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몰입도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on Learning Flow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 한주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TBL)에서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7년 1학기, 총 6주간 팀기반학습에 참석한 98명의 간호대학생이었다. 자료는 2017년 6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공유리더십, 학습몰입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공유리더십은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팀기반학습을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경우 메타인지를 최대한 높이고 공유리더십을 향상시켜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몰입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Instruction on Improving Immersion Learning)

  • 김경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2
    • /
    • 2011
  • 본 연구는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로봇활용수업을 실시한 후의 학습몰입도 점수는 실시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학습몰입도 9개 하위요인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도 점수 역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로봇활용수업은 학습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7개 과목 중에서 국어, 과학, 미술 과목에서 학생의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는 첫째, 로봇활용수업이 실제적인 과제와 실천 중심의 교수 학습 환경을 바탕으로 과제에 대한 주인의식과 내적동기를 북돋우기 용이하다는 점과, 둘째, 로봇매체의 교육적 장점을 극대화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수업환경을 제공한 데서 연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의 구조분석 (The Structure Model Analysi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43-454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원격교육 참여자의 학습몰입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이론모형을 제안하고자,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사이버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이며, 편의표집으로 대상자를 선정하고 직접설문조사와 우편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수는 272명이며,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적합성을 가지는 수정된 최종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 결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온라인 비대면 원격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성공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비대면 전공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Immers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Major Class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이주연;오재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73-81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전공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학습관련 자기주도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동기와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의 관계 역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동기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중요 요인이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몰입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래밍 WBI가 학습자의 몰입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Programming WBI Based on the Flow Theory on Flow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 채유미;조성환;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은 프로그래밍과 디버깅 과정을 통해 컴퓨터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내재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을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몰입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의 구성 요소를 적요한 교수 학습 전략들을 개발한 후, 이것을 WBI로 설계,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WBI를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몰입수준 변화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WBI 학습이 학습 목표의식과 도전감, 구체적인 피드백을 이루어 몰입 수준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몰입 경험이 학습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학업성취도(프로그래밍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 PDF

대학생의 원격강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of Remote Classification by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um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 이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59-73
    • /
    • 2021
  • 본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에 원격강의를 수강한 일반대학의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서울·경기지역 소재 일반대학을 다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5일부터 약 1달 간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29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 실재감은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몰입은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대응차원으로 전환한 원격강의를 수강한 일반대학의 대학생들이 인식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e-Learning에서 영어식 사고구조, 사전 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의 몰입을 통한 학습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English Thinking Structure, Pre-English Skill, Self-Efficacy in English, Flow and Learning Effect)

  • 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영어학습이 이루어지는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몰입경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그리고 몰입을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설정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몰입, 학습효과 간의 각각의 관제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모두 몰입을 예측하였으며, 몰입경험이 또한 학습효과를 예측한다. 셋째, 영어자기효능갑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몰입 경험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 김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12-12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3곳의 간호학과 재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은 셀프리더십(r=.50, p<.001), 긍정심리자본(r=.52, p<.001)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간에도 정적상관(r=.60, p<.001)이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4.1%로 나타났다(F=20.619, p<.001).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4개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높으면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긍정심리자본 역시 학습몰입의 강화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Comparison of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 박문숙;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29-84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및 학습몰입을 비교하고 관련성을 알아보며, 성격 강점과 정서지능, 학습몰입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학생이 성격 강점, 정서지능 및 학습몰입 전체에서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간애는 두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핵심 덕목이었다. 영재학생은 겸손과 겸양에서는 일반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학습몰입 모든 하위영역에서 영재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영재학생은 성격 강점과 정서지능, 성격 강점과 학습몰입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초등 영재학생의 성격 강점은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rowth Mindset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 장우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1-9
    • /
    • 2023
  • 본 연구는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충북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203개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SPSS 26.0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확인적요인분석을 기반으로 측정모형을 평가한 후 수행한 경로분석은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장마인드셋은 학습몰입에 직접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𝛽=.403, p<.001), 학습몰입 역시 진로적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𝛽=.393, p<.001). 또한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학습몰입이 필수적으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진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함양과 함께 학습몰입 환경 구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