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in Life Sports in the COVID 19

코로나 19상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

  • Jung, Joo-Hyu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Kim, Keum-Ja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Yoo, Jung-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 정주혁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 김금자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 유정인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subjects who are participating in physical sports on a limited condition in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ly, af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using the sports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from member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sports at a sports facility located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the careers of the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exercise emotion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having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Finally, exercise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conclusion, the exercise emotion had a positive and clos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in Life Sport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펜테믹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운동 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정기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척도를 활용하여 유의표집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경력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정서는 여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정서는 심리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정서와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은 긍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rooks, S. K., Webster, R. K., & Smith, L. E.(2020). The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and how to reduce it: rapid review of the evidence. Lancet, 395, 912-920. https://doi.org/10.1016/s0140-6736(20)30460-8
  2. Ong, S. W., Tan, Y. K., & Chia, P. Y.(2020). Air, surface environmental,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ntamination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rom a symptomatic patient. JAMA, 323 (16), 1610-1612. https://doi.org/10.1001/jama.2020.3227
  3. 정재춘(2013).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배드민턴 활동을 참여하는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관광연구, 28(2), 139-159.
  4. Lavie, C. J., Ozemek, C., Carbone, S., Katzmarzyk, P. T., & Blair, S. N.(2019). Sedentary behavior, exercise, and cardiovascular health. Circulation Research, 124(5), 799-815. https://doi.org/10.1161/CIRCRESAHA.118.312669
  5. 이건철(2021). 생활체육 참여자의 스포츠몰입, 심리적 만족, 운동행동과의 관계. 인문사회 21, 12(2), 1849-1860.
  6. 정덕임(2012).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질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Wstson, D., & Clark., L. A.(1994). "The PANAS-X manual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expanded torm". The University of Iowa.
  8. Cauvein, L., & Brawley, L.(1993). Alternative Psychological models and methodologies for the study of exercise and affect. In P, Seraganian(Ed.), Exercise Psychology: the influence of Physical exercise on Psychological Processes.
  9. 유진, 김종오(2002). 한국형 운동정서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2), 103-117.
  10. 구대웅, 이근모, 김준(2013). 수영참여자의 열정, 정서가 자기관리 및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2(1), 87-100.
  11. 강혜련, 신승희(2020). 생활체육 수영 참여자의 운동 몰입, 운동정서, 운동중독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419-429.
  12. 안수운(2016). 청소년의 미디어스포츠 몰입경험과 운동몰입,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 구조 모형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5, 423-436.
  13. 현선희(2006). 댄스스포츠 재미요인과 운동 환경만족이 참가자의 여가몰입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4), 103-112.
  14. 권지영(2018). 스포츠센터 회원의 운동정서가 운동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203-211.
  15. 김준, 장승현(2015). 여가스포츠 참가 대학생의 지속적 관여도와 여가만족이 스트레스 관련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37-50.
  16. 김화룡, 구강본(2018). 태권도 동호인들의 재미요인이 여가만족 및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8(2), 389-400.
  17. 김미숙(2003). 청소년들의 여가 유형에 따른 여가 만족도 차이 분석. 레크리에이션교육학회지, 4(1), 38-44.
  18. 배소심, 이영희(2005). 중년여성들의 여가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8, 181-189.
  19. 문용, 윤정욱, 주성택(2011). 노인복지관 여가스포츠시설 이용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여가 몰입,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안녕 간의 인과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95-109.
  20. 정희재, 원영신(2010). 여가스포츠 참여 여성 노인의 몰입경험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5), 85-96.
  21. Bingley, A., Gatrell, A. & Milligan, C.(2004). Cultivating health: Therapeutic landscapes and older people in northern England.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8, 1781-1793. https://doi.org/10.1016/S0277-9536(03)00397-6
  22. 김재훈, 박봉섭(2007).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운동 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7(2), 359-369.
  23. 안병욱, 황선환(2012).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유 능감, 여가몰입, 여가만족,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문화학회지, 9(3), 1-19.
  24. 권순재, 장성운, 양재혁, 윤영선(2012). 교양 체육 참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4), 283-293.
  25. 손지영, 전선영(2016).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복지감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3), 1-18.
  26. Jones, P. E.(1994). The social Context of health Work. London: Macmillan.
  27. 원두리, 김교현(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11(1), 125-145.
  28. Berger, B. G., & Owen, D. R.(1988). Stress reduction and mood enhancement in four exercise model: Swimming, body conditioning, hetha yoga, and fencing.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9, 148-159. https://doi.org/10.1080/02701367.1988.10605493
  29. 송현직, 서미진, 김명미, 임승현(2017). 검도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연구, 17(3), 179-195.
  30. 이 혁, 이세홍(2013). 게이트볼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 575-584.
  31. 김경(2012). 수영참가 노인들의 사회적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및 참여 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3), 53-62.
  32. 이양희, 이학희(2015). 주부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웰빙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4(2), 383-402.
  33. Ryff, C. D., & Singer, B. H.(2000). Interpersonal flourishing: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1 Special Issu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t the Interface: New Direction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30-44.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401_4
  34. 양명환, 김덕진, 김정수(2008).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4), 87-104.
  35. 김동일(2009). 사격 및 타 종목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자기신체지각과 심리적 웰빙 비교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안용덕, 박성화, 장유섭(2015). 생활체육 축구 동호회 참가자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2), 177-190.
  37. 윤대현, 김진성(2009). 마스터즈 수영선수의 여가몰입경험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5), 277-287.
  38. 이윤주(2002).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른 자긍심,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김준희, 이무연(2009). 레저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스포츠 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101-112.
  40. 노형진(2004).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41.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42. 김계수(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PSS아카데미.
  43. Beard, J. G.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44.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4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5(2), 19-39.
  47. 문대성, 현승권(2013). 헬스클럽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몰입경험 및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8(2), 115-127.
  48. 이금주(2019). 생활승마활동 참여자들의 주관적 운동정서와 긍정적 감정의 차이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303-313.
  49. 박철호, 김판영(2004). "문화관광축제 평가항목에 대한 참가자 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20, 71-91.
  50. 김민준, 유정인(2015).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열정과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3), 205-217.
  51. 김영재, 차윤석(2009). 여가스포츠 참여 대학생들의 몰입정도에 따른 심리적 웰빙.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 965-974.
  52. 한건수(2014).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민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2), 7051-7059. https://doi.org/10.5762/KAIS.2014.15.12.7051
  53. 유정인, 김성규(2020).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211-222.
  54. 김재원, 조은정(2011). 여가활동으로 운동에 참여중인 대학생들의 여가만족과 정서, 운동지속수행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397-407.
  55. 송리라, 김형남, 전미라(2015). 라인댄스 참여중 노년 여성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2), 153-164.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153
  56. 이상희, 원영신(2012). 강남시니어플라자 하모니댄스 참여자의 참여활동에 따른 여가몰입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2(1), 41-53.
  57. 이학식, 임지훈(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도서출판 법문사.
  58. 이중재, 이승민, 유정인(2015). 필라테스 참여자의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1, 421-432.
  59. 표종현, 이근모, 장승현(2011) 승마 참여자의 몰입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4), 277-290.
  60. Diener, E., & Lucas, B.(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61. 김영숙(2011). 운동을 통한 긍정적 감정의 경험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다. 스포츠과학, 116, 29-33.
  62. 여윤기, 김용규, 김지수(2008). 스쿼시 동호인 선수의 스포츠몰입과 운동정서 그리고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 1447-1457.
  63. 김선주(2018). 여가스포츠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7(2), 29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