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택트공정관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건축마감공사에서의 택트타임 설정을 통한 작업조정 프로세스 개발 - 오피스 건축물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act time at finish 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Office Building -)

  • 윤유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90-97
    • /
    • 2005
  • 현대의 건축공사는 고층화 추세에 따라 반복공정의 수가 증가하여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 및 공사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많은 반복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마감공사는 작업흐름의 관리에 따라 전체공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마감공사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 작업연속성을 확보하여 목표공기를 달성하는 기법인 택트 공정관리에서는 택트타임을 설정하여 반복작업의 작업편차를 일정하게 하여 공사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기존 택트공정 관리와 관련된 연구는 작업구역분할, 작업일보, 택트 공정관리 프로세스 등을 수행하였지만 작업 연속성 확보를 위한 택트타임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점추정견적 방법에 의한 택트타임의 설정방법과 작업기간 조정절차를 제시하여 택트타임 기반의 공정계획수립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택트공정 계획 수립을 통해 목표공기가 지연되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작업구역의 합리적 분할에 의한 건축 마감공사의 공정운영 개선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dividing the work area reasonably in Building Construction)

  • 윤유상;정영권;서상욱;신동우;김창덕;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59-65
    • /
    • 2003
  • 현대의 건축공사는 고층화 추세에 따라 반복공정의 수가 증가하고, 마감공사에서의 관련 공종 수가 증가하여 작업연속성에 대한 계획 및 공사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마감공사의 합리적 운용을 위해 작업구역의 분할과 각 작업을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의 개선을 이루고자하는 기법 중의 하나가 택트공정관리 기법이다. 택트공정관리에서는 작업구역의 출역인원 파악으로 현재의 공정 진행률을 측정하는데,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작업구역 분할 체계는 출역인원의 정확한 파악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 및 현장 인터뷰를 통하여 현재 작업구역 분할 체계와 맞지 않는 공종을 파악하고, 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작업구역 분할 체계를 제시하였다.

공동주택 마감공사에서의 택트공정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ACT Planning & Scheduling in Finish Work of Apartment Houses)

  • 윤유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22-425
    • /
    • 2003
  • 건축공사의 고층화 추세에 따라 반복공정의 수가 증가하고, 마감공사에서의 관련 공종 수가 증가하여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 및 공사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공사의 효율적 은용을 위해 각 작업을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의 개선을 이루고자 하는 기법이 택트공정관리이다. 그러나 택트공정관리는 세부공정 및 작업구역에 따른 상이한 시공속도와 이로 인한 선행공정의 작업지연 등 비효율적 요소 때문에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별 소요시간의 동기화(同期化)를 통한 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공동주택 창호공사를 대상으로 작업방식의 세부작업단위 및 작업인원 수를 작업시간의 동기적(同期的)연결 및 최소 요구인원 수를 기준으로 조정한 후, 공기단축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작업일보 정보를 이용한 택트공정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act Management Using a Daily Report Information)

  • 김선국;나광수;김태희;유정호;이현수;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80-87
    • /
    • 2003
  • 최근 건설업은 복합화$\cdot$고도화에 따라 효율적 인 관리가 요망되고 있다. 그 중 출역인원관리는 다양한 공정의 변화와 단위작업의 증가로 인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IT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공사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인터넷을 기반으로 웹(Web)을 통한 현장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시스템은 작업 일보정보를 입력하는 협력사 중심이 아닌 시공사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협력사에서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작업일보 정보가 보관 및 관리 될 때까지 몇 단계를 거 치 면서 정보의 손실 및 누락이 발생되어 작업 일보 정보의 신뢰성을 떨어트리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작업 일보 정보를 수집, 보관, 관리할 수 있고 협력사 중심으로 효율적인 택트공정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선형 공정계획 모델의 액티비티 관계의 경계조건 분석 (Analysis of Boundary Conditions for Activities' Relationships in Linear Scheduling Model)

  • 류한국;김태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2011
  • 국내 일부 건설사는 초고층 건축공사와 같이 반복 공종이 많은 건축물에 일종의 선형 공정계획인 택트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고 있다. 선형 공정계획 모델(Linear Scheduling Model: LSM)은 작업 공간과 시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적 도구로써 연구가 되어왔다. CPM 네트워크 공정표의 구속조건(종료 후 종료, 시작 후 종료, 종료 후 시작, 시작 후 시작)과 마찬가지로 선형계획모델 또한 작업간의 관계간의 구속조건이 발생한다. 특히, 네트워크 공정표를 호환하기 위하여 작업간의 중요 속성간의 관계성의 경계 조건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형 공정계획을 수립 시 발생하는 액티비티간의 공간상의 경계조건을 분석한다. 또한 선형 공정계획의 액티비티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현재 일부 건설회사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는 택트 공정계획에 제안한 경계조건을 반영하여 택트 공정계획 수립과 관리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주요 사항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벽식(壁式) 아파트의 택트공정(工程)계획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Using the TACT Technique in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 김준호;김광희;조형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06
  • Recently, the construction companies show lots of interest in reduc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apartment housing project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using the TACT technique in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for manag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effectively. For appling the tact scheduling technique to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the success facto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zoning the horizontal and vortical work area properly, (2) preparing the flow chart of finishing works, (3) minimizing the undefined activity like chipping off the concrete wall, (4) reorde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for keeping up the continuity of works in winter season, (5) dividing the amount of work for minimizing the delay time of any activity, etc.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기존 Tact와 복합병행 Tact 비교분석 - 공동주택 미장공사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ntional Tact and Compositive Tact in Apartment House Finishing Construction)

  • 황수현;심재형;함남혁;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7-56
    • /
    • 2022
  • 건설 프로젝트에서 공정계획은 사업 성패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 중 공동주택 마감공사는 기초공사나 골조공사에 비해 작업 간의 간섭이 많다. 이로 인해 마감공사 시 공정관리 효율성 증대를 위한 Tact 공정관리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Tact 공정관리는 작업 흐름이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마감 단위층을 통일시켜 작업속도를 균등화시킨다. 그러나 세부공종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작업이 균일하게 동기화되어 공사비가 증가하고 비효율적인 공정관리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세부공종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기존 Tact 공정관리방식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세부공종을 고려한 복합병행 Tact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Tact기법과 복합병행 Tact기법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복합병행 Tact기법의 타당성 및 실효성을 검증했다.

업무정보 분석을 통한 TACT공정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Reengineering of TACT Process Management Analyzed on Task Information)

  • 김옥규;박준모;김법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13-124
    • /
    • 2012
  • TACT공정관리는 국내의 아파트 마감공사 및 초고층공사에 사용하고 있으나 관련정보가 체계화되지 못해 공사수행에 따른 실적자료의 DB화 및 타 현장에서의 활용이 어렵고, 관련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TACT공정관리에 필요한 공사정보의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이해가 요구되며, 실무자가 업무흐름에 따른 요구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ACT공정관리 프로세스를 일반적인 공정관리를 기반으로 재설계 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무자의 업무이해도를 증진 시키고 담당자 소속 변경 시 처리절차를 빠른 시간에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부서와의 협조 조정과 사업수행에 따른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CT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ACT Management System)

  • 서상욱;김재호;김선국;김창덕;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45-154
    • /
    • 2003
  •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설사업 효율성 향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시스템의 필수요건이 되는 성과측정 도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공정관리의 경우, 공사수행 결과로 나타나는 시간, 비용, 진도 율 등의 실적위주로 관리되고 있으며, 진행단계에서의 전체 작업간의 연속적 흐름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진행단계, 최종 평가에 이르는 프로세스의 시스템화를 시도하였고, 특히 택트 공정관리의 시스템화를 통하여 공사수행 과정 중의 마감공사 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ACT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ACT Management System)

  • 김재호;서상욱;김선국;김창덕;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26-134
    • /
    • 2003
  •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설사업 효율성 향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시스템의 필수요건이 되는 성과측정 도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공정관리의 경우, 공사수행 결과로 나타나는 시간, 비용, 진도율 등의 실적위주로 관리되고 있으며, 진행단계에서의 전체 작업간의 연속적 흐름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진행단계, 최종 평가에 이르는 프로세스의 시스템화를 시도하였고, 특히 택트 공정관리의 시스템화를 통하여 공사수행 과정 중의 마감공사 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