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o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t Technical High School: Focused on Club Activities  

Ko, Kun-So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eo, Won-Se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ee, Chang-Ho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im, Jong-Seoung (Namsung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39, no.1, 2014 , pp. 227-2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toward the creative hand-on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s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f sub-factors of creative activities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analysing whether the factors are properly utilized.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393 teachers at the Technic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creative hand-on activities consisted of questions, which are importance and reflection, from 32 sections in 5 fields. The summary of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n the results of importance analysis of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in club activity field, 'the invention' of 'academic activity', 'film-art' in 'culture-art activity', 'challenge activity' in 'sports activity', 'school specialized major' in 'work practice activity', 'scout federation', 'Red Cross youth activity' in 'youth group activity' were seemed to be higher. Second, In the results of reflec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cademy, culture-art', 'sports activity' fields were similarly reflected in importance thought by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However, for 'the work practice activity' and 'youth group activity', except 'the school specialized major', all field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dependent of importance. For 'the work practice activity', analyses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seemed to be alike but for 'the youth group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Keywords
Creative Hands-on Activities; Club Activities; Industrial High School; Industrial Teacher; Importance; Refle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손에 잡히는 창의적 체험활동(고등학교 매뉴얼). 저자.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18호.
3 교육과학기술부, 충청북도교육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1). 학교문화 선진화를 위한 학생자치활동 길잡이. 교육과학기술부 보고서.
4 권석기(2008). 공업계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통한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대일(2007). 고등학생 동아리 활동과 정서발달사이의 관계.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미연, 이칭찬, 한기호, 윤봉기, 조성근(2012). 동아리학급 지도를 위한 진로교육기반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학연구, 43(1), 33-61.
7 김미연, 김정해(2013). 동아리학급활동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 31, 333-368.
8 류창열, 권현진(2002). 공업고등학교 전공동아리 활동의 효율성에 관련된 학습조건 분석. 직업교육연구, 21(2), 283-298.
9 방형심(2006). 청소년이 지각하는 청소년 동아리활동 활성화 요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송희숙(2002). 동아리활동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왕창수(2012).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이가영, 박진만, 김명옥(2012). 고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특성분석과 평가 활용방안 연구. 입학전형연구, 1, 121-151.
13 이두영(2005). 중학생의 동아리활동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4 임호권(2010). 로봇 동아리 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배틀 로봇 제작 교육과정 개발. 한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최영선, 이병욱(2011). 공업계 고교 전공 동아리 활동이 학생 진로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04-123.
16 최은아(2013). 학교 동아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국청소년동아리연맹(2011). 청소년동아리활동 지원 사업 결과보고서. 저자.
18 Krejcie, R. V. & Morgan D. W. (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 607-610.   DOI
19 고창룡, 배선아(2011).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