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 인식도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Cultural Progra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 노동조;송유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5-299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 분야 중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서(사서교사)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사서(사서교사)는 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선호하는 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은 참여형과 체험형이고, 선호하는 홍보수단은 온라인 공간(카페, 클럽, 홈페이지)이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사업 운영 시, 효과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현장 방문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과 개별 학교의 특성에 맞춘 연계프로그램의 참여였다. 협력수준으로는 기관간의 업무협약(MOU) 체결과 담당자간 협조체제를 선호하며, 평가 및 보고 방법은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였다.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15-232
    • /
    • 2018
  •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저작권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pyright Recognition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in School Library)

  • 홍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7-421
    • /
    • 2007
  • 사서교사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로서 뿐만 아니라 학교도서관의 정보관리자로서 학생, 교사 및 직원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작권법에 관한 지식을 두루 갖추어야 한다. 사서교사들이 저작권 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이 저작권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6년 사서교사 1급 자격연수 과정에 참여한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저작권에 대한 인식도를 측정하였다. 본 설문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저작권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Library-Related Picture 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Library Use)

  • 한수연;조현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7-368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도서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 소재의 1개 초등학교, 3학년 64명의 학생에게 도서관 관련 그림책 14권을 총 7차시에 걸쳐 읽어주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전과 후의 독서인식과 태도, 학교도서관 기능과 이용방법, 사서 업무와 사서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 태도, 학교도서관 기능과 이용방법에 대한 인식과 이해, 사서 업무에 대한 이해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서에 대한 인식과 사서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이용동기가 도서관 서비스품질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기반 연구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 o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성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78
    • /
    • 2020
  •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농산어촌지역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Rural Area)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지역에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면담법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농산어촌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독서교육 공간과 학생들의 문화 및 여가활용 공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견문을 넓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을 위한 공간을 강조하였다. 또한 농산어촌의 학교도서관은 지역주민과 결합된 문화공간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있는 도서관 운영시간, 학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교양능력향상 프로그램,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독서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 Users' Perception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as Reading Spaces)

  • 정문지;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9-257
    • /
    • 2023
  • 본 연구는 독서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주목하고 독서를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 시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예비 연구를 통해 공간특성 요소를 선정하고 각 공간특성 요소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충족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 및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공간특성 요소의 인식이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3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특성 요소 중 소통성, 다양성, 안전성, 편의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가 이용자 만족도에, 심미성과 소통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는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독서를 위한 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eading-Based Project Learning)

  • 이연희;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8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사회 교과 연계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구안하여 실시하고, 이에 지속해서 참여한 학생 여덟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과연계 독서와 수업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등 학교도서관의 프로젝트 학습 전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과 연계 독서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