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hool-Dropout Adolescent

학업중단 청소년

  • 조성연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미리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청소년지도학과) ;
  • 박은미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8.22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status, research issues, and pragmatic and policy issues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As the number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ince 2006, more attentions have been given to these adolescents academically, intervention and policy-wise. Some of the research topics on them include types of school-dropouts, their socio-environmental factors, and reasons for the increase of school-dropouts. In reality,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cope with their dropping out of schools by preparing the career guidance for them and to resolve the issues of their returning to or continuing in school education and their welfare.

Keywords

References

  1. 고기홍(2003). 학업중단청소년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학생생활연구, 24(1), 117-136.
  2. 교육과학기술부(2009a). 2008년 간추린 교육통계.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09b). 2008년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09c).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09d). 교육통계연보. www.mest.go.kr/ms_kor/inform 2009. 8. 17 인출.
  6. 교육과학기술부(2009e). 학교부적응 및 학업중단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대폭 확대.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www.mest.go.kr/ms_kor/news에서 2009. 8. 16 인출.
  7. 교육과학기술부(2009. 2. 13). Wee center, 신빈곤층 위기학생 보호.지원서비스 본격 가동.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8. 구본영.신현숙.유제민(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9. 구본용.유제민(2003).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8(1), 133-146.
  10. 구인회(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11. 구자경(2003).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309-330.
  12. 금명자(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4(1), 299-317.
  13. 금명자.권해수.이자영.이수림.김상수(2004). 학교밖 청소년 중합지원체제구축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9.
  14. 김광운(2004).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의 활동방향.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29, 61-76.
  15. 김경식(1997). 중.고교 중퇴생과 재학생의 교내외 생활 비교를 통한 중퇴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7(3), 115-138.
  16. 김경식(1998). 중.고교 중퇴 청소년의 중퇴 이전과 이후의 비행 비교. 중등교육연구, 41, 1-18.
  17. 김동민.금명자.권해수.이소영.이희우.이광호(2003).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 구성 및 운영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18. 김성이.조학래.노충래(2004). 청소년복지학. 서울 : 집문당.
  19. 김순규(2002). 청소년의 학업중퇴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논집, 28, 21-39.
  20. 김지혜.안치민(2007).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연구, 17(2), 133-157.
  21. 김혜영(2002).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13-242.
  22. 노상우(2004).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전략. 교육의 이론과 실천, 9(2), 45-64.
  23. 문선화.신심중.이춘기(1998). 중등학교 중퇴자의 학교복귀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 접근방안.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 8(1), 185-207.
  24. 박수민(1998). 복교를 원하는 중퇴청소년의 학교적용을 위한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4(1), 25-46.
  25. 박창남.도종수(2003).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207-238.
  26. 박현선(2004). 학엽중퇴 청소년의 적용유연성. 청소년상담연구, 12(2), 69-82.
  27. 배영태(2003). 중고생의 중도탈락 인과모형 검증과 판별척도 개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서울 :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9. 성윤숙(2005).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30. 송광성.구정화(1993). 정학.퇴학 청소년 선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5, 80-100.
  31. 안은미(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안현의.이소영.권해수(2002).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19-31.
  33. 우영숙(2004). 보호처분을 받은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수강명령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소고. 사회복지실천, 4, 21-42.
  34. 윤여각.박창남.전병유.진미석(2002). 학업중단 청소년 및 대안교육 실태 조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5. 이경상(2003). 국가발전과 청소년대안교육 :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설정 실태 및 지원 방안. 한국청소년학회 2003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93-109.
  36. 이경상(2006). 학업중단이후 첫 번째 아르바이트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청소년연구, 17(2), 165-289.
  37. 이경상.조혜영(2005).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설정 및 준비실태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19-38.
  38. 이길홍.박두병.신용규(1994). 입원한 학업중단 청소년 정신질환자에 관한 정신의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3(6), 1295-1305.
  39. 이무영.유혜영.한성애.이홍자.조영연(1964). 불취학 및 중퇴아동의 실태조사. 교육연구, 25, 173-187.
  40. 이병환(2002). 학업중단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 29(1), 175-196.
  41. 이병환(2007). 대안교육을 통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 방안. 중등교육연구, 55(1), 69-89.
  42. 이숙영.남상인.이재규(1997).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서울 : 청소년상담연구원.
  43. 이재우(1973). 중학교 중퇴원인과 예방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11(1), 52-78.
  44. 장석민(1988). 중퇴 및 비진학 청소년의 진로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45. 전경숙(2005). 외국의 학업중단 청소년층을 위한 취업 지원정책. 직업과 인력개발, 가을호, 112-123.
  46. 전경원(2006).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 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4(1), 3-21.
  47. 전경숙.노재봉(2003). 중퇴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와 보호대책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개발원.
  48. 정규석.Bronson, E. D. (2000). 미국의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에 관한 다체계 모델. 한국아동복지학, 9, 205-225.
  49. 정연순.이민경(2008).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 35(1), 79-102.
  50. 조성연.유진이.박은미.정철상.도미향.길은배 외(2008). 청소년복지론. 서울 : 창지사.
  51. 조아미(2002).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9(2), 1-22.
  52. 중앙일보(2007. 4. 7). 15-24세 사망원인 1위는 '자살'.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687136에서 2009년 12월 23일 인출.
  53. 지승희.양미진.이자영.김태성(2006).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54. 추병식(2003). 학교붕괴의 탈근대적 의미. 청소년학연구, 10(3), 49-64.
  55. 표갑수(1993). 중고등학생의 중퇴요인과 대책 : 중퇴자와 재학자의 비교. 청소년학연구, 1(1), 127-147.
  56. 한국교육개발원(2008). 학업중단 관련 통계. 교육정책포럼, 183, 22-23.
  57. 한준상(1997). 중퇴생의 진로선도를 위한 사회적 지원 체계 구축 방안. 진로교육연구, 7, 115-134.
  58. 홍봉선.남미애(1998). 복교를 원하는 부산지역 중퇴 청소년 부모의 욕구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1), 141-179.
  59. 황창순(1996). 청소년 학업중퇴의 현황과 사회복지적 대책. 순천향사회과학연구, 2(1), 109-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