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 몰입도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9초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효과 : Senge모형을 중심으로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cused on Senge Model)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65-673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조직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비교적 가장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Senge(1990)의 학습조직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조직을 공유된 비전, 개인적 숙련, 팀 학습 및 시스템 사고로 구성하였고, 민간분야 사회복지사 342명의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학습조직 수준은 평균값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학습조직은 조직몰입과는 정(+)의, 이직의사와는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공유된 비전, 개인적 숙련 및 팀 학습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유된 비전과 팀 학습은 또한 이직의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4CID 모델 기반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의 몰입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4CID Model based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Learners' Flow Level)

  • 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7-46
    • /
    • 2008
  • 프로그래밍 학습에서의 로봇의 활용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되지만, 단지 로봇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도입을 통한 흥미 유발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오히려 학습지의 동기를 저해하거나 새로운 인지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학습에서의 로봇 활용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로봇의 기술적 특성 뿐 아니라, 로봇 프로그래밍 과제를 구성하고 제시하는 방식, 시기의 조절 등을 고려한 교수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초보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몰입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전략들을 설계하고 이러한 전략들이 실제 학습자의 몰입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을 수행한 집단이 일반 프로그래밍 학습을 수행한 집단에 비해 몰입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의 내재적 동기를 설명하는 자기목적적 경험 요인에서 높은 차이를 드러냈다.

  • PDF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in Cyber Education utilizing Electronic Media)

  • 주영주;정애경;이상회;김선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2호
    • /
    • pp.7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사회복지조사론학과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beta}$=.69, p<.05)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역시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beta}$ = .38, p<.05)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습몰입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를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의 성공적인 학습전략을 제공하는 운영전략을 제언하였다.

기업가정신, 정보기술 수용성, 미디어 활용역량이 직장인의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지향성 조절 효과를 반영하여 (Effects of Entrepreneurship,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and Media Utilization on Office Worker Commitment: with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 이상길;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37-51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정보기술 수용성, 미디어 활용역량이 직장인의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학습 지향성을 조절 효과로 반영하여 탐구하였다. 이는 스마트 정보화 시대에 개인과 조직에서의 핵심 역량 즉, 기업가정신, 정보기술 수용성, 미디어 활용역량이 업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독립변수로 제시된 기업가정신, 정보기술 수용성, 미디어 활용역량과 종속변수인 업무몰입 간에 학습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340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학습지향성 조절효과는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 중 성취 욕구와 진취성이 높을수록 업무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기술 수용성의 지각된 유용성과 미디어 활용역량의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업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지향성의 조절 효과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미디어 활용역량과 업무몰입 간에 학습 지향성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환경이 고도화된 스마트 정보사회에서 직장인의 업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취성과 성취욕구, 정보기술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의 축적과 함께 학습지향성과의 시너지 효과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Using YouTube on Learning Flow)

  • 김태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27-541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확산으로 학습자가 급증하고 있는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 7월 16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참여자는 총 428명이며, 불성실한 응답 19건을 제외하고 총 409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구모형의 각 경로 계수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유튜브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학습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유튜브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에 의한 평생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반영하여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COVID-19 이후에 형성된 평생교육 재규정 필요성 및 디지털 전환의 흐름을 반영하여 평생교육이 학습자의 참여동기를 제고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Differences in After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Degree of Learning Flow of After School in Middle School Student)

  • 신현아;장윤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99-511
    • /
    • 2011
  • 본 논문은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2,3학년 382명이며, 조사도구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강한 방과후학교 수업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학습몰입 척도와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한 결과 방과후학교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지도교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이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지도교사, 교육시설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가 높았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 간에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 김선화;박상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57-1565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전문대학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재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14일부터 6월 24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및 학습몰입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은 학업적 자기효능감(r=.619, p<.001), 전공만족도(r=.357 p<.001), 학습몰입(r=.681, p<.0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r=.359 p<.001), 학습몰입(r=.693, p<.001)과,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r=.351,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F=131.72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58.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환경의 제공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Emotions, Learning Flow and Perceived Teach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n Uncontacted Online Class Learning)

  • 정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75-83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과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 및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높을수록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주요 영향 요인은 학습정서, 학습몰입 및 인지된 교수실재감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42.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운영 시 학습자의 요인 고려와 교수자의 개인적 노력 및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온라인 화상 교육 몰입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방안 제안 -줌(Zoom)과 웹엑스(Webex)를 중심으로- (Proposal of design plan to improve immersion in online video education -Focusing on Zoom and Webex-)

  • 이가하;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41-348
    • /
    • 2021
  • 본 연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후 대학가에서 쓰이고 있는 온라인 화상 교육 플랫폼, 줌과 웹엑스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몰입도를 파악하고 몰입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몰입의 구성요소와 온라인 원격 교육 플랫폼의 화면 구성요소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몰입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줌과 웹엑스를 통해 온라인 교육을 받는 20-30대 학부생, 대학원생 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7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진행하였고, 그중 6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와 강의자의 소통이 가장 큰 요소로 도출되어 학습자와 강의자 간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구텐베르크의 다이어그램을 토대로 제안하였다. 온라인 화상 교육이 COVID-19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 예측됨에 따라 지속적인 온라인 화상 교육 몰입도 연구가 필요하며, 몰입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