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 인식도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5초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85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나 정보활용교육의 종류는 학교도서관 이용법,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연계 수업모형 개발, 사서와 교과교사 협력하는 통합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학교별 그 수준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할 사서의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제도의 환경 때문에 교과교사 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용성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 학교교과과정 내에 정보활용교육이 자리매김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보활용교육을 교과과정 내에 통합하는 정책적 측면과 교과과정 분석 그리고 사서교사의 전문인 양성의 실천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 PDF

수원지역 학교도서관 사서연구회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Library Librarians' Study Circle in Suwo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6
    • /
    • 201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 현황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동아리의 필요성 및 효과 그리고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의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중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수원지역 사서연구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교도서관 운영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사서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학교도서관 업무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인식이 교육정보요구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ir Educational Information Needs: Focusing on High School Common Subjects)

  • 계민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9-190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중심으로 교과 교사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이 교육정보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군)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은 교육정보요구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육정보요구 부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새로운 복본 요구 형태와 학습자료 정보원 요구 양태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범위 내 소규모 학교도서관 컨소시엄 형성과 레퍼럴 서비스 제공, 게이트웨이 역할 수행 기능 강화 등의 학교도서관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 이덕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협력 수업의 바람직한 학습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중국어과 프로젝트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주제 선정 방침 및 선정된 주제 등 수업내용을 파악하고 학생의 보고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주제에 대한 흥미,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 과정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이 어떤 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 (A Study of Activating Plans for YouTube Channels of Teacher Librarians in School Libraries)

  • 성유경;최상기;김선태;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85
    • /
    • 2021
  • 사상 초유의 팬데믹 사태를 맞아 학교도서관 역시 주로 대면 활동에 국한되었던 기존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온라인 환경에서의 비대면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유튜브 채널 운영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기초 연구로, 실제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FGI)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튜브 운영 경험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 필요성 그리고 구체적인 요구 내용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 유튜브 채널 홍보 확대, 2) 학교 도서관 유튜브 체제 확립, 3) 교육청 차원의 지원, 마지막으로 4) 사서교사 차원의 개인적 노력의 4가지 관점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후속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활성화 방안이 현재 유튜브 운영하고 있는 사서교사의 업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제안인지 검증하였다.

학교도서관 DLS 목록의 자료 접근성에 대한 논의 - 문학 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 (Discussions on the Accessibility of School Library DLS Catalogue Records - Focused on Literary Collections -)

  • 강봉숙;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39-559
    • /
    • 2019
  • 도서관의 기본적인 서비스 중 하나는 이용자에게 자료에 대한 효율적이고 쉬운 검색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관종별, 이용자별, 장서별 자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고, 그 중심에 분류와 목록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이슈가 존재한다. 하지만 국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의 중심도구가 되는 DLS 목록의 자료 접근성을 다루는 이 분야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제기되어온 이용자들의 도서 검색, 특히 문학 분야 도서 검색과 접근에 대한 어려움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장서 현황, 학교도서관 지원시스템 DLS의 자료 등록과 이를 통해 생산된 목록레코드의 주제 접근가능성,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및 사서의 의견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장서는 문학 분야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었고, 이들 장서 검색에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목록레코드 작성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DLS 검색 기능 역시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및 사서들의 설문조사에서도 이런 문제점은 인식되었고 학교도서관 목록의 자료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풍부한 주제 색인과 검색키워드 부여가 다수의 의견으로 도출되었다. 이 주제에 대한 계속적인 논의로서 학교도서관 자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은 향후 이용자 연구나, 서가 분류에 대한 새로운 도전 등을 통해 더욱 구체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 : - S고등학교와 K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ity of Student Assistants in a High School Library : focusing on case study of S High School and K High School)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5-331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고등학교 도서반 활동과 도서반 활동의 서비스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사립인 S고등학교와 공립인 K고등학교 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반의 신입회원 선발, 도서반 조직 운영,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4개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봉사활동과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일반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서반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학생들의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ASP) 모델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School Library Based on ASP Model)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42
    • /
    • 2001
  • 최근 들어, 정보통신의 인프라구축 및 정보시스템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은 널리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막대한 초기 비용과 정보시스템의 관리비용의 부담으로 기업정보시스템(ERP)을 도입하지 못하고 있던 중소기업체에서 하드웨어와 ERP를 구입하거나 전문 요원을 배치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ASP) 모델이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고에서는 IT 비즈니스의 새로운 형태로 자리잡고 있는 ASP 모델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ASP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인 요소 그리고 정보시스템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서비스 및 교육적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서교사의 직무소진 경험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

  • 노동조;김수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7-249
    • /
    • 201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에게 직무소진이 발생하는 요인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15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환경, 사서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의 문제,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등이 직무소진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서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의 마련, 사서와 사서교사간의 명확한 직무 구분,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계기 및 제도적 장치의 마련, 사서교사의 자기계발 및 재충전의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97
    • /
    • 2017
  •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