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탐방객관리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7초

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 분석 연구 - 무등산국립공원 - (Analysis of S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ts Impact on National Park - Mudeungsan National Park -)

  • 유지수;류훈재;문성준;장서일;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0-35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서 자연의 소리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탐방객들이 공원을 체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국립공원 내 소음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자연의 음환경(Soundscape)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노력은 국립공원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국립공원에서는 소음 관리 및 음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은 호남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계절별 동물이 우는 소리, 물소리, 바람 소리 등 탐방객들에게 자연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지만 대도시에 인접해 있고 공원 내부로 도로 및 대규모 시설지가 인접해있는 등 소음이 발생하여 공원 내 음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주요 지점의 음환경 녹음 데이터, 소리자원 분포도 등의 분석을 통해 무등산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광범위한 소음의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음환경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인력과 장비의 한계로 인하여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소리자원 분포도의 속성 데이터 수집 기간이 상이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탐방 만족도 및 자연의 음환경 보존 등을 목표로 향후 지속적인 음환경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숲길 이용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 영향 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 이혜린;김재준;조은경;강민지;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숲길 이용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숲길 조성 및 관리방안 수립의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645명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리산숲길 탐방 만족 요인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숲길경관체험', '숲길숙박체험', '숲길관련정보', '숲길편의시설' 등 모두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숲길경관체험(자연경관, 숲길 개발정도, 숲길 관리상태, 문화 관광자원, 주민 친절)이 전반적인 만족도 및 행동의도(재방문의도, 추천의도, 탐방지속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변수별 분석 결과, 전반적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연경관'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안내표지판', '주민 친절', '안내센터 숲길 정보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월악산국립공원 이용자 만족요인 및 만족예측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user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 김동필;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9-143
    • /
    • 2005
  •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들의 탐방만족도를 통하여 만족요인과 예측모형 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만족도에서는 이용료부담감, 시설청결 및 부족, 바가지요금, 쓰레기 문제에 다소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요인으로는 '일반관리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측모형에 있어서도 휴양활동의 안전, 주차문제, 쓰레기 문제 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습원 무제치늪의 탐방객 특성 (Visitor Characteristics of the Mujechi Bog)

  • 김영민;김지윤;오기철;주기재;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2-266
    • /
    • 2016
  • 본 연구는 산지 습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관리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정족산 무제치늪의 방문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습지를 방문하는 방문객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7년, 2011년, 2015년의 방문일지 기록 중 방문 일자, 나이, 주소(시 단위), 방문목적, 방문시간, 방문 수단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방문객 연령 분포에서는 장년층인 50대 36.8%(491명/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와 40대(30.4%)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는 울산이 880명(67%/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6.6%)과 양산(10.8%)에 거주하는 방문객이 많았다. 반면, 경상권 이외 지역의 방문객은 낮은 비율(1.8%)로 나타났다. 방문객들은 등산(39.0% ~ 64.4%)과 습지 탐방(18.7% ~ 51.8%)등 여가활동 목적으로 대부분 무제치늪을 방문하였고 그에 따라 방문시기는 주중에 비해 주말에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6.19, p<0.002). 뿐만 아니라 월별, 계절별 방문객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무제치늪의 경우에는 5월의 방문객 비율이 $15.6{\pm}2.8%$($mean{\pm}S.D.$)으로 다른 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의 방문객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5.55, p<0.001). 이는 정족산 일대 넓게 분포하는 진달래와 철쭉 류의 개화시기에 맞춰 방문객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제치늪과 같은 산지 습원의 경우에는 등산객과 방문객들로 인해 야기되는 토사 유입과 답압 등으로 습지생태계의 평형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습지 주변 통행로에 대하여 휴식년제 혹은 계절적 출입제한을 통해 습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교란을 줄이고 습지 탐방을 목적으로 한 방문의 경우 감시원의 지도하에 제한적으로 출입을 허용하는 등의 관리 방향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 방안 연구 - 광릉지역을 사례로 - (Calculating the Carrying Capacity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34
    • /
    • 2005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정책적 수요 분석을 기초로 문화$\cdot$생태자원 및 환경을 보존하고 유지하면서 관광여 가공간으로서의 합리적인 이용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북동부 주요 교통로에 입지한 광릉지역은 환경과 자원에 대한 보존가치는 물론 친문화환경적 관광여가공간으로서의 활용잠재력이 높은 문화재산림지역이다. 연구지역에 대한 사회심리적 수용력은 시간대별로 오전보다 오후로 갈수록, 이용공간별로는 주차장, 매점, 탐방로 등의 수용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용공간에 대한 물리적 수용력은 관광객 600여명, 차량 130여대로 분석되었다. 한편 관광객의 정책적 수요 분석 결과 광릉지역의 합리적인 이용, 관리 방안으로는 문화 생태자원의 연계탐방로 개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원해설가 육성 등을 비롯하여 광릉관광권내에서의 차량통제 및 셔틀버스 운행, 관리사무소 및 주차장의 이전, 재실의 생태학교 및 전시실 활용, 편의시설과 휴식공간 확충, 관광행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요구되고 있다.

국립공원(國立公園) 입장료(入場料) 폐지(廢止)에 따른 국립공원(國立公園) 관리정책(管理政策) 수립(樹立) 방안(方案) (Establishment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with Elimination of Entrance Fee)

  • 이주희;배민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96-1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장료 폐지가 국립공원의 탐방만족도 및 휴양자원, 공원시설, 교통, 탐방서비스, 탐방정보, 탐방분위기라는 국립공원의 관리부문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국립공원 관리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6년 가을 가야산 국립공원 탐방객 3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기술적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72.6%가 찬성하였다. 2) 입장료가 폐지되면 자연훼손과 쓰레기 투기 등 탐방분위기가 가장 많이 나빠질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상업 숙박시설, 특산품 판매, 축제, 탐방정보 제공은 입장료 폐지 후 개선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응답자들은 입장료가 폐지됨에 따라 탐방만족도가 상당히 저하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탐방만족도 저하에 가장 기여도가 큰 변수는 탐방분위기 변화수준이며, 가장 영향력이 작은 변수는 휴양자원 변화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입장료 폐지 후 국립공원 관리정책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치악산 국립공원 이용행태 및 경관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itors Activities and Cognition of Scen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이명우;김용식;이규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6-85
    • /
    • 1988
  • 치악산 국립공원의 이용자특성은 남자가 64.7%, 20대 (20~29세) 72.5%. 고졸이상의 학력소지자가 95%이었다. 탐방의 특성을 보면 치악산이 갖고 있는 좋은점을 계곡의 물, 자연경관, 나무 및 숲 등으로 나타내고 있는 자연공원적인 성격과 체류기간에 있이 일일 방문객이 75.5%로 근린공원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또한 탐방목적에 있어서는 피크닉행태와 유원지적 위락행태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활동장소의 특성은 계곡의 물가를 찾거나 등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구룡사 계곡의 경우 오전 10시에 입장객이, 오후 5시에 하산객이 최고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악산 국립공원은 자연공원적 성격의 등산행태와 근린공원성격의 행락행태, 도시근교의 유원지적 행태를 고려하여, 주변 자연경관과의 기능적인 상충성을 충분히 고려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블로그 데이터 감성분석을 통한 북한산둘레길 구간별 선호도 평가 (Evaluation of Preference by Bukhansan Dulegil Course Using Sentiment Analysis of Blog Data)

  • 이성희;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는 탐방객이 자유롭게 서술한 블로그 텍스트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 기술 중 하나인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북한산둘레길의 선호도를 평가하고, 선호 요인과 비선호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19년 1년 동안 작성된 블로그를 수집하고 21개 둘레길 구간별 텍스트에 나타난 긍정 및 부정 감성 단어 도출을 통해 감성점수를 산출하였다. 이후 내용분석을 통해 탐방객이 어떤 요소로 인해 구간을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는지 파악하였다. 북한산둘레길에 대해 작성된 블로그에서는 긍정적인 단어가 평균적으로 약 73% 출현하고 있었고, 각 구간별 게시물의 감성 극성 비율에서도 긍정적인 문서의 비율이 부정적인 문서의 비율보다 높았다. 이를 통해 탐방객은 북한산둘레길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감성점수를 도출한 결과, 21개 둘레길 구간에서는 선호하는 구간과 선호하지 않는 구간이 존재하고 있었다. 선호 구간과 비선호 구간에 대해 탐방객은 난이도가 낮고 부담 없이 걸을 수 있는 구간을 선호하고 있었고, 경관에 대한 여러 요소(시각, 청각, 후각 등)가 조화롭고 계절감이 뚜렷해 다양한 경관이 연출되는 곳, 경관 시퀀스의 변화가 존재하는 구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방객은 전망대, 조망점 등의 뷰포인트 유무를 둘레길에서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고, 접근성이 우수하고 안내판 등 정보 제공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구간에 대해 선호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로와 인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주변 소음과 과도한 시가지 비율, 구간별 난이도 불균형 등으로 인한 둘레길 동선 불만족이 비선호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경관 단절 및 구간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이 선호도를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립공원뿐만 아니라 근교 산림 녹지 관리에 있어서 둘레길 정비 및 개선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에 활용된 감성분석은 자연지역에 대한 실제 이용자들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사전에 정의된 감성사전을 기반으로 평가하였기에 지속적인 사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소셜미디어 특성상 부정적인 견해보다는 긍정적인 내용을 공유하는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장 설문조사 등의 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내장산 집단민원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41호
    • /
    • pp.23-27
    • /
    • 1988
  • 1967년 우리나라에 국립공원제도가 도입실시된 이래 20년동안 전국의 국립공원은 주무부처인 건설장관으로부터 각시.도지사가 관리권을 위임받아 해당 시장.군수에 의해 실질적으로 관리돼 왔었다. 1970.9.9 설악산, 1980.8.8. 내장산 그밖의 자연공원에 케이블카가 시설된것도 잘아는 일, 또한 탐방객이 많은 공원일수록, 심지어 대가람의 코밑에까지 집단시설등 용도지구가 설계되고 용돼 왔다. 내장산의 내장사 지구의 경우는 12년전 관리소에서 2.7km 떨어진 아래로 집단시설지역을 변경, 강제이주시킨후 그자리에 "케블카" 를 시설했고, 철거된 잔디녹지가 음성적인 상가로 둔갑되어가도 관리소로선 잡상근절책을 세우지 못한채 작년 8월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인도됐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공단관리소들은 지자단분가 물려준 어려운 숙제를 넘겨받아 큰시련을 겪고 있다. 그당시는 심묵또는 양해가 됐던 똑 같은 문제도 공단이 관리를 맡은이후 부터는 몹시 따갑게 비판해 오고 있다. 사사건건제동을 걸고 있는듯 하기고 하고 어차피 해결해야할 문제들도 많아 노출된 것부터 하나하나 단편적일지라도 파고들어 소리의 진의를 듣고 냉정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본다.

  • PDF

경주국립공원 지구특성에 따른 이용자 관리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Analysis of User Perception Gap regarding User Management by the Characteristic of Districts in Gyeongju National Park)

  • 이슬비;손수항;강은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5-86
    • /
    • 2015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의 지구유형별 특성에 따른 관리정책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에서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 공원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의 주요자원과 탐방객의 이용특성을 기준으로 지구유형을 분류하였다. 불국사와 석굴암을 주요 자원으로 주로 경관감상 및 휴양을 위한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이용객들이 많이 찾는 토함산 지구는 관광형, 역사문화 학습과 환경 교육을 위한 탐방객들이 많이 찾는 남산과 대본지구는 역사문화교육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남은 화랑, 서악, 소금강, 구미산 지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체력 단련, 등산, 산책이 주목적으로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근린공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광형의 경우, 문화유적탐방을 위한 이용자가 집중되는 곳으로 이용자제한 정책을 통해 탐방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역사문화교육형은 이용행위규제 방법에서 관리자 단속권한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근린공원형 지구의 이용자들은 대부분의 정책에 대해 가장 낮은 필요도를 느끼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경주국립공원은 각 지구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정책의 필요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경주국립공원의 지구별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반영한 정책 도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