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활동

검색결과 2,995건 처리시간 0.031초

학교스포츠클럽 중 무용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정서가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 on the Friends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ed Dance Programs in School Sports Club)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11-419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초등학생들의 정서가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초등학생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Ver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초등학생의 정서가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초등학생의 정서가 학교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초등학생의 교우관계가 학교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스포츠교육학의 새로운 지평: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 (A new research agenda in Sport Pedagogy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Comprehensive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 남윤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7-237
    • /
    • 2021
  • 최근 포괄적 학교체육프로그램은 유·청소년의 신체활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교육학의 새로운 줄기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을 촉진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포괄적학교체육프로그램의 구조적 특성과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괄적학교체육프로그램은 학교, 지역 사회 및 가족과의 연대 속에 유·청소년의 적극적인 신체활동 라이프 스타일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괄적학교체육프로그램은 양질의 체육교육을 목표로 하는 중고강도 신체활동 확립에 중점을 두며 스포츠교육학에서 신체활동 증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장애 체험 활동을 통한 학교 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Evaluation for School Facility by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재순;이정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64
    • /
    • 2007
  • 이 연구는 학생들이 유니버설디자인과 편의시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응한 편의시설 가운데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 과정안에 따라 장애체험활동을 함으로써 학교편의시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개발한 자료는 학교편의시설 실험활동에 활용할 2차시분의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과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활동 평가에 사용할 활동 평가지가 있다. 연구 대상학교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 학교와 일반 중학교 5개 학교로 설립기준, 지역, 건축년도, 학급 수, 건물 층수, 학교형태, 통합교육 실시여부 등을 고려하여 편의시설이 다양한 7개 학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상학생 수는 학교별로 30명씩 희망자를 선정하고 실제 장애우(4명)를 포함하여 총 214명이 참여하였다. 각 실험조는 손이나 팔 장애우 팀, 목발 장애우팀, 휠체어 장애우팀과 더불어 비장애우 1개팀 총 15명으로 구성하였다. 학교편의시설 장애체험활동으로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2005년 11월 26일부터 12월 24일까지 실험하였으며, 학교편의시설 평가는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185부와 활동 평가지 200부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10.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편의시설이 편의증진법의 학교편의시설 기준에 미달되거나 설치율이 낮으며, 설치되어 있어도 접근하기 어렵거나 이용이 불편한 시설이 맡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안전사고나 부상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학교편의시설에 대한 위험하고 불편하여 개선할 시설로 화장실, 복도, 계단을 지적하여 접근성 평가의 학교편의시설 실태와 일치하였다.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 안에 대한 평가는 장애체험활동에 대한 의견은 내용이 유익하고 만족스러우며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할 내용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의견보다 학교편의시설을 바르게 설치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게 되거나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인식 변화가 더 높았다. 학교편의시설의 불편한 점을 알게 되거나 학교편의시설이 장애우에게 불편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비판 의식은 세요인 중 가장 높아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교수 학습은 학교편의시설의 개념을 이해와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편의시설이나 생활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장애우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생활하는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중학교 창의적체험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현황 분석 (Exploring the Creative Activities and Sports Club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 오은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실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스포츠클럽의 시간을 136시간으로 정해놓음으로써 학교에 부담을 주고 있고, 동아리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스포츠 활동에 치우치고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을 자유롭게 활용하기 보다는 교육과정에 묶여 있어 자유로운 창의성이 발현되거나 인성중심의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 : - S고등학교와 K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ity of Student Assistants in a High School Library : focusing on case study of S High School and K High School)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5-331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고등학교 도서반 활동과 도서반 활동의 서비스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사립인 S고등학교와 공립인 K고등학교 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반의 신입회원 선발, 도서반 조직 운영,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4개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봉사활동과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일반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서반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학생들의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1차 연구학교의 가정교과 관련 운영 실태 (Home Economics related Programs from the First Pilot Schools implement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 이은영;손주영;김예슬;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9-8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가 자유학기제에 적극 대처할 시사점을 찾고자 첫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시범운영 보고서 42부를 분석하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주요 현황과,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의 주요 프로그램 운영실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활동 중 가정교과와 관련된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의 운영 형태와 실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학교는 중점모형을 한 개 또는 두 세 개씩 운영하고 있었으며, 시수파악이 가능한 총 28개 연구학교 중 15개 연구학교에서 가정교과 수업 시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공통과정 운영은 모든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고 학생 참여 활동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 다양화, 학교 실정에 맞는 교과별 과정 중심의 평가방법을 시도한 반면, 교과 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은 다소 미흡한 편이다. 자율과정 운영에서 진로활동은 모든 연구학교에서 참여 단위, 시기, 방법, 운영시간 등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한 체험활동이 이루어졌다. 학생 선택프로그램 활동은 진로, 교과, 동아리, 예술 체육활동, 방과후 활동 등과 결합하여 진행되었고, 선택프로그램 참여형태는 동아리별, 직업흥미유형별, 개인 희망에 따라 선택하였다. 동아리활동은 교과활동, 진로활동, 스포츠 활동, 예술활동, 봉사활동 등과 연계하여 이루어졌다. 예술 체육활동은 음악, 미술, 체육교과 모두 또는 부분 개설되었으나 활동내용은 주로 교과내용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일부(18개 학교)에서만 선택 및 체험활동 중심의 예술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시도하였다. 셋째, 가정교과는 공통과정 운영을 명시한 17개 학교에서 교수 학습 방법의 다양화와 교과연계 진로학습에서 교과 융합 수업, 진로연계 수업, 주제중심통합 수업, 학생활동 참여중심 수업, STEAM 교육, 학생선택 프로젝트 학습 등이 이루어졌다. 가정교과의 자율과정은 공통과정과 함께 혹은 자율과정만 운영하기도 하였다. 자율과정 중 진로탐색은 가정교과 직업관련 지역탐방, 직업인들과의 만남, 생활과학대학 방문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학생 선택프로그램은 요리 직업관련 활동, 녹색학교 만들기, 건축학개론 등의 지속적인 프로그램 활동이, 동아리 활동은 요리와 십자수반 활동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공통과정의 가정교과수업은 주로 교사가 진행하였으나 외부체험이 많은 진로탐색 활동은 전적으로 외부강사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가정교과의 활동프로그램은 식생활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자유학기제에서 가정과 교육은 수업 시수가 감축되지 않는 노력과 함께 공통과정의 교과 수업 방법의 다양화와 아울러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자율과정 선택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가 주도할 수 있는 교과연계 진로 체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The study on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 전미애;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7-98
    • /
    • 201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이, 방과 후에 어떤 형태의 일상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성향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의 J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학습된 무기력학생 대상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학생 15명을 연구자가 임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거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관찰과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은 여가활동, 학습활동, 생활유지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가 활동 (컴퓨터 게임, TV 시청, 친구와 어울려 돌아다니기,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학교 밖 일상 활동은 학교생활과는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에서는 무기력 성향을 보이던 학생들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는 학교에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의 무기력 성향이 학교 밖 일상 활동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교 내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국 공립학교의 경비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on the Safety on School -Focusing on U.S Public School Security Guard Patterns-)

  • 신소라;조윤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137-163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 공립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내 안전을 미치는 요인과 학교 내 안전에 효율적인 경비형태를 분석함으로서 국내 학교 내 안전을 높일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범죄모델과 범죄의 유형에는 포함되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비행행위 및 집단행위로 범위를 한정시켜 종속변수로 하는 학교폭력모델로 나뉜다. 첫 번째, 학교 내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결과, 중범죄안전 모델과 학교폭력 안전 모델의 설명력은 각각 10.3%, 12%이며, 중범죄안전 모델을 살펴보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t=2.521, p=0.012), 학교활동 부모참여(t=11.733, p=0.000), CPTED활동(t=3.206, p=0.001), 학교 내 경비활동(t=2.983, p=0.003)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안전 모델에서도 유사하게 학교활동의 부모참여(t=10.399, p=0.000), CPTED활동(t=7.238, p=0.000), 학교내 경비활동(t=4.018, p=0.000)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학교폭력으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어떠한 유형의 경비활동이 학교 내 안전을 높이는지 분석한 결과, 중범죄안전 모델과 학교폭력안전 모델, 두가지 모델의 설명력은 각각 4.4%, 3.9%이며, 중범죄 안전 모델에서는 학교에서 실행하는 경비활동 중 지역경찰과의 협조(t=2.112, p=0.035), 교칙관리(t=3.309, p=0.001), 경비순찰활동(t=2.548, p=0.01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안전 모델에서는 경비활동 중 지역경찰과의 협조(t=2.364, p=0.018), 교칙관리(t=4.142, p=0.00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교사에 대한 교육보다 학생에 대한 교육이 학교 내 안전에 긍정적이고, 학교 운영에 부모참여도 교육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참여가 학교안전을 위해 필요하다. CPTED활동의 경우, 미국의 사례의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경비활동에 관하여는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경찰과의 협조를 원활히 하는 방안이 학교 내 안전에 긍정적 영향 줄 것이다.

  • PDF

중등수학 교과 재량활동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연구 - 7학년 중심 -

  • 박은옥;유원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135-140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은 재량활동을 확대 ${\cdot}$ 신설하여 학교와 지역의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편성 ${\cdot}$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학교과 재량활동에 대한 교수 ${\cdot}$ 학습 활동의 내용이나 지도자료 등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선 중학교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수학교과 재량활동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고 중등수학교과 재량활동 학습 과정안을 개발 ${\cdot}$ 적용하여 그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교과 재량활동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 다른 학교에 편성 ${\cdot}$ 운영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의 중요도 및 반영도 분석: 동아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o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t Technical High School: Focused on Club Activities)

  • 고건수;서원석;이창훈;김종승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27-24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영역인 동아리활동에 대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공업계 고등학교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응답자는 전국의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93명이고, 동아리활동에 대한 5개 영역 32개 분야의 문항(중요도, 반영도)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 영역에서 중요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은 '발명', '문화 예술 활 동'은 '영상예술', '스포츠 활동'은 '도전활동', '실습 노작 활동'은 '학교 특성화 전공', '청소년 단체 활동'은 '스카우트연맹'과 '청소년적십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활동의 영역에서 반영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 '문화 예술 활동' 및 '스포츠 활동' 영역은 대체적으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비슷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학교 특성화 전공'을 제외한 '실습 노작 활동'과 '청소년 단체 활동'의 경우는 중요도와는 별개로 모든 분야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노작 활동'은 중요도 분석과 반영도 분석이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청소년 단체 활동'은 중요도에 비해 반영도 값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 중요도와 반영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