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Using YouTube on Learning Flow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김태린 (동덕여자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주식회사 티엠제이글로벌 경영지원팀)
  • Received : 2022.02.04
  • Accepted : 2022.03.14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lifelong education through YouTub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where learner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6 to 30, 2021 for adult learne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428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 total of 409 copies of the results were analyzed, excluding 19 insincere respons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o be suitable for all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efficien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ach pathway in the research model,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YouTube lifelong education was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YouTube lifelong education on learning flow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in online lifelong education using YouTube reflec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lifelong education due to COVID-19. Reflecting the need for re-regul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med after COVID-19 and the flow of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how lifelong education can enhance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strengthen learning flow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as a medium.

본 연구는 COVID-19 확산으로 학습자가 급증하고 있는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 7월 16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참여자는 총 428명이며, 불성실한 응답 19건을 제외하고 총 409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구모형의 각 경로 계수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유튜브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학습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유튜브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에 의한 평생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반영하여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COVID-19 이후에 형성된 평생교육 재규정 필요성 및 디지털 전환의 흐름을 반영하여 평생교육이 학습자의 참여동기를 제고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blog.naver.com/moeblog/222214621469, 2021.1.21.
  2. 박서현, "한국 학계에서 지식 커먼즈의 대안적 생산에 대하여," 사회과학연구, 제59권, 제1호, pp.187-211, 2020.
  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50990, 2020.4.9.
  4.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6900, 2020.3.5.
  5. 문수지, 유튜브 기반 뷰티콘텐츠의 특성이 콘텐츠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9.
  6. 이강유, 성동규,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660-67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660
  7. 김영희, 김영수, "온라인 영어 쓰기 학습에서 학습자 개인차 변인, 몰입(flow), 언어 학습전략,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4호, pp.289-314, 2006.
  8. 임미향, 박영신,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12권, 제1호, pp159-172, 2006.
  9. 임영재, 이경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8호, pp479-497, 2021.
  10. 이현옥,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자녀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 전명순, 남자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남자중학생의 성취동기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Takatalo, Nyman, Laaksonen, "Components of human experience in virtual environm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No.1, pp.0747-5632, 2008.
  13. 김선영, 김유미, "초등학생용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연구," 교육연구, 제60권, 제1호, pp.99-131, 2014. https://doi.org/10.17253/SWUERI.2014.60..005
  14. 김수정, 지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 : 진로인식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0호, pp.993-1018, 2020.
  15. 김진아, "학습몰입경험, 학습지속력, 학업성취 및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127-152, 2014.
  16. 민윤희, 장성화,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제22권, 제3호, pp.123-137, 2013.
  17.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462-470,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462
  18. 권인아, 한상길,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학습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6호, pp.1295-1321, 2019.
  19. 조종수, "지역 및 교육의 소통을 고려한 평생교육원 설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9권, 제4호, pp.119-126, 2013. https://doi.org/10.5659/JAIK_PD.2013.29.4.119
  20. 심현, "이반일리치 교육철학의 평생교육적 함의," 교육철학, 제68권, 제1호, pp.93-118, 2018
  21. 이효영,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방향," 인문사회21, 제9권, 제4호, pp.1423-1438, 2018.
  22. 오인탁,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제52권, 제1호, pp.417-445, 2017.
  23. 황재연, 안관수,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자본 :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157-164,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2.157
  24. 한준상, "평생학습 사회와 장애인의 평생교육," 특수교육정책포럼, 제2001권, 제1호, pp.1-18, 2001.
  25. 김신일,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패러다임," 평생학습사회, 제1권, 제1호, pp.151-170, 2005.
  26. 조화태, "자기교육의 개념화," 평생학습사회, 제8권, 제3호, pp.1-33, 2012.
  27. https://blog.naver.com/wvfamily/221960484083, 2020.05.14
  28.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03441, 2021.01.21
  29.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2090733109330062, 2021.02.09.
  30. 신동희, "SNS 의존도가 SNS 특성에 따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7권, 제3호, pp.225-241, 2019.
  31. 김수진, "뉴노멀 시대의 학습자 주도형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사례," 박물관교육연구, 제23호, pp.48-51, 2020.
  32. 이영희, 이효재, "멀티미디어 스마트러닝 기반 학습환경에서 정보 제시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부하와 학습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와정보사회, 제36권, 제1호, pp.247-274, 2019. https://doi.org/10.29211/SOLI.2019.36..009
  33. https://www.mobiinside.co.kr/2020/03/25/opensurvey-youtube/, 2020.03.25.
  34. 이수경, "소셜러닝을 적용한 직업교육 성과분석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23-534, 2015.
  35. 오인탁,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제52권, 제1호, pp.417-445, 2017.
  36. 강경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5권, 제1호, pp.49-82, 2019.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49
  37. 배재홍, "마이크로 러닝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369-376, 202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7.369
  38. 백영균, 한승록, 박주성, 김정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15.
  39. 정기범,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제16권, 제3호, pp.159-183, 2014. https://doi.org/10.18211/KJHRDQ.2014.16.3.007
  40. 박정례,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2호, pp.151-178, 2013. https://doi.org/10.18612/CNUJES.2013.34.2.151
  41. 임숙경, 조용하,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1권, 제4호, pp.53-76, 2008. https://doi.org/10.22955/ACE.11.4.200811.53
  42. 김종환, "인문,사회과학편 : 중학생의 자기결정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체육수업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5호, pp.173-183, 2011.
  43. 주희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37-259, 2011.
  44. 김홍철, 이혜경, "사회복지전공 대학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이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6호, pp.169-193, 2013.
  45. 김은지,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107-129, 2015.
  46.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敎育心理硏究, 제25권, 제2호, pp235-253, 2011.
  47. 손지희, 몰입경험의 교육적 가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48.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49. 김선화, 박상연,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557-1565,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57
  50. 전선영,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이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참여동기 및 학습만족수준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1.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52.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3. Hu and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070-5511, 1999.
  54. Anderson and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0033-2909, 1988.
  55. 홍서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56. 정숙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탄력성과 삶의 의미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3-40, 2017. https://doi.org/10.21321/jfr.22.1.23
  57. Fornell and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18, No.1, pp.0022-2437, 1981.
  58. ETRI, "A New Paradigm of Online Lectures: Engagement analytics technology for telepresence services," IT Trend Webzine, Vol.150,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