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공동체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 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5-1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필요한 기본 여건을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운영 전략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운영 자원과 지원 체제는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역사회 개방 경험을 가진 사서교사들은 주요 운영 자원 중에서 사서교사 배치를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건비 확보,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설과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가운데서 지역사회에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독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대인의 놀이를 주제로 한 기능성 게임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ious Game Production Based on Jewish Play)

  • 이면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25-731
    • /
    • 2013
  • 현재까지 유대인들은 전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민족으로 언급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유대인들에 관한 연구들은 경제 생활, 자녀 양육, 가정 생활, 신앙 생활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유대인들에 관한 다양한 연구 분야들 중에서 유대인의 놀이에 관한 것을 다룬다. 놀이는 특정 시대의 의식 구조와 생활 양식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대인의 놀이들을 연구 문헌과 인터넷을 사용하여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된 놀이들의 역할을 기술하고 이를 기능성 게임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논한다. 연구 결과,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1) 역사와 지혜의 전승 도구, 2) 교육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체, 3) 공동체 감정 형성의 도구 4) 약속을 학습하는 도구 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대인 놀이들을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여 생산하는 경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전통 민속놀이를 이용한 초등학교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윷놀이를 중심으로 (Unplugged Comput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raditional Folk Game-based on Yutnori)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21-628
    • /
    • 2019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배우며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윷놀이는 우리나라만의 전통 보드게임으로서, 우리민족의 역사,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고, 구성원 간의 협동심과 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효과적인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과 융합교육에 윷놀이가 언플러그드 컴퓨팅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전통 보드게임 윷놀이는 순차, 선택, 반복 알고리즘 요소와 더불어 태양과 천체운행을 놀이로 학습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적용한 언플러그드 활동 윷놀이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과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을 함께 신장 시킬 수 있어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및 학교조직의'협력'에 기초한 아동 영양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 나타난 참여 교사의 경험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dur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제미순;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9-173
    • /
    • 2013
  • 본 연구는 조직 및 지역사회 협력을 기초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 수행의 성공을 위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는 참여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영양교육 현장에 줄 수 있는 시사점과 이후 보다 성공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교사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수행에 참여한 교사는 보건교사와 영양교사 그리고 담임교사를 포함하여 7명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저널과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프로그램 계획단계에서 '푸념 속에 희망 엿보기' 와 '학습공동체 형성하기' 경험을 그리고 프로그램 수행단계에서는 '조절과 평형화 그리고 새로운 도식형성하기' 와 '디딤돌 쌓아가기' 범주의 경험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평가단계에서는 '보람과 감사함 느끼기' 와 '새롭게 도전하기' 범주의 경험을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수행을 위한 교사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현직교사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파법 관점에서의 모의수업 실행 사례 (Performing an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by the Connection of In-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509-525
    • /
    • 2016
  • 수학교사 교육에서는 수학교육의 이론 지도 못지않게 교사의 수업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도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프로이덴탈(Freudenthal), 폴리아(Polya)등 현대 수학교육자들이 주목한 수학 학습 지도의 전형으로서 오늘날 수학 교육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소크라테스(Socrates)의 '산파법'을 주제로 하여 사범대학의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 수학 모의수업 실행을 지도한 것이다. 수학을 지도하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기 능력과 수업 연구 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현직교사들의 활동 자료를 연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현직교사들의 사고실험 예시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수학-학습 지도에 관한 자신들의 제한된 지식과 경험을 확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 반성적 사고를 돕는 교사 교육, 교사 공동체 연구를 보조하는 교사 교육을 꾀한 연구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예비교사 교육에서 더욱 관심을 두고 지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습공동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분석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in th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 김혜원;안신기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3호
    • /
    • pp.194-203
    • /
    • 2021
  • Learning communities in medical education have demonstrated favorable outcomes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ellness. Despite these strengths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learning communities in US medical schools,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medical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Yonsei Medical Learning Community (YMLC) and analyzed its outcomes and areas of improvement. Th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s operated a learning community as part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14. The YMLC is the first program of its type in Korea.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YMLC consists of four distinct communities (pillars), which are named after four distinguished alumni, and each pillar is organized into five learning community classes. Each class is vertically integrated across students in different medical school years, and one faculty advisor is matched to about 30 students. As the YMLC focuses on fostering reflective practice in students and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build teamwork and experience social relatedness, two educational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reflective writing and mentoring and community activities. In this study, we obtained and analyzed second-year students' feedback on the YMLC curriculum and identified its achievements, merits, and areas that need improvement. The results have shown that over 75% and 60% of responden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reflective writing and mentoring and community activities, respectively.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learning community helped students regularly reflect on their learning and progress and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with faculty advisors. However, several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content, format, and logistical issues were also identified. The present findings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other institutions to develop learning communities relevant to their own context.

브릿지 모델 지역학습센터(르완다) 설계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Bridge Model Community Learning Center(CLC))

  • 정재용;박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83-94
    • /
    • 2018
  • UNESCO has continued to work in Africa, especially in the six southern sub-Saharan countries, and Asia, where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eded. The CLC (Rwanda Community Learning Center) covered in 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gional learning center in Rwanda and to recover local communities and provid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trips for actual planning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hat recently opened and are operated, and found implications. In consultation with the Rwandan Educational Commission, the site for CLC was decided, the building was designed, and the construction is about to st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the efforts of the activists in the village, which can be considered the smallest unit of a local community, the approach for establishing an architectural space and active education and community environment can be evaluated as a result of experimental efforts. Second, we can pay attention to the attempts to realize local communities. The bridge business is based on the multi-purpose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technical education for adults, and community restor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reflects space and program plans for this purposes. It also reflects detailed plans such as differentiating the flow planning depending on users' time of use. Third, we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e use of local materia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eveloping country, there were significant considerations on maintenance, and to this end, the plan included plans for the environment and use of materials that are easily maintained.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was suggested as a possibility to serve an educational role.

코로나 시기의 여학생 건강영역 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Health Domai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Female Students during COVID-19)

  • 한동수;김윤상;이주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9-5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여학생 건강영역 체육수업 실천과정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체육 교사들에게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를 사용했다. 자료구성 및 분석은 설문지를 통한 집단 면담, 심층 면담, 현장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코로나-19 이후 수업과 학교체육의 변화는 현실의 자화상, 코로나-19와 학교체육으로 구분했다. 둘째, 새로운 도전에서는 새로운 온라인 체육수업의 실천과정, 자신을 위한 움직임의 변화로 범주화했다. 논의는 위기에서 기회로 가는 길을 코로나-19 시기에서 공감적 배려와 소통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후속 연구로는 체육수업 참여 여학생의 다양한 경험에 관한 연구, 여학생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 학습공동체의 협력 연구, 여학생 체육수업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플랫폼과 ICT 활용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 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정보 요구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Task)

  • 이승민;정지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9-233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정보서비스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과 업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 요구와 주 정보원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업무를 담임 업무, 교수·학습활동, 학교 담당 업무, 기타 업무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웹정보 및 인적 정보, 도서 정보 등을 정보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각 역할과 업무에 따라 웹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사 간 웹 커뮤니티가 주 정보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정보를 많은 초등교사들이 이용하는 웹 정보원에서 공유하는 것, 초등교사들과 학습 공동체 형성을 통해 협력적 교육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학교도서관을 통해 다양한 담임 업무 관련 도서를 제공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