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1.343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Bae, Jee-Hyun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the difficulties and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by grasping of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815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s a result, first,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value education to teachers are lack of information on specific teaching methods. Second, what is required is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value education, teacher's will and parent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are that the discussion on the right character emphasiz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eds of teachers who wish to link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to an unseparated context were identified.
Keywords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 Difficulties and Nee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한나, 황해익, "유치원 교사 원격연수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5권, 제1호, pp.17-37, 2006.
2 황보영란,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사회와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53-168, 2003.
3 신주은, 이대균, "공립유치원 저경력 교사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3-56, 2014.
4 김정희, 김동춘,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5호, pp.77-96, 2012.
5 정희경,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관련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O. B. Bridge, "New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s moral education: developing character through a virtue ethics approach,"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Vol.45, No.2, pp.236-238, 2019.   DOI
7 김강희, 김영옥,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을 적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459-485, 2017.
8 이병래, "유아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6호, pp.297-328, 2015.
9 이은화, 김영옥,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09.
10 김지영, 권덕수,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5권, 제3호, pp.217-241, 2011.
11 배진희, 가치명료화 수업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과 생명존중교육,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최민수, 임은영,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26, 2016.
13 구미향, "유아교육목표에 내재된 인성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9권, 제4호, pp.425-451, 2015.
14 방현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7-98, 2020.
15 최연철, 김은혜, 김경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26, 2018.
16 임명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23, 2020.
17 임부연, 손연주,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교육혁신연구, 제30권, 제3호, pp.127-148, 2020.   DOI
18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제9권, 제2호, pp.5-33, 2019.
19 방현실,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7-98, 2020.
20 이승하, "유아 또래놀이에서 발견되는 사회.도덕적 가치," 유아교육연구, 제39권, 제2호, pp.437-457, 2019.   DOI
21 이신동, 강인숙 김복영, 김현미 박춘성 서현아 송명숙 오유미 이영희 이정기 이정아 이현옥 장인희 조은영 최옥순, 유아인성교육, 양서원, 2020.
22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75-103, 2020.
23 이신영, "유.초 연계의 관점에서 본 개정 누리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24 정희영, 방승미, "TV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 경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159-180, 2012.
25 R. Melendez, W. J. Beck, V. Fletcher, and M. Albany,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NY : Delmar Thomson Learning, 2000.
26 J. A. Luckowski, "A Virtue-Centered Approach to Ethics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48, No.4, pp.264-270, 1997.   DOI
27 김희경, 가치탐구모형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유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8 권순영, 미래학교에선 뭘 배우지?, 내일을여는책, 2019.
29 J. Steutel, "The Virtu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ome Conceptual Clarification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31, No.3, pp.395-408, 199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