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수학급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모바일 기반 초등학교 통합 학급 운영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Mobile-Based Integration Class Management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 조윤섭;이수정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7-275
    • /
    • 2005
  • 특수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지도 방법의 이해 부족 및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상담여건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일반학생들의 지도와 병행한 특수아동의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 환경 속에서의 통합학급운영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첫째, m-Learning환경에서 특수아동을 지도하는 통한학급교사에게 시간적,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둘째, 무선인터넷의 특징인 즉시성, 편재성, 보안성을 갖는 모바일환경의 폰페이지에 학부모와 특수아동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상담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을 통한 알림장 작성이 불가능한 특수아동을 위하여 폰페이지에 알림장을 만들고 학부모에게 학교에 관련된 정보와 학급 상황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넷째,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또는 교육청 단위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SMS서비스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모바일통합학급운영시스템은 현장에서의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상담 기회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ICT 활용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Actual Usage of ICT Used by a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 김형수;양권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9-214
    • /
    • 2007
  • 현재 초등 학교의 ICT 활용 교육을 위한 교육 환경과 교수 학습 자료는 일반 학급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 특수 학급 교사들이 ICT를 활용해서 장애 아동들을 가르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초등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교사와 장애 아동을 위한 ICT 활용 교육 환경과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특수학급 담당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절한 ICT 교육 환경과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을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ICT 교수 학습 자료 활용 실태를 분석 한다.

  • PDF

정신지체장애학교의 학급운영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Implementation of a Class Management System of the Sch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 한종호;이지근;이은숙;김희숙;정석태;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65-668
    • /
    • 2002
  •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화와 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은 사회 전반에 걸쳐 깊숙이 보편화 되었고 정보를 처리하는 대표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런 현상에서 각급 학교에서도 학급 운영과 학생관리 등 거의 모든 업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학급 운영 시스템은 일반 학교의 학급을 위한 시스템이 대부분이고, 이들 학급 운영 시스템은 학급운영과 학생관리의 업무 특성상 정신지체장애 학교와 같은 특수학교에 적용하여 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지체 학교와 같은 특수학교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학급 운영 시스템을 설계, 구현함으로써 특수학교 교사와 학생의 학급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특수학교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개별 교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학급 운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ACUM 기법을 활용한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DACUM Technique)

  • 김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05-316
    • /
    • 2022
  •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사용하여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풍부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고 총 6회기의 DACUM 워크샵을 거쳐 직무정의,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명세서는 9개의 책무와 53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 기술서는 80개의 지식, 98개의 기술, 22개의 태도로 구성되었다.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는 가정연계지도, 건강과 안전관리, 초등학교 전이지도, 놀이주제에 따른 환경구성, 실내외 놀이 활동지도가 초·중등 특수교사와 차별화된 과업이었다. 지식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행동수정에 대한 지식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고, 기술은 관찰과 기록, 부모면담 및 부모교육기술이, 태도는 전문가와 행정가로서의 태도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직무분석의 결과는 대학에서 직무역량이 높은 유아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 전혜인;정효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68-275
    • /
    • 2021
  •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특수학급(特殊學級)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한 건축계획적(建築計劃的) 연구(硏究)(1) -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1))

  • 최병관;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12권4호
    • /
    • pp.17-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ndamental standards of architectural planning concerning special class facilities in order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pecial classroom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activities and the existing spatial organization. At present, there are no proper architectural standards which correspond to special class children's handicap and it's various characteristics. The special classes are just using ordinary classrooms without a considerations of the children with manifold handicap. In this sense, this study deals with appropriate special class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handicap, the contacting activities of special children with ordinary children and finally proper environment for the mainstreaming education which special education pursues.

특수학급(特殊學級)의 배치계획(配置計劃)에 관한 건축계획적(建築計劃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ocation of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최병관
    • 교육시설
    • /
    • 제13권1호
    • /
    • pp.36-4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ndamental standards of architectural planning concerning special class facilities in order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location of the special classroom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ing activities and the existing loca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deals with appropriate special class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handicap, the contacting activities of special children with ordinary children and finally proper environment for the mainstreaming education which special education pursues.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A Case Analysis of Study on Verbal Interaction during the Math Class of a Special Classroom)

  • 홍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15-224
    • /
    • 2017
  • 이 연구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의 빈도와 특성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교과 수업 중 도형 단원에 대한 수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주체는 교사가 먼저 시도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전체 291회 중 237회(84.1%)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질문은 전체 240회가 나타났는데, 지식 영역의 질문이 160회(66.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생 응답은 전체 617회가 나타났는데 단답형 응답이 367회(59.5%)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피드백은 전체 581회가 나타났는데 정오(단순) 피드백이 234회(40.3%)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은 전체 237회가 나타났고, 교사 질문과 학생 반응 그리고 교사 피드백이 1회 나타나는 I(RF) 유형이 83회(35.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특수 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 대한 정보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별 특수교육시설 정비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Facility)

  • 임창현;김성룡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32-40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받을 권리와 공정한 지역배치 원리를 고려한 특수교육시설의 정비가 될 수 있도록 특수교육시설의 지역별 정비현황의 편차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고찰함으로써, 앞으로의 시설설립계획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특수교육원, 특수교육정책과, 각 시도교육청의 통계자료 및 시설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육대상자와 장애영역별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마다 주요현황 및 정비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경우는 특수학교의 시설부족으로 인해,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방도시에서는 장애영역별로 불균등한 결과를 보이며, 특수교육지원센터가 부족한 체계를 보완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평가해보면, 특수교육시설은 아직 전국적으로 평준화되지 않는 정비 상황을 보인다.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Teachers' Attitude toward Classroom Layout for Special Students)

  • 강병근;성기창;김진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1-58
    • /
    • 2009
  • These days the trend of special education is changing from special school-based education to special class room based education, and from separated education to integrate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special classes should be planned for multi purposes so that the class room can be used for the place of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job education. This research surveyed the special teachers working for 937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es(elementary 631, middle 217 high school 89).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e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chools. For education activiti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ut emphasis on curriculum rather than guidance. High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hould have the pla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 management, play ground. Middle schools give priority to the places for individual learning, computer and practical training. High schools value the places for job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above for lear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