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집방법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in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 홍기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9-5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인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인권옹호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작업치료사로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5개의 사례 이루어진 30개의 질문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는 7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배포, 수집하여 총 165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33.52{\pm}14.96$점이었고 하위 영역에 따른 인권감수성 평균은 상황지각 $20.44{\pm}2.32$, 결과지각 $19.85{\pm}2.32$, 책임지각 $19.14{\pm}2.21$ 순으로 나타났다. 사례 중 노인의 행복추구권($12.72{\pm}1.56$)에 대한 인권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장애인의 신체의 자유권($11.04{\pm}2.23$)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 중 연령, 교육정도, 근무기관과 임상경력에서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연령과 임상경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인권관련 상황에 노출될수록 인권감수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상황지각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클라이언트-중심의 중재를 위한 공감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권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의 다양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경영컨설팅이 직업재활시설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heltered Workshop)

  • 이임규;나운환;류정진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03-126
    • /
    • 2013
  •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성과가 균형성과 지표(BSC)에 따라 구성된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직업재활시설의 경영합리화를 지원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에 등록된 전국 직업재활시설 456개소(2011년 12월 말 기준)를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된 200여개의 시설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조사에 응답한 91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업재활시설 경영자의 경영컨설팅에 대한 기대는 마케팅, 회계/재무, 경영관리, 생산/운영, 경영컨설팅 성과 순이며, 둘째, 직업재활시설 경영자의 경영성과에 대한 기대는 내부프로세스성과, 고객만족성과, 재무성과 순으로 나타나며, 내부프로세스성과에 가장 높은 기대를 갖고 있으며, 셋째, 직업재활시설 경영자의 경영컨설팅 인식요인은 고객만족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특히, 경영관리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업재활시설 경영자의 경영컨설팅 인식요인은 내부프로세스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특히, 경영관리분야와 생산/운영분야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직업재활시설 경영자의 경영컨설팅 인식요인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특히, 경영관리분야와 생산/운영분야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여섯째,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컨설팅 성과는 고객만족성과, 내부프로세스성과,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성과, 내부프로세스성과, 재무성과 순이다.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사회적상호작용, 역할취득 및 자아정체성 간의 영향관계분석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Role Acquisition, and Self-Identity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Daily Sports)

  • 박중흥;박진우;이현수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27-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사회적상호작용, 역할취득 및 자아정체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경남, 경북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중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384명을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사회적상호작용, 역할취득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참여기간은 자아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시간은 사회적 상호작용, 역할취득, 자아정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빈도는 사회적 상호작용, 역할취득, 자아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상호작용, 역할취득 및 자아정체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상호작용, 역할취득 및 자아정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의 지질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on Geology Education Program of IS-GEO)

  • 정예희;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8-17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국제지질자 원인재개발센터의 지질과학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학생들의 인지적 발달수준에 따른 지질과학에 대한 태도와 교육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들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지질과학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 282명 중 무선 표집 방법에 의한 139명이다. 따라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조작 단계는 44%, 과도기는 32%, 형식적 조작 단계는 24%로, 76%의 중학생들의 인지적 발달 수준은 형식적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질과학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지질 관련 과학수업 Geology-related science class', '교외 지질과학 Suburban geological science class', '지질과학과 기술에 대한인식 Recognition of ge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인지적 발달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모든 인지적 수준의 연구 참여자들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진행하는 지질과학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육만족도와 지질 과학에 대한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학습 행동체계에 있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의 교육 훈련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이 교육만족감을 높게 가질수록 지질 과학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령친화환경 요인들이 삶의 만족 및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집단별 비교 연구 (The Effects of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Aging Anxiety: An Analysis by Age-Cohort Groups)

  • 이상철;박영란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2호
    • /
    • pp.173-200
    • /
    • 2016
  •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생애과정관점에 따라 중고령자들의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과 노화불안의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대도시에서 노년기를 맞이한 사람들의 삶의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노화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나타내는 삶의 만족 제고와 노화불안 감소에 기여하는 영향요인, 즉 개인의 객관적인 삶의 조건을 의미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의 영향력과 고령친화 환경의 영향력을 상호 검토함으로써 고령친화환경 조성을 통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를 포함하는 노년기 세대를 대상으로 비례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4,0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집단의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삶의 만족 수준은 낮아지는 반면, 노화불안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집단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과 노화불안에 대한 개인의 객관적 삶의 조건들의 설명 분산은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연령집단별 영향변수는 상이하게 나타남에 따라 노년기 연구에 있어서 생애과정 관점의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연령집단별 고령친화환경 요인들이 삶의 만족에 대한 설명분산이 높게 나타난 반면, 노화불안에 대한 설명분산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장년층에 비해 설명분산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친화환경 요인들은 연령집단별 공통적인 요인들이 존재하는 반면, 연령집단별 상이한 요인들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 따라 노년기를 보내는 개인의 삶의 만족을 제고하고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설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Change and Exercise Immersion for Activation of Aerobic Dance)

  • 이승도;김경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5-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를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에어로빅댄스 활성화가 되도록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4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에어로빅댄스 회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40~49세, 신장은 160cm이상, 직업은 주부, 체중변화는 시작 후, 체중변화량은 -3kg 이상, 참여강도는 100분이상, 참여빈도는 4일, 참여기간은 5년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eral Exercise Enthusiast on Exercis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

  • 이승도;김영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1-2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을 하도록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운동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주일운동량에서 6일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iversity Varsity Teams)

  • 김언혜;장익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27-436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운동부를 대상으로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변인 간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에 등록된 대학을 중심으로 10개 대학교의 운동선수 188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구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대학운동부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인권감수성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 one-way ANOVA,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에피소드 중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에피소드는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노인의 행복권이며, 인권감수성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에피소드는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 사생활권이다. 또한,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인 중 책임지각과 상황지각이 결과지각보다 높다. 둘째, 대학운동부 특성에 따른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은 학교운동부규모, 수상실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대학운동부의 교육특성에 따른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코로나 19상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in Life Sports in the COVID 19)

  • 정주혁;김금자;유정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펜테믹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운동 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정기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척도를 활용하여 유의표집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경력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정서는 여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정서는 심리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정서와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은 긍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트니스센터 트레이너의 긍정심리자본이 감정노동,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Fitness Center Trainers on Emotional Labor and Job Ability)

  • 서재명;김도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69-176
    • /
    • 2022
  • 본 연구는 피트니스센터 트레이너의 긍정심리자본이 감정노동 및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방법으로 수도권 소재 피트니스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265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문항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긍정심리자본과 감정노동의 관계에 있어 심층연기, 표면연기에 있어 희망과 낙관주의에서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다음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능력의 관계에 있어 지도능력은 자기효능감, 희망, 관리능력은 낙관주의, 희망, 상담능력은 희망,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홍보능력에서는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프로그램운영능력에서는 낙관주의, 탄력성에서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감정노동과 직무능력의 관계에 있어 상담능력은 심층연기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지도능력, 관리능력, 홍보능력, 프로그램운영능력에서는 심층연기, 표면연기에서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 직무능력의 관계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트레이너의 감정노동으로서의 특성과 속성 연구와 함께 개선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