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치

Search Result 3,69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tudy in Radius of Corneal Curvatur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Keratometer (RGP 렌즈 착용한 대학생의 각막곡률반경 측정)

  • Kim, Chang-Sik;Ryu, Kwang-M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1 no.3
    • /
    • pp.181-185
    • /
    • 2006
  • The measurement of the radius of corneal curvature with keratometer was followed in 184 university students who wearing RGP contact lens and consisted of female(167), male(17) and keratoconus patients(3). Overall mean value in the radius of corneal curvature is 7.77mm, and right and left eyes is appeared the same mean value. Overall mean value in horizontal and vertical is 7.88mm and 7.65mm. Horizontal means is larger than vertical means by 0.22mm of the all female and male students. Male's mean value in the radius of corneal curvature(7.84mm) is larger than female's by 0.08mm, and right and left eyes is also the same mean value. Keratoconus patients' mean value in the radius of corneal curvature(6.86mm) is smaller than others students by 0.91mm.

  • PDF

Human Motion Recognition using Fuzzy Inference System (인체동작구분 퍼지추론시스템)

  • Jin, Gye-Hwan;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4
    • /
    • pp.722-727
    • /
    • 2009
  • The technology of distinguishing human motion states is required in the areas of measuring and analyzing biosignals changing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diagnosing sleep disorder, screening the effect of treatment, examining chronic patients' kinetic state, prescribing exercise therapy, etc. The present study implemented a fuzzy inference system based on fuzzy rules that distinguish human motion states (tying, sitting, walking, and running) by acquiring and processing data of LAA, TAA, L-MAD, and T-MAD using ADXL202AE of Analog Devices embedded in an armband. The membership degree and fuzzy rules in each area of input (LAA, TAA, L-MAD, and T-MAD) and output (tying, sitting, walking, and running) data used here were determined using numeric data obtained from experimen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for simulation generated in order of tying$\rightarrow$walking$\rightarrow$running$\rightarrow$tying, the sorting rate for motion states tying, sitting, walking, and running was 100% for each motion.

Automatic Threshold-decision Algorithm us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자동 임계치-결정 알고리즘)

  • Ko, Kyong-Cheol;Rhee, Yang-W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6
    • /
    • pp.103-111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utomated threshold-decision algorithm that uses the mean and standard-deviation value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values of consecutive frames. At first, the calculation of difference values is obtained by the weighted ${\chi}^2$-test algorithm which was modified by joining color histogram to ${\chi}^2$-test algorithm. The weighted ${\chi}^2$-test algorithm can subdivide the difference values by imposing weights according to NTSC standard. In the first step, the proposed automatic threshold-decision algorithm calculates the mean and standard-deviation value from the total difference values, and then subtracts the mean value from the each difference values. In the next step, the same process is performed on the remained difference values, and lastly, the threshold is detected from the mean when the standard deviation has a maximum value.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on various video sources an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efficiently estimates the thresholds and reliably detects scene changes.

  • PDF

A MORPHOMETRIC STUDY OF THE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S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연구)

  • Lee, Jong-Beom;Kim, Chong-Chul;Hahn, Se-Hyun;Lee, S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3 no.4
    • /
    • pp.643-6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size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s in Korean children us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and compare three-dimensional image with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Scanned three-dimensional images of dental cast taken from 132 children(male 62, female 70) by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Breuckmann opto-Top HE100, INUS, Korea) were used. Mesiodistal diameter, buccolingual diameter, occlusogingival height and crown shape of each image were calculated by Rapidform 2004 program(INUS, Korea). The value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with 95% of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own size was found between left and right maxillay primary first molar(p>0.05). 2, Significant difference in mesiodistal diameter, buccolingual diameter, buccal occlusogingival height was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p<0.05), and crown size of male was bigger than that of female. 3. Average image of maxillay primary first molar was shaped three-dimensionally and measured. In comparison with 3M stainless steel crown, this image was similar with No.4 or No.5 SS crown in male, No.4 in female. In comparison with ILSUNG SS crown, this image was similar with No.5 in male, No.4 in female. 4 Mesiolingual line angle area, distolingual line angle area and buccogingival ridge were more obvious in average image than 3M stainless steel crown. ILSUNG SS crown was more square and had longer mesiodistal diameter than average 3D image.

  • PDF

A Study i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aker recognition using average pattern and weighted cepstrum (대표 평균치 패턴과 가중켑스트럼을 이용한 화자인식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정종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79-183
    • /
    • 1995
  • DTW를 사용한 텍스트종속 화자확인의 성능향상에 관한 것으로, 화자인식의 근본적인 난점인 화자 정보 추출의 어려움, 사칭자의 거부, 시간 변화에 따른 인식률 저하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DTW 방식을 유지하면서 DTW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과다한 계산량과 발성 습관과 시간 변화에 따른 음성왜곡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준 패턴에 통계적 의미를 도입한 대표 평균치 패턴을 사용하였다. 가중 켑스트럼은 화자별로 유용한 켑스트럼 차수를 구하여, 그 차수에 가중치를 두는 것으로 본 실험에서는 F-ratio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실험결과 대표 평균치 패턴과 F-ratio를 사용할 경우 인식률이 각각 약 3~4% 향상되었다.

  • PDF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SOFT AND HARD TISSUE FACIAL PROFILE OF HARMONIOUS KOREAN YOUNG ADULT FEMALES (조화된 측모상의 연경조직의 형태학적 연구 - 한국인 성인여자에 대하여 -)

  • KANG, GOO-HAN;Kinoshita, Z.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16 no.1
    • /
    • pp.7-34
    • /
    • 1986
  • 본 연구목적은 여자성인교정을 위한 치료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용된 연구자료는 96명의 한국인 TV탈랜트와 영화배우 또는 패션모델중 교합과 안모를 평가하여 선정된 30명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이었으며 선정된 표본의 평균연령은 20.16세였다. 연구방법은 측모경조직분석을 위해 Downs분석, Northwestern분석, Steiner분석, Wylie분석, Tweed분석, Dimensional linear분석법이 이용되었고 측모연조직분석을 위해 Holdaway연조직분석법이 적용되었다. 조사된 계측치들은 Apple II 48K system을 이용하여 각항목에 대한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백인, 한국인, 일본인의 기존계측치와 비교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I. 경조직분석 (1) 본 연구와 백인과의 비교 본 연구에서는 백인에 비해 하악이 후퇴되었고 상${\cdot}$하악절치는 순측경사를 보였다. 또한 하악하연경사가 심했다. (2) 본 연구와 한국인정상성인여자(이 연구)의 계측치 비교 이의 연구계측치에 비해서 상악이 후퇴되어있고 상${\cdot}$하악절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안모형태는 이의 한국인정상성인여자에 비해서 직선형안모를 보였다. (3) 본 연구와 일본정상인의 계측치 비교 일본정상인에 비해 하악이 돌출되었고 상${\cdot}$하절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또한 안모의 상부고경과 하악크기는 일본정상인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II. 연조직분석 연조직분석의 11항목중 H-선에 대한 연조직 subnasal과 하순의 계측치가 Holdaway의 acceptable range를 벗어났다. 그 이유는 본연구에서 하악이 상대적으로 후퇴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이외항목의 계측치들이 acceptable range내에 있다는 것은 연조직이 경조직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III. Downs분석, Northwestern분석, Steiner분석, Wylie분석, Tweed분석, Dimensional linear measurements분석을 위한 평균치, 표준편차, Polygon도표를 작성함으로써 한국성인여자교정의 진단과 치료목표를 정하는데 지침이 된다고 사료된다.

  • PDF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 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 (성남지역 노인의 영양 및 건강상태 조사 I. 신체 계측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 권종숙;이홍재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6 no.4
    • /
    • pp.310-320
    • /
    • 2003
  • To study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Songnam, the anthropometic measurments, fat composition of body(FAT), blood pressure(BP) and blood test for analyzing biochemical indies of the elderly in seongnam were carried out in 338 free-living elderly (161 men, 177 women) aged from 58 to 9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pressure were assessed, and body fat was analyzed by BI(Bioelectrical Impedence) method. Biochemical measurements including blood glucose(BG), GPT, serum total cholesterol(TC) and albumin(AL) were analyzed. Average heights of the subjects were lower than the standards established i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nd average weights were similar to the standards.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36.4%) than men(27.7%), and both group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reference. Mean systolic BP levels of men and women were 153.3mmHg and 153.7mmHg, and diastolic BP levels were 87.5mmHg and 86.0mmHg,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 Mean BG levels of men and women were 115.9mg/㎗ and 123.7mg/㎗,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 and among the age groups. Mean GPT levels of men and women were 19.4unit and 18.1unit, respectively, and women older than 75 years showed significanly low levels of GPT compared to other women's age groups. Mean TC levels of men and women were 186.0mg/㎗ and 206.6mg/㎗,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er TC levels were shown in women than men. Mean AL levels of men and women were 4.8g/㎗ and 4.8g/㎗, respectively, and men aged 50 ∼ 64 years showed significant high AL level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of men. It was suggested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a good way to impro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independent rainfall series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연구)

  • Yoo, Chul-Sang;Park, Cheol-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1-2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과 연최대치 계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경우의 IETD 및 절단값을 적용하여 독립 호우사상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 연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1961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점의 시강우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IETD의 증가에 따라서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강우강도는 감소하고, 평균 지속기간은 증가하였다. 절단값의 증가에 따라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지속기간은 감소하고, 평균 강우강도는 증가하였다. 호우사상의 평균 강우강도는 강우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속기간이 짧은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는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보다 매우 작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 기간이 짧은 경우, 연 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는 매우 크며, 강우 지속기간이 길게 적용한 경우에는, 두 계열의 차이는 매우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estimation of the design rainfall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설계강수량의 변화추정에 관한 연구)

  • Yoon, Yong-Nam;Yoo, Chulsang;Oh, se-jeong;Jang, Su-Hy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49-85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년 최대치 계열을 이용한 빈도분석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혼합분포의 개념(유철상 등, 2002) 및 GCM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향후 10년후에 설계강수량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 대해서 혼합감마분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렇게 추정된 확률강수량의 변화폭$(\%)$은 GUMBEL 년 최대치에 의한 확률강수량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감라분포를 이용한 설계강수량 추정치는 GUMBEL 분포를 적용하여 년 최대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 혼합감마분포의 매개변수와 우기 강수량간의 상관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 $2{\times}CO_2$ 조건에 대한 5개의 GCM 예측치를 적용한 결과 향후 10년후의 100년 빈도 설계강수량은 현재에 비해 GCM에 따라 천안($-0.011\~0.021\%$ 변동, 평균 $0.005\%$ 증가), 부여($-0.036\~0.078\%$ 변동, 평균 $0.012\%$ 증가), 보령($-0.041\~0.089\%$ 변동, 평균 $0.014\%$ 증가), 서산($-0.040\~0.085\%$ 변동, 평균 $0.013\%$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변화는$2{\times}CO_2$ 상황이 50-100년 사이에 도래한다는 일반적인 관측을 고려하면 아주 미미한 결과라 판단된다.

  • PDF

Multi-dimensional Diagnosis of Rural Areas by Agricultural Environment Indicators (농업환경지표에 의한 농촌의 다원적인 지역진단)

  • ;;;;Takeshi Koizumi
    • KCID journal
    • /
    • v.10 no.2
    • /
    • pp.101-106
    • /
    • 2003
  • 농촌의 현황을 다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의 29개의 데이터를 선정하여 주성분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을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진단 기법은 일본 전국의 시$\cdot$$\cdot$촌의 평균치를 3차원 좌표축을 원점(0, 0, 0)으로 하여 진단하고자 하는 지역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진단지역이 전국 평균치 대비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좌표축은 경제활력, 농업활력, 자연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