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성취도 수준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8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별 정답률 편차에 따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ntent Areas and Behavioral Areas Based on the Deviation of NAEA Achievement Level-Based Correct-Answer Rate)

  • 허난;양성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435-453
    • /
    • 2018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분석은 학교 현장에 교수 학습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적용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개년 동안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답지 반응 분포와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정답률 편차를 분석하였다. 우수학력 수준과 보통학력 수준, 보통학력 수준과 기초학력 수준 사이의 정답률 편차를 계산하고 편차의 누적백분율 제3사분위수 이상의 문항을 선별한 후,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은 무엇이며 이러한 문항들의 성취기준 및 특성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성취수준별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성취수준별 특징 탐색 -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Investigation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Grade 6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s - The Result Analysi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3 -)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1호
    • /
    • pp.33-54
    • /
    • 2005
  •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결과 분석의 하나로, 각 문항별로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수준 각각에 속한 학생들의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특별히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결과 분석 내용을 활용하여, 먼저 문항별 성취수준의 특징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성취수준별 학생들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 결과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이나 수준별 수업의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이광상;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37-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200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I) -수학과의 성취수준 비율을 중심으로-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2 - The Result Analysis of Achievement Levels in Mathematics -)

  • 조영미;이봉주;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301-312
    • /
    • 2004
  • 이 논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02년에 실시하고 이듬해인 2003년에 분석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보고 내용 중에서 특별히 성취수준과 관련된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이 성취도 평가에서는 ‘수정된 앙고프 방법’을 도입하여 성취수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그렇게 설정된 성취수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력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평가 영역, 성, 지역별로 각 학년급의 성취수준 비율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교육정책과 수학교육과정에 관련된 제언을 하였다.

  • PDF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 추이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The Trend of Gender Differences in Variability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thematics)

  • 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3-28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수학 성취도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국내 성차 분석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변산도 측면에서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각 학교급 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변산도 지수 중의 하나인 분산에서 성차를 분석한 결과, 세 학교급에서 모두 남학생 점수의 분산이 여학생 점수의 분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일한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표본을 통한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산도 추이 변화로부터 대체적으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수학 점수의 변산도가 더 커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급의 우수학력 수준과 기초학력미달 수준에서 남학생 비율이 대체적으로 여학생 비율보다 더 높았다.

  • PDF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tems between Korea and Japan)

  • 김부미;조형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07-4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최신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최초로 시행한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수학 문항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두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개괄하였고, 두 국가의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평가의 문항을 내용영역, 맥락, 역량에 따른 분석틀에 따라 수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두 국가의 문항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를 반성할 수 있는 문항 개발,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을 반영한 평가 문항 개발 등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개선방안과 2022 개정을 앞두고 '증명' 용어의 도입 필요성 및 방법 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수준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of Middle School Educational Achievement)

  • 김민호;송희헌;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1호
    • /
    • pp.45-52
    • /
    • 2010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07년까지 표집 평가를 시행해 왔지만 2008년에는 해당 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 평가 체제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달리 도수 분포표를 이용하여 석차계산 시간을 단축하고, 성적 통지표 출력을 위한 점수 입력을 자동화하였다. 또한 구현한 시스템에서는 도 전체 학업성취도 현황, 총점 및 교과별 점수 도수분포, 문항난이도와 변별도, 오답지 매력도, 교과별 성취도, 성별 지역별 성취도, 교육 청별 성취도, 학교별 성취도, 개인별 성취도, 성적 우수자 현황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수능 인터넷강의 선호요인 사례분석 : 학업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Major Factors in Taking Internet based Lectures for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s by Case Studies)

  • 임걸;정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77-491
    • /
    • 2010
  • 본 논문은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수학능력시험 대비 인터넷 강의의 유형과 이유를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이 인터넷 강의에 대한 관심도 및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수준 집단, 그리고 중간 수준 집단의 순서였다. 한편,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은 사교육 업체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강의를 선호하였으며, 다른 두 집단은 상대적으로 EBSi를 선호하였다. 인터넷 강의에 지출되는 비용은 학업성취도 상 중 하 집단별로 전체 사교육비 지출대비 각각 57%, 2%, 16%였는데, 이는 거주지역과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언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공교육 인터넷 강의의 질적 향상, 그리고 인터넷 강의와 학교교육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 이봉우;이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5-47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광학' 영역의 성취수준은 다른 영역(역학, 전자기학)에 비해서는 높았다. 둘째, '빛' 영역에서 '상의 형성'과 관련되어 학생들이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파동' 영역에서는 '파동의 전파에서 위상의 변화'와 관련되어 낮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 의존적인 문제풀이 전략 및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 개념에 대한 교육과정 수준의 재검토, 기초학력 단계 학생들에 대한 추가적인 교수학습의 필요성, 실제적인 현상 및 상황 중심의 교수학습의 필요성 등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이재봉;구자옥;최원호;심규철;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73-483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