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투과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7초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2-인산 비타민 C의 피부투과 (Iontophoretic Delivery of Vitamine C 2-Phosphate)

  • 김수연;오승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3호
    • /
    • pp.201-207
    • /
    • 2004
  • In order to develop an optimum formulation for iontophoretic flux of vitamine C 2-phosphate (VCP), we have prepared three different hydrogels containing VCP, using carbopol, HPMC and poloxamer, and iontophoretic flux through hairless mouse skin from these hydrogels was carried out. Drug stability in phosphate buffer (PBS) solution (pH 7.4) with and without current application was studied.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such as drug concentration, current density, and current profile on skin flux was also investigated. Stability study indicated that VCP in PBS (pH 7.4) solution was stable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current. Cathodal delivery increased the flux markedly, whereas the anodal and passive flux was negligible. Thus, cathodal delivery was used in all experiments. Flux increased as the drug concentration (2.5, 5.0, 7.5%) and current density $(0.2,\;0.4,\;0.6\;mA/cm^2)$ increased. Pulsed application of the current showed lower flux than constant current application.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that VCP can be delivered into the skin and the amount delivered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hydrogel, current density, drug concentration and current application profile.

피부투과 광통신을 위한 세포내 광진행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photon propagation for transcutaneous optical communication)

  • 이종진;김욱은;이정훈;최종훈;안재목;최원우;박성근;최재순;김희찬;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7
    • /
    • 1996
  • Optical property of tissue is characterized by its high scattering of light. In near infrared range$(800{\sim}1200nm)$ scattering is dominant than absorption. Communication using NIR through tissue is applicable to immplantable device. In this paper, simulation of unit impulse response of light in tissue i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amplitude, phaselength and phaselength deviation.

  • PDF

무미양서류 꼬리 퇴화과정중 피부 상피조직의 세포사에 관한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Histochemical and Fine Structural Visualization of the Epithelial Apoptosis in the Anuran Tadpole during the Tail Regression Stages)

  • 이혜원;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07-115
    • /
    • 2009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꼬리 퇴화과정에 따른 피부 상피조직의 분화와 세포자멸사에 의해 초래된 상피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TUNEL 조직화학적 염색 및 고배율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꼬리의 퇴화가 시작되는 Shumway 31단계의 올챙이 피부에 발달되어 있던 점액층은 발생 32 단계를 거쳐 사라지고 상피는 비후되어 꼬리의 퇴화가 완료되는 발생 33 단계에 도달하면 성체인 개구리의 다층상피로 전환되었다. TUNEL 염색결과, 꼬리 퇴화과정중 apoptosis 세포의 출현은 원위부(distal region)의 꼬리에서 시작되어 몸통 쪽의 근위부(proximal region)로 이행되었고, 동일 상피층에서는 내강부로부터 기저부로 전이되는 특성을 보였다.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자멸사에 의한 초기의 변형은 인접세포와의 세포간극이 사라지고 밀착된 후, 핵의 모양이 불규칙해지고 염색질이 응축되었다. 이어서 세포질에 다수의 자유 리보솜이 나타나고, 핵의 분절이 일어난 후, apoptotic body가 출현하며, 이들은 최종적으로 라멜라 구조를 지닌 잔여소체(residual body)를 형성하였다

새로운 노화 방지 성분으로서 글루쿠로닉 애씨드의 기능과 화장품 응용 (Application of Glucuronic Acid with New Cosmetic Active Ingredient)

  • 이근수;김진화;이천일;표형배;이공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71-477
    • /
    • 2004
  • 피부 세포는 외부의 유해 요소 즉,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세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어 및 복구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보호단백질인 열충격단백질 70 kDa의 발현이다 Glucuronic acid를 피부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전처리한 다음 유해자극(열, 활성산소)을 주었을 경우, western blottting을 통해 $0.12\%$ 농도에서 세포 내 열충격단백질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onfocal microscopy 및 세포생존율 실험을 이용하여 열 및 활성 산소에 대한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 피부를 이용하여 glucuronic acid 및 수중유(O/W)형 에멀젼에 적용하였을 때 경피 흡수 양상을 비교한 결과, glucuronic acid는 빠른 경피흡수거동을 보였다(투과속도 $0.83114 mg/cm^2/h,$ 지연시간 1.2 h, 분배계수 0.114). 에멀젼에서는 투과속도는 $0.04153{\;}{\mu}g/cm^{2}/h,$ 누적투과량은 $1456.25{\;}{\mu}g/cm^{2}$로 감소하였지만 지연시간은 2.48 h으로 증가하였고 지속적인 경피흡수(서방성)를 보였다.

Bombina orientalis 피부손상 후 과립선 재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임도선;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02
  •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의 특성 및 경피 전달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Eucommia ulmoides Extract)

  • 구현아;김해수;김문진;유은령;조기정;장진동;김보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39-6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재로서 항염, 항노화 효능이 있는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제조하였고, 이들 에토좀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4주 동안 입자크기, 물리적 특성 및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0.01~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4주 동안 침전이나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4.6 nm였고,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151.15 nm였으며, 포집 효율은 81.79%로 에토좀 중 가장 큰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충 추출물의 총 피부 투과량은 에토좀(77.16%) > 리포좀(62.80%) > 에탄올 용액(41.59%)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피부 전달에 효과적이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으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쿼세틴과 루틴을 담지한 양이온 리포좀의 특성조사 및 UVA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Characteristics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A of Cationic Liposome Loaded with Quercetin and Rutin)

  • 구현아;김문진;김해수;하지훈;유은령;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쿼세틴과 쿼세틴의 배당체인 루틴은 천연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플라보노이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쿼세틴과 루틴)를 담지한 양이온 리포좀을 제조하여 세포 및 피부 투과성과 자외선(UVA)에 대한 HaCaT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빈 양이온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100~130 nm이며, 입자 표면 전위는 + 33.05 mV를 나타내었다. 포집효율은 루틴을 담지한 리포좀과 양이온 리포좀이 쿼세틴을 담지한 경우보다 높았다. 세포 내 이입율 비교결과, 양이온 리포좀이 일반 리포좀에 비해 약 5배 정도 높음을 확인했다. In vitro 상에서, 쿼세틴과 루틴이 용해된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수용액, 동량의 쿼세틴과 루틴을 담지한 리포좀과 양이온 리포좀의 피부투과율을 비교하였다. 양이온 리포좀에 담지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피부투과율을 보였다. 플라보노이드를 담지한 양이온 리포좀의 자외선(UVA $25J/cm^2$)에 대한 HaCaT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외선만 조사한 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담지 양이온 리포좀을 처리한 군에서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양이온 리포좀은 플라보노이드를 피부 속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피부 전달 시스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세포 보호 및 피부 흡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양이온 리포좀은 항노화 및 항산화 화장품 제형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세라마이드 IIIB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거동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7
    • /
    • 2018
  •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circ}C$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 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고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 졸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Titanium Dioxide Nanosol with a High Crystalline Characteristics)

  • 심재경;박종권;조정은;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694-697
    • /
    • 2019
  • 최근에 이산화티탄 분말을 나노입자로 제조하거나 결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1차원 구조인 nanowire, nanotube, 3차원 구조인 mesoporous 구형으로 생산하여 차단율과 반사율을 통한 광 전극 소재로의 활용과 피부 광 노화 방지에 더욱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lcohol을 용매로 사용하여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 졸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이산화티탄 나노 졸은 FE-SEM과 XRD을 통해 결정성을 확인하였고, 자외선 차단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UV-Vis로 투과율을 확인했다. 또한. 용매에 따른 결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탄올, 프로판올, 에탄올을 이용하여 각각을 제조하였고, 용매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입자크기는 200~250 nm로 합성되었으며 광학적 투과율은 UVB, UVA 범위에서 높은 차단율을 보이고, 550 nm 파장에서 높은 투과율을 보여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 향상과 소량 사용으로도 제품의 자외선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녹시딜을 내포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길이에 따른 특성 및 발모 효능 관찰 (Characteristics and Hair Growth Efficacy of Water Dissolving Micro-needles Containing Minoxidil Regarding Length of Micro-needles)

  • 한미리;김은영;정용현;김명석;박정환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93-398
    • /
    • 2013
  • 본 실험에선 미녹시딜을 함유한 수용성 고분자 젤로부터 solvent casting 방법으로 250과 $750{\mu}m$ 두 가지 길이의 미녹시딜이 함유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미녹시딜을 함유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은 기계적 강도가 입증된 고분자 니들과 동일한 형태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냈으며, 성공적으로 피부를 투과함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경우 피부 적용 후 최소 30분 이상은 부착되어야 전체 니들의 50% (v/v) 이상이 피부 내로 용융되었으며, 니들 적용부위에서 서서히 약물의 방출 및 확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57BL/6 동물 모델을 통해 미녹시딜이 함유된 250, $750{\mu}m$ 길이의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이 무처리군 혹은 미녹시딜 처리군에 비해 발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