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ing an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by the Connection of In-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현직교사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파법 관점에서의 모의수업 실행 사례

  • Received : 2016.07.10
  • Accepted : 2016.07.30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previous research for teacher education(Kim Nam Hee, 2006, 2009, 2013, 201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ird grad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2016. In this study, we guided to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ir teaching research ability and teaching practical skills us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n-service teachers training courses. Processes mainly perform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earning the theory on Socrates' method, case study for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class analysis, textbook analysis, peer evaluation, self-assessment. Observing tutorial examples by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were expanding their limited knowledge and experience. By analyz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processes, we checked the points to put more attention in futur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수학교사 교육에서는 수학교육의 이론 지도 못지않게 교사의 수업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도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프로이덴탈(Freudenthal), 폴리아(Polya)등 현대 수학교육자들이 주목한 수학 학습 지도의 전형으로서 오늘날 수학 교육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소크라테스(Socrates)의 '산파법'을 주제로 하여 사범대학의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 수학 모의수업 실행을 지도한 것이다. 수학을 지도하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기 능력과 수업 연구 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현직교사들의 활동 자료를 연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현직교사들의 사고실험 예시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수학-학습 지도에 관한 자신들의 제한된 지식과 경험을 확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 반성적 사고를 돕는 교사 교육, 교사 공동체 연구를 보조하는 교사 교육을 꾀한 연구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예비교사 교육에서 더욱 관심을 두고 지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고은성, 김태순, 조완영, 이경화, 이동환 (2011),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해 수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 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의 인식 조사. 학교수학, 13(4), 633-649.
  2. 권나영(2010).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평가하기 경우-.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9(4), 411-421.
  3. 김남희(2006). 예비수학교사의 산파법 적용 수학수업 실행. 학교수학, 8(1), 89-106.
  4. 김남희(2009). 수학 교사 교육과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학교수학, 11(1), 39-53.
  5. 김남희(2013),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연수. 학교수학, 15(4), 941-955.
  6. 김남희(2014),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 실행 -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학연구, 24(4), 537-554.
  7. 김지영, 방정숙(2013).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수학적 논의를 이끌 수 있을까? ;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을 중심으로, 2013 대한민국 수학교육관련 학회 연합 학술대회 프로시딩, 173-177.
  8. 김창동 외 14인(2015). 고등학교 미적분II. (주)교학사
  9. 박선화(2000). 수학적 극한개념에 대한 인지장애 극복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0(2), 247-262.
  10. 우정호(2011).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NCTM(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Improving Practice, Improving Student Learning.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2011). 수학 수업의 현재와 미래. 서울:경문사.
  12. 우정호(2011).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13. Fendler, L.(2003). Teacher reflection in a half of mirrors; Historical influences and political reverberations. Educational Researcher, 32(3), 16-25. https://doi.org/10.3102/0013189X032003016
  14. Schoenfeld, A. H.(2010), How we think: A theory of goal-oriented decision making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Routledge Inc. 이경화 역(2013). 수학 수업, 설명을 만나다. 서울:경문사.
  15.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16.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7. Shulman, L.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a new 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18.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Reston, VA: NCTM. 방정숙 역 (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