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성취도 수준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3초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 추정 및 예측요인 탐색 (Estimating the Longitudinal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Piecewise Growth Modeling)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70-3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 초4)부터 6차년도(2016년, 중3)까지의 6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6학년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초등학교 시기(초4-초6), 중학교 시기(초6-중3)로 변화율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무변화, 선형변화, 이차변화 성장모형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 모두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학교 시기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학업성취 초기치(초4)는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친구의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방임적 양육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1(초등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친구의 지지가 학업성취의 감소 패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 2(중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감소 패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수준별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 차이 분석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at Each Achievement Level in Content Domains)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5-42
    • /
    • 2016
  • 남녀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것은 그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한 번의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소수의 피험자로는 일반성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여러 해에 걸쳐서 피험자가 배운 내용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야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2014년에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다루었다. 그로부터 성취도 점수와 평균 정답률 등을 검사 전체, 문항 유형, 내용 영역 측면에서 정리하면서 성취수준별로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례연구: 하드웨어 교과과정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rogramming academic achievement: Focused on the hardware curriculum)

  • 이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79-79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W 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수준을 S/W 전공자들과의 상대적 비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첫째, H/W와 S/W 분야 졸업예정자들에게 C언어와 C++언어에 관한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둘째, H/W와 S/W의 교과과정 편성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련된 정보를 교과과정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셋째, 수학적 학습능력이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수학 교과목과 프로그래밍 교과목간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하여 향후 H/W 교과과정에서 학과차원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증대 방안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대학교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e-러닝 학습전략 (E-Learning Strategies Affecting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김미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93-10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혼합학습 환경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e-러닝 학습전략의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K대학교에서 혼합학습(BL)에 참여하는 5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e-러닝 학습전략,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고, 학습참여도는 LMS의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학습자들의 e-러닝 학습전략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 e-러닝 학습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선형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시간관리전략, 과부하관리전략으로 규명되었다. 학습참여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자기주도전략, 시간관리전략, 과부하관리전략으로 규명되었다.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다중토론관리전략, 비동시성관리전략, 사회성으로 규명되었다. 이 연구에서 규명된 예측변인을 토대로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 PDF

스마트러닝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수학적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Smart Learning Math Class on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 김성태;강현민;박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217-226
    • /
    • 2021
  • Covid -19 이후 온라인 학습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교육기관은 더 이상 온라인 학습을 부가적인 자료로 바라보지 않고 주된 학습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스마트러닝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흥미,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을 구분하여 6주간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집단과 대면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에 학업성취도, 수학적 흥미, 태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집단이 대면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세 요인 모두 사전-사후 차이가 큰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학생들은 기존의 성적 수준이 태도 변화와 학업성취도 변화 사이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높은 학생에 비해 스마트러닝을 통해 태도변화 차이가 클수록 학업성취도 점수도 크게 향상하였다.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진로정체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Value and Academic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89-598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취가치로 학업적응을 예측함에 있어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와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남학생 1088명과 여학생 970명이다. 연구방법은 SPSS와 haye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건부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가치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가치와 자기조절 및 성취가치와 학업적응 간의 각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성취가치가 자기조절을 경유하여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의 크기는 진로정체감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가치가 낮은 중학생에게 진로정체감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자기조절과 학업적응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진로정체감의 영향이 성취가치나 자기조절의 영향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연구를 통하여 성취가치를 높이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한다.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tilization of computer & smartphon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권선아;이수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5-46
    • /
    • 2017
  • 본 연구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2015년에 시행한 서울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활용이 많은 학생일수록 창의성과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활용 증가율은 창의성 증가율과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고, 학업성취도 증가율과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창의성이 높은 학생이 학업성취도 또한 높았지만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다.

초등학교 수학 학업성적에서의 성별 거주지역별 차이 (Study on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y Gender and Residential Area)

  • 이순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177-1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중 성차 그리고 환경 변인 중 거주지역에 따른 수학교과 학업성적의 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과에서 초등학교 남녀 학생들의 학업성적의 차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차이에서 모두 공통된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3학년에서는 여학생의 수학성적이 우위를 나타냈지만 4학년과 5학년에 와서는 이러한 현상이 점점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수학 학업성적에서의 점수대별 성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5학년까지는 각 점수대별 남녀의 비율이 거의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성적 수준별 남녀 학생의 비율을 분석한 선행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초등학교 3, 4,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적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21세기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도 도농 간 학력격차의 문제는 그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더구나 읍면지역 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본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른 기하 문제해결의 특징 탐색 (Research for Distinctive Features of Geometry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on Middle School Students)

  • 김기연;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215-237
    • /
    • 2006
  •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학생들의 성취수준별로 기하 문제해결에서 어떤 특정을 보이는지를 탐색하려 하였다. 기초학력, 보통학력, 우수학력 학생 3 명씩을 동질그룹으로 구성하여 교사의 도움 없이 비정형적인 기하 문제를 해결하게 하였고, 관찰을 통해 성취수준별로 기하 개념 발달 수준이 어떠한지, 문제 해결의 방법을 선택할 때 어떤 접근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모양과 실용 기하의 개념 수준에서 문제해결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 물리적, 구체적 행동을 보였고, 보통학력 학생들은 실용 기하와 유클리드 기하의 수준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어 문제해결의 여러 가지 방법을 탐색했으며, 우수학력 학생들은 실용 기하와 유클리드 기하의 수준에서 일반화와 정당화를 통해 문제해결의 본질에 접근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학생들의 수준별 수학 학습을 지도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피코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교육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Pico Cricket)

  • 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75-478
    • /
    • 2010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교육용 로봇인 피코크리켓을 활용하여 동료지도학습을 실시하고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래밍 학습은 다양한 학습효과에도 불구하고 문법의 어려움과 학습내용의 어려움 때문에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용 로봇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입문자를 배려한 프로그래밍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요소가 있다. 한편 프로그래밍 교육은 타 학습내용에 비해 수준별 학습이 더욱 요구되는 학습내용으로서 일제식 수업방법으로는 지도의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동료지도학습법으로 실시하고 이의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는 연구를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