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0.10.12.477

Understanding Major Factors in Taking Internet based Lectures for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s by Case Studies  

Lim, Keol (고려대학교 BK21교육학국제화사업단)
Jeoung, Young-Sik (한국교육개발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in online lectures for Korean SAT based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rough a qualitative interview approach. In results, the highest academic performance group showed a good deal of interest and usage in online lectures. This group participants preferred private online lectures to public ones. However, the lowest academic group liked to use public online lectures. The middle academic groups who lived in an expensive area spent a lot of money for tutoring or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rather than online lectures. Suggestions are: self-regulated learning is needed, public onilne lectures should have improved contents, and lastly, these online lectures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with regular school curriculum.
Keywords
Online Lectures; EBS; Academic Performances; Private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http://directory.search.daum.net/site_detail.daum?siteseq=544506&rpidx=0&rpstddate=&rprange=12&vs_conditions=www.megastudy.net&vs_conditions=http%3A%2F%2Fedu.ingang.go.kr%2F+&x=32&y=14
2 이희수, e-러닝 활성화를 위한 EBS 수능강의 사업의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3 이용주, 문양세, 김혜숙, 김진호, “온라인 교육 사이트의 교육 환경 및 효과 분석”, 정보통신논문지, 제12권, pp.117-123, 2008.
4 문영신, 고등학생의 EBS 인터넷 강의 이용 동기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김은정, 수준별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사이트 비교 분석 -수능강의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김선아, EBS 수능강의의 이용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권호중, EBS 온라인 방송 교육의 활용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8 최혁량, 수능관련 온라인 강의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조은아,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동영상 강의의 교수발화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황윤성, EBS 수능 영어 방송의 학년 및 소득수준별 시청 실태, 흥미도, 이해도 및 영어 성적과의 상관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성내경, 표본조사 방법론, 자유아카데미, 2003.
12 J. W. Creswell,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8.
13 B. Johnson and L. Christensen,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approaches (2n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4.
14 P. Freebody,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AGE Publications Ltd., 2004.
15 http://gss.gangnam.go.kr/jsp/GSS1/GSS1000.jsp?page_cd=004&sub_cd=01
16 http://ko.wikipedia.org/wiki/%EC%98%A8%EB%9D%BC%EC%9D%B8_%EA%B0%95%EC%9D%98
17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11/2010031100150.html
18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10300
19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10316
20 http://ko.wikipedia.org/wiki/Ebsi
21 http://100.naver.com/100.nhn?docid=812614
22 http://ko.wikipedia.org/wiki/%EB%A9%94%EA%B0%80%EC%8A%A4%ED%84%B0%EB%94%94
23 http://www.rankey.com/rank/rank_site_cate.php?cat1_id=4&cat2_id=56&cat3_id=381
24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10301
25 이인숙,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2호, pp.51-67. 2008.
26 교육인적자원부,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3.
27 한국교육개발원, EBS 수능강의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8-34, 2008.
28 http://www.dje.go.kr/ctnt/ptal/info/18/nfo.18.002.sp?&pageNo=63&bmode=read&Seq=177833
29 이정선.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 방법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0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20/2009092000326.html
3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01/2009110100350.html?srchCol=news&srchUrl=news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