천, 4, 21-42.
- 윤여각.박창남.전병유.진미석(2002). 학업중단 청소년 및 대안교육 실태 조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이경상(2003). 국가발전과 청소년대안교육 :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설정 실태 및 지원 방안. 한국청소년학회 2003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93-109.
- 이경상(2006). 학업중단이후 첫 번째 아르바이트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청소년연구, 17(2), 165-289.
- 이경상.조혜영(2005).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설정 및 준비실태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19-38.
- 이길홍.박두병.신용규(1994). 입원한 학업중단 청소년 정신질환자에 관한 정신의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3(6), 1295-1305.
- 이무영.유혜영.한성애.이홍자.조영연(1964). 불취학 및 중퇴아동의 실태조사. 교육연구, 25, 173-187.
- 이병환(2002). 학업중단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 29(1), 175-196.
- 이병환(2007). 대안교육을 통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 방안. 중등교육연구, 55(1), 69-89.
- 이숙영.남상인.이재규(1997).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서울 : 청소년상담연구원.
- 이재우(1973). 중학교 중퇴원인과 예방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11(1), 52-78.
- 장석민(1988). 중퇴 및 비진학 청소년의 진로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전경숙(2005). 외국의 학업중단 청소년층을 위한 취업 지원정책. 직업과 인력개발, 가을호, 112-123.
- 전경원(2006).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 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4(1), 3-21.
- 전경숙.노재봉(2003). 중퇴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와 보호대책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개발원.
- 정규석.Bronson, E. D. (2000). 미국의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에 관한 다체계 모델. 한국아동복지학, 9, 205-225.
- 정연순.이민경(2008).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 35(1), 79-102.
- 조성연.유진이.박은미.정철상.도미향.길은배 외(2008). 청소년복지론. 서울 : 창지사.
- 조아미(2002).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9(2), 1-22.
- 중앙일보(2007. 4. 7). 15-24세 사망원인 1위는 '자살'.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687136에서 2009년 12월 23일 인출.
- 지승희.양미진.이자영.김태성(2006).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 추병식(2003). 학교붕괴의 탈근대적 의미. 청소년학연구, 10(3), 49-64.
- 표갑수(1993). 중고등학생의 중퇴요인과 대책 : 중퇴자와 재학자의 비교. 청소년학연구, 1(1), 127-147.
- 한국교육개발원(2008). 학업중단 관련 통계. 교육정책포럼, 183, 22-23.
- 한준상(1997). 중퇴생의 진로선도를 위한 사회적 지원 체계 구축 방안. 진로교육연구, 7, 115-134.
- 홍봉선.남미애(1998). 복교를 원하는 부산지역 중퇴 청소년 부모의 욕구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1), 141-179.
- 황창순(1996). 청소년 학업중퇴의 현황과 사회복지적 대책. 순천향사회과학연구, 2(1), 109-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