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임상실습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대학생의 통합임상실습 전·후 학습성과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Program Outcome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 이외선;노윤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통합임상실습 전·후 학습성과의 차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자료수집은 2021년 7월 19일부터 9월 10일까지 간호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2주간 통합임상실습 전·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Wilcoxon sign rank,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통합임상실습 후 제1학습성과(통합적용)(Z=-4.63, p<.001), 제2학습성과(핵심수행)(Z=-3.99, p<.001), 제6학습성과(비판적사고)(Z=-3.60, p<.001) 및 제11학습성과(연구수행)(Z=-2.76, p=.005)가 실습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통합임상실습이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실습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기를 제언한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nse of Coher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전기하;임순연;김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23-330
    • /
    • 2016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임상실습을 1회 이상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에서는 학제기준에서는 '4년제' 학생이, 학과선택동기에서는 '주변권유로' 치위생(학)과를 선택한 경우가, 임상실습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는 학제기준에서는 '3년제'가, 학과성적에서는 '4.0 이상'대의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횟수에서는 '2회 이하'의 실습을 한 학생들이 가장 높은 학과만족도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성은 임상실습스트레스(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과만족도(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통합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모두 부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통합성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요인간의 직,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간접효과는 0.06으로 낮게 나타나 통합성과 학과만족도 사이에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나 매우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 간에는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간접효과가 낮게 나타난 부분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확대 후속연구를 제언하며 통합성과 관련한 반복적 연구를 통해 통합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Integrat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and Outside School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0-1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8일부터 7월 3일까지 G시 소재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며,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은 임상수행능력 향상과 더불어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교외 임상실습 전 임상상황에 맞는 다양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Nursing Practice Program preceded Role-play related to Clinical Communication Situation)

  • 강서영;임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37-3045
    • /
    • 2014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통합실습 프로그램은 6개의 임상적 의사소통 상황 관련 시나리오를 활용한 역할극, 3개의 임상상황 관련 시나리오를 적용한 역할극, 3개의 핵심간호술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4시간씩 8주간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였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실습프로그램 적용 후에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은 간호실습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 문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71-284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에 의한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C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64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2016년 12월 6일까지였다. 연구결과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 운영 후 문제해결과정 (t=-3.052, p<.01), 임상수행능력(t=-4.279, p=.000),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t=-2.416, p<.05)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4학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의 임상실습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평가 도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과목별 시뮬레이션실습과목의 통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일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between Integration, Clinical Practice Stress, Department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백명화;이미숙;김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43-55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학과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진행하였다. 임상실습 경험이 1회 이상인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통합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학과만족도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394부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성은 학과만족도에 정적 상관관계를(r=.412, p<.01), 임상실습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193, p<.01).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통합성(β=.406, p<.001)과 입학 동기(β=.166, p=.006)로 전체 변량을 20%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통합성과 입학 동기는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대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입학초기부터 통합성 증진프로그램과 학과적응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grated-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Confid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 김미정;나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83-69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41명으로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9주간 운영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학습자신감(t=-2.21, p=.033), 임상추론역량(t=-2.97, p=.005), 임상수행능력(t=-2.84, p=.007)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224, p=.824). 둘째,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 후 임상수행능력은 의사소통능력(r=.650, p<.001), 학습자신감(r=.440, p<.001), 임상추론역량(r=.824,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자신감과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시뮬레이션 실습 운영이 필요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간호대학생의 웹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임상 실습 경험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cluding Web-based Simulation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경숙;박지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1-9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임상 실습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 실습 경험을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에 의한 심충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구성요소와 7개의 주제 묶음, 18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구성요소로, 임상 실습은 4개의 주제 묶음으로 '팬데믹 상황에서의 불안한 실습의 출발', '다양한 사례에 의한 직접 경험', 미래 간호사로서 준비하는 훈련 기회', ' 수행의 부담감 및 제한적 경험'이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은 3개의 주제 묶음으로 '미완성의 간호실습', '가상공간에서의 임상 간호에 대한 간접경험', '통합 실습 모델의 요구'로 분류되었다. 간호교육과정에서 임상 실습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학생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간호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관찰 위주의 임상 실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실습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혼합 실습 모델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Education in Anatomy using Cadavers to the Paramedic Students)

  • 손인아;손명주;정구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41-347
    • /
    • 2013
  • 1급 응급구조사는 인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임상술기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위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은 기초의학 분야중 하나인 인체해부학을 이수해야 하며 카데바(cadaver)를 이용한 해부실습 교육이 통합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 255명에게 실시된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교육 만족도는 5점 척도 중 평균 4.50점으로 나타났으며, 주제별 시간의 적정도는 평균 3.61점이었고,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평균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93.3%의 학생이 재참여 혹은 다른 학생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학년별로 이해도 만족도 시간 적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결론적으로, 추후 학년별 맞춤형 카데바 해부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고 고학년은 실습 시간을 늘리고 육안해부학(gross anatomy) 뿐만 아니라 임상술기를 접목한 임상해부학(clinical anatomy)에 대한 실습이 통합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간호교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대학 실습실의 이용에 관한 고찰 (Creative Use of College Laboratory in Nursing Education)

  • 이미옥
    • 대한간호
    • /
    • 제24권4호통권132호
    • /
    • pp.118-130
    • /
    • 1985
  • 실행(practice)를 위주로 하는 전문직 교육은 실지 실습이나 임상교육등이 필수적이며 중요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간호학교가 병원에 소속되어 있어서 간호 임상교육은 그 본 목적인 학생들의 학습보다는 오히려 병원 업무를 돕는 방향으로 잘못 전개되어왔다. 간호교육이 병원에 소속된 간호학교로 부터 학문의 전당인 대학안으로 옮겨지면서 많은 뜻있는 간호교육자들의 노력과 시도로 학생들이 고용인으로 이용되는 상황에서 탈피하여 임상교육이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을 실지로 응용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배움의 경험이 되도록 조금씩 발전해 가고는 있지만 아직도 바라는 만큼 이루어지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는 임상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이 기능적인 일을 반복하며 주어진 시간만을 채우는 경향이 많고 배운 이론을 대학 실습실에서 응용해 보지 못한채 직접 환자 간호에 적응하려면 지나친 불안과 긴장으로 오히려 학습에 장애가 오기도 한다. 또한 환자의 입장을 고려해 보면 그들은 안전하고 완벽한 간호를 받을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때로 서투른 학생들의 실습의 대상으로 노출되어 불안을 느끼고 바람직한 간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몇 뜻있는 간호 교육자들은 임상들의 실습장소로 택하는 것은 학생에게는 부적절한 학습 환경이 될 뿐 아니라 환자에게는 도덕적, 윤리적으로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좀 더 잘 설비된 대학의 실습실이 급선무이고 또한 교화적이고 창의적인 실습실의 이용으로 반복적인 임상 실습의 양은 줄이는 한편 학생들의 실력이나 적용 능력의 토대를 탄탄히 하는 몇가지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물론 제시된 시법이나 작은 그룹별 학습등은 기초 간호학실에서 많이 이용된 방법이기는 하지만 더욱 잘 응용되어야하겠고 역할 재현(role play)이나 유사 상황(simulation) 조성등의 학습 방법으로 기술적인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나 면담기술 및 창의적이며 논리적인 사고의 발달등도 이루어 지리라 기대된다.학생들이 적정량의 기술과 지식을 익힌 후에 좀 더 복합적이고 통괄적인 지식의 응용 및 평가가 필요할 때 실지 임상 실습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