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tilization of computer & smartphone of middle school students  

Kyun, Suna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Lee, Soo Young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0, no.3, 2017 , pp. 35-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tilization of computer & smartphon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verified, using three year longitudinal panel data of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2013-2015).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used computer & smartphone, the better scores they obtained on the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their grade goes up, while the growth rates of using computer & smartphone and creativity were related positively, the growth rates of using computer & smartphone and academic achievements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related negatively. In addition, the first year students, who obtained high level of scores on the creativity, obtained high level of scores on academic achievements, but this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as their grade goes up.
Keywords
Computer & Smartphone Utilization;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6). 2016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결과 주요 내용. KISDI STAT Report 16-11-15.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여성가족부(2010).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3 경기도교육청 (2012). 학생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 조사 보고서. 수원: 경기도교육청.
4 홍성용, 이문정, 성은현(2014).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공학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3(2), 281-299.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 연구보고 PRE 2014-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Li, X, & Atkins, M.(2004). Early childhood computer experience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Pediatrics, 113(6), 1715-1722.   DOI
7 Fiorini, M.(2010). The effect of home computer use on children’s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9(1), 55-72.   DOI
8 노용(2004). ICT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중학생의 조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술교육연구논총, 32(1), 1-25.
9 김윤정(2010).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창의적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연구, 12(3), 57-74.
10 강민경, 부정민(2013). 컴퓨터를 활용한 동화 재구성 협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55-177.
11 Banerjee, A., Cole, S., Duflo, E., & Linden, L.(2007). Remedying education: Evidence from two randomized experiments in India.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2(3), 1235-1264.   DOI
12 Barrow, L., Markman, L., & Rouse, C.(2009). Technology's edge: The educational benefits of computer-aided instruction. American Economic Journal: Economic Policy, 1(1), 52-74.   DOI
13 Kebritchi, M., Hirumi, A., & Bai, H.(2010). The effects of modern mathematics computer gam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class motivation. Computers & Education, 55(2), 427-443.   DOI
14 Dynarski, M., Agodini, R., Heaviside, S., Novak, T., Carey, N., Campuzano, L., Means, B., Murphy, R., Penuel, W., Javitz, H., Emery, D., & Sussex, W.(2007). Effectiveness of reading and mathematics software products: Findings from the first student cohort. NCEE report to congress 2007-4005. U.S: Department of Education.
15 Rouse, C., & Krueger, A.(2004). Putting computerized instruction to the test: A randomized evaluation of a "scientifically based" reading program.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23(4), 323-338.
16 정미경(2002).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 및 창의성과 가정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87-206.
17 송인섭(2003). 창의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2(2), 5-28.
18 김복권(2017). 고등학생의 수학성취 수준별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427-450.
19 김민경, 황우형(2015).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 연구. 교과교육연구, 8(2), 1-29.
20 김정아(2015). 고등학교 1학년 미술 수업에서 스마트폰 앱의 활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1 김은영, 송미현(2012). SNS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 적용가능성 탐색-'창의성 동아리'를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12(3), 29-55.
22 홍성용, 이문정, 성은현(2014).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281-299.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08-10.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4 김세리, 남창우, 장선영(2012). 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 활용이 학습 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8(4), 849-877.
25 성은모(2014).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이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4), 621-850.
26 성은모(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 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2), 215-243.
27 김여란, 김현숙(2015).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와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8(3), 200-210.   DOI
28 장준혁, 박판혁(2014).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21-528.
29 김대희, 박판혁(2016).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연구. 한국교육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29-38.
30 문혜성, 사공옥정(2014). 컴퓨터 활용 프로젝 트 미디어교육의 중등 기술교과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19(1), 163-166.
31 홍원준, 임철일, 박태정(2014).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1048-1057.   DOI
32 허균(2017). 고등학생들의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과 고3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180-187.   DOI
33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16). 서울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34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35 김계수(2009). 잠재성장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36 홍세희, 유숙경.(2004). 다변량 고차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17(2), 131-146.
37 Duncan, T., Duncan, S., Strycker, A., Li, F., & Alpert, A.(1999).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 Concepts, Issue, and Applications. New Jersy, Mahwah: Lawrence Erlbuam.
38 김보영, 이지혜, 이수정, 김혜자, 이상민 (2015). 청소년의 비공식적낙인과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1), 277-295.
39 West, S. G., Finch, J. F., and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Newbury Park, CA : Sage.
40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1 권선아, 정윤희, 남나라(2016). 학생과 교사의 ICT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제 2회 서울교육종단연구학술대회 발표집, 136-155.
42 남창우, 신수영(2014). 학생의 ICT 관련 변인이 ICT 활용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7(5), 1265-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