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4.24.5.829

Comparison of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Park, Mun-Sook (Hyunil Elementary School)
Yoo, Mi-Hyun (Ajo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4, no.5, 2014 , pp. 829-8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elementary gifted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in respect of their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Humanity was the highest virtue for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mean difference in humility and modesty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mean value in the sub-reg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ll sub-areas of the learning flow than that of the general students. Second, the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earning flow in gifted students.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gifted students affect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ignificantly.
Keywords
Elementary gifted student; General student;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2010).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1), 39-59.
2 구영수, 양연숙 (2013).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3(2), 177-19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3 김대성 (2012). 초등영재 학습몰입과 학교태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4 김미진 (2011). 성격 강점과 행복 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5 김지영 (2011). 성격 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곽윤정, 강민수, 이지혜, 엄채윤 (2013). 내 아이의 강점지능. 서울: 21세기북스.
7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8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서울: 학지사.
9 남희영 (2011).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학습경험에 따른 초등영재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몰입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0 문용린 (1999). 인성 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59, 31-98.
11 맹지현 (2012). 경력 사원과 기존 사원의 성격 강점이 행복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2 민재식 (2011).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13 민현숙, 양연숙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4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억,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5 박성익(2003). 영재교육의 발전역사와 의의.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억,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효진 (201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성격 강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7 석임복 (2007). 학습몰입의 구조: 척도.성격.조건.관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8 신행자 (2011). 농촌지역 중학생의 성격 강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9 신혜진 (2011).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 여상인, 백은주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 비교. 국제과학영재교육, 1(1), 43-49.
21 우민향 (2013). 초등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몰입과 행복감의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2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 79-101.
23 윤여홍 (2003). 영재의 지적, 정의적 특성.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억,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4 정민 (2014).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5 이미선 (2014). 초등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6 이영한, 유미현 (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특성, 정서지능 비교 및 정서지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2(4), 943-966.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7 이유진 (2012). 초등 영재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8 이은희 (2013).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9 이지호 (2010).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동기유형과 몰입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30 최경아 (2005). 수학에 대한 정서, 정서지능, 학업성취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1 최상원 (2004). 초등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도덕추론.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2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NY: Harper Collins.
33 Mayer, J. D., & Salovey, P. (1997). The Positiv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Snyder, C. R. & Lopez, S.J (Ed), 16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New York: Basic Books.
35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36 Park, N.,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23-341.   DOI   ScienceOn
37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DOI   ScienceOn
38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
39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0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9).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백수현, 안선영, 역].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원본출간년도: 2004).
41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42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d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3 손보영 (2011). 초등학생의 성격 강점 발달이 학업성적 및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4 박하진 (2011).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5 de Wet, C. D., & 정현철(2009). 영재교육의 기초. 서울: 한국교총 영재교육원
46 Peterson, C. (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