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활동

검색결과 2,995건 처리시간 0.037초

스포츠 활동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행복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on School Life Happiness of Multicultural and Korean Adolescents through Sports Activity)

  • 안정훈;천항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45-256
    • /
    • 2019
  • 이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함께 참여하는 다문화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들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과 참여하지 않는 청소년 총 4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며, 스포츠 활동 경력이 많을수록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행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행복 하위요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교생활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들로는 관계형성과 의사소통, 협동하기, 도움주기, 감정표현, 위안하기의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생활행복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을 통한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청소년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ves by Teenager)

  • 염미진;정철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76-289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2021년 11월 1일-11월 15일)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여가활동, 높은 심리적 행복감, 낮은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에의 적응을 갖추는 삶을 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의미: 중학생들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상민;이근모;장승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1호
    • /
    • pp.59-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중학생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첫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은 어떠한 또래문화를 만들고 있는지,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이 학생들에게 있어 어떠한 시간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병행한 질적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게임과 소통·휴식의 또래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남학생은 친구들과 가끔 다투곤 하지만 그들만의 룰에 따라 스포츠게임을 진정으로 즐기고 있었다. 반면에 여학생은 스포츠게임 자체를 즐기기보다 친구들과의 관계에 집중하며 소통과 휴식을 즐기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하나의 탈출구로서 의미를 두고 있었다. 여가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시간을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는 시간, 즉 가뭄에 단비와 같은 자유 시간으로 여기고 있었고, 성적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시간, 체육시간과는 차별화된 시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웹 기반 독서활동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Read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

  • 김호근;양창모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7-176
    • /
    • 2004
  • 어린이들은 독서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고, 생활의 즐거움을 얻으며,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학교에서는 독서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모든 학교에 도서관 설치 운영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이버 도서관이 갖추어져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 도서관의 운영은 독서교육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즐겨 참여할 수 있고 독서 교육에 효율적인 구조로 운영되는 사이트를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독서 활동에 자기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독서교육을 할 수 있는 독서활동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 PDF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특성 및 생활만족 분석 (The Analysi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Min Jok Leadership Academy Students's Leisure Activity property and Life satisfaction)

  • 송강영;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40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과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특성 및 생활만족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과학영재학교(이하 영재학교) 166명(남:122, 여:44), 민족사관고(이하 민사고) 184명(남:71, 여:113)학생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여가활동으로 남학생들은 스포츠, 여학생의 경우 영재학교는 취미교앙활동, 민사고는 관람감상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여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모든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3) 남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현재 여가활동에 대해 만족하고 있으나, 영재학교 남학생 12%, 민사고 여학생 14% 정도가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하다고 응답하여 보완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4) 여가활동참여 동기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5) 학생 중 75$\sim$80% 정도는 여가활동이 건강과 체력 유지에 중요하거나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6) 여가활동동반자는 친구와 함께 한다는 응답이 높았으나 혼자서 여가활동을 한다는 비율도 30% 정도였다. 7) 영재학교 남학생 51%, 여학생 40%, 민사고 남학생 40%, 여학생 48% 정도가 무계획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였다. 8) 평일 하루 여가활동 평균시간은 2시간 미만으론 남학생들이 여학생들 보다. 영재학교 학생들이 민사고 학생들 보다 여가시간이 많았다. 9) 평일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은 영재학교 남학생들은 스포츠 활동, 민사고 남학생과 여학생 및 영재학교 여학생 집단은 취미교양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0) 평일 영재학교 남학생 38%, 민사고 54% 학생들이 컴퓨터게임을 하지 않고, 여학생들의 경우 70% 정도가 컴퓨터게임을 하지 않았다. 주말 컴퓨터게임은 영재학교 여학생 61%, 민사고 여학생 53%가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여가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험이나 과제 및 학습으로 인한 시간부족을 꼽았으며, 게을러서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집단별로 19%$\sim$25% 정도였다. 12) 영재학교 남학생들이 민사고 남학생들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여학생들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일본의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44권1호통권338호
    • /
    • pp.74-85
    • /
    • 2003
  • 일본 정부는 지난 2002년 8월 2일 각료회의에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을 결정하였다. 이 기본 계획은 어린이가 자주적으로 독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 환경을 정비한다는 관점에서, 2001년 12월에 의원입법되어 공포.시행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정부가 수립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이다. 이 계획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에 걸친 시책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가정, 지역사회, 학교를 통하여 어린이가 독서와 친해질 수 있는 기회 제공 가정교육에 관한 학습기회를 통하여 부모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독서활동을 추진하여 민간단체 활동을 지원한다.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을 통하여 독서습관을 확립하고 독서활동을 추진한다. 2. 도서자료 정비 등 제반 조건의 정비 및 충실화 도서관과 공민관 도서실 등 지역사회의 독서환경을 정비한다. 도서관 자료를 정비하고 정보화를 추진하며 사서 연수를 충실화한다. 학교도서관의 도서정비 5개년 계획, 정보화 추진, 사서교사 발령을 촉진한다. 3. 학교, 도서관및 관계기관, 민간단체의 연계.협력체제 추진 4.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한 보급.계발 어린이 독서의 날(4월 23일)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홍보한다. 홈페이지 개설로 관련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한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 기본계획에 기초하여 관계부처 등과 긴밀히 협조하여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시책을 더욱 충실히 하기로 하였다. -편집자주

  • PDF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분석 (Analysis of Distinction according to Athletics Class Teaching of Sport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 김성용;김경식;김재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66-37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참여유형, 참여정도(빈도, 강도, 기간)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중에서 여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t-검정,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여교사는 비참여 교사에 비해 체육수업 인식 및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 여교사 중에서 스포츠 참여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은 간접적 대결 활동군이 수행기록 활동군과 심미적 활동군에 비해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수업은 참여빈도에서 주 2회 이상 참여한 여교사가 주 1회 이하로 참여한 여교사보다 체육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민간경비의 활용방안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rivate Security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 정의롬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387-411
    • /
    • 2014
  • 학교폭력은 더 이상 피해자와 가해자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며, 학교, 가정, 그리고 국가에도 그 책임이 있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교 내 외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안전을 위해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지만 이 중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생간의 폭력을 중심으로 학교폭력의 발생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안전한 학교를 조성하기 위하여 경찰이 학교라는 범위 내에서 행하고 있는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더 나아가 학교폭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민간경비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현대 사회에서 치안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수준은 시간이 흐를수록 상승하고 있으나 경찰의 한정된 자원만으로는 감당하기에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가가 독점했던 경찰활동은 다양한 치안활동의 주체들과 협력하는 시스템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지역사회는 경찰이 감시하고 법을 집행해야 할 대상 또는 공간이 아니라 효율적인 경찰활동을 위한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다. 경찰력의 한계 등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민간경비의 활용은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민간경비의 활용을 위해서는 민간경비원에 대한 임무 및 법적 권한을 부여하고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업무와 함께 교내의 위험한 사각지대 순찰활동 등 방범활동을 위하여 학교와 구체적인 정보를 공유하여야 한다. 또한 물리적 기계적 경비 시스템을 도입하여 학교폭력 예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학교도서관이 살아야 교육이 선다

  • 김종성
    • 도서관문화
    • /
    • 제39권6호통권313호
    • /
    • pp.45-51
    • /
    • 1998
  • 이 대담 시리즈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도서관계 안팎의 관심을 높이고 현단계 학교도서관 운동이 나아갈 길을 모색해보려는 취지에서 시도된 것이다. 과거 학교도서관 운동을 주도하였거나 오랫동안 학교도서관 현장을 지켜온 인물들을 찾아 그들의 경험과 의식 속에 쌓여 있는 역사를 끌어내어 오늘을 비추어 보고 내일을 전망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다. 이번 대담에서 만난 사람은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운동의 초창기에 많은 활동을 한 조재후 선생이다. 선생은 부산중, 경남여고, 부산고 등에서 10년간 (1953-1963) 사서교사로 활동하면서 학교도서관 운동의 지평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부산시 교육위원회 연구사 및 장학사(1963-1972), 문교부 중앙 시청 각교육원 연구관(1972-1973), 문교부 장학관 (1973-1975), 서울시 동부 교육구청장(1980-1982) 등으로 활동하셨다. 또한 영등포중, 혜화여고, 용산공고, 경기상고 등에서 교장으로 재직하시고 정년퇴임후 현재 서울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고 계신다. 대담 일시 : 1998년 5월 2일 오전9시 30분 - 오전 11시 30분 대담 장소 : 서울 정화여상 교장실

  • PDF

청소년 활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의 매개 효과와 성별 차이 중심으로 -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Sociality - Ba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chool Life and Gender Difference -)

  • 김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45-55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 활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의 매개 효과와 성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경기도 소재 청소년 403명을 SPSS V.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활동에 참여한 현황은 신체활동 58.8%, 정서 활동 21.1% 봉사활동 20.1%로 나타났으며, 연구 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 활동은 신체활동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이 참여하며, 정서 활동과 봉사활동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활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 활동, 신체활동, 봉사활동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활동과 사회성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정서 활동, 신체활동, 봉사활동의 순으로 부분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