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락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노동패널 탈락 분석 (Panel attrition factors in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이상협;박찬용;정성석;최혜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1
  • 동일한 표본에 대하여 여러 시점에 걸쳐 반복적으로 조사되는 패널자료의 경우 표본의 탈락은 조사 결과의 신뢰성과 표본의 대표성 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표본 탈락의 경향이나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표본의 탈락률을 낮추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1년간(1998~2008)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표본 탈락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생명표방법과 Cox 비례위험모형으로 표본 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A substanti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variables and dropout in Cyber University)

  • 임연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05-218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A사이버 대학에서 2002년 1학기부터 2005년 1학기까지의 누적입학생 가운데 제적, 자퇴한 중도탈락생의 배경변인을 조사하고 설문을 통해 사이버대학에서의 중도탈락의 원인을 알아보았다. 학습시간의 부족과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었으나, 온라인교육에의 부적응과 사이버대학의 인지도에 대한 불안감도 적지 않은 학생들에게 중도탈락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온라인교육에의 부적응이나 사이버대학의 인지도에 대한 불안감이 중도탈락의 원인으로 되었던 학생들은 다른 학생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 부족을 온라인 학습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따라서 사이버대학의 중도탈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학습전략의 개발이나 등록금 지원 외에도 학생 상호간, 학생-교수 간의 상호작용 증대를 통하여 소속감을 고취하고 온라인 학습의 어려움을 나누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지연행동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Dropout Intention :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 김수현;박정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8-145
    • /
    • 2021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지연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218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의 절차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1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학업지연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5%의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발전기 탈락 시 Wavelet Transform과 Singular Value Decomposition을 이용한 특성 분석 (Effect Analysis of Generator Dropping Using Wavelet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 노철호;김원기;한준;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49-5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WT(Wavelet Transform)와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함께 사용한 WSVD(Wavelet 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발전기 탈락 시의 전압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WSVD 특성 분석을 위해 부산 지역의 345kV급 송전계통을 EMTP-RV로 모델링하였으며, 이 계통모델에서 발전기 탈락을 모의하였다. MATLAB을 통해 이 때 측정된 전압의 WSVD를 계산하여 발전기 탈락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요인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 임준묵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5-115
    • /
    • 2020
  •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입학생 모집에 큰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전국 4년제 대학의 최근 3년간(2016-2018)의 중도 탈락률은 4.1%(217개 대학 기준), 4.3%(214개 대학 기준), 4.6%(212개 대학 기준)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학의 당면한 가장 큰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대학에서의 대규모 실증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대한 분석과 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요인을 도출하였다. 먼저 중도탈락의도에 대한 분석결과, 공과계열 학생의 중도탈락의도가 인문계열에 비해서 높고,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특성화고 출신이 일반고에 비해서 높았으며, 본인이 등록금을 마련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중도탈락 의도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수업곤란도, 전공 만족, 학부모 만족, 국제화 만족, 대학교육성과 만족 순으로 중도탈락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ACTS를 이용한 유효송전용량 증가를 통한 과도안정도 분석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on Increasing Available Transfer Capacity Using FACTS Device)

  • 최동희;정광우;박정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1-202
    • /
    • 2015
  • 전력계통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현재의 전력전송은 한계 전송량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다. 또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수용성 등의 이유로 전력을 융통하기 위한 신규 초고압 송전선로의 건설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 루트 송전선로의 탈락은 계통의 과도안정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발전기 탈락을 통하여 계통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발전기 탈락은 계통의 신뢰성 있는 운영에 방해물이 될 수 있다. 유연송전기기(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는 이러한 루트 선로 탈락에 따른 발전기 탈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ACTS의 한 종류인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을 이용하여 사고 시, FACTS 기기 설치 유무에 따른 과도안정도 분석을 진행한다.

  • PDF

흰쥐 태반형성시의 Heat Shock Protein 27 분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the Heat Shock Protein 27 during Placenta Formation in the Rat)

  • 최병태;강호성김한도조운복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3-159
    • /
    • 1995
  • 임신 10일부터 20일까지 흰쥐 태반형성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 27(HSP27)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신 10일 태반에 자궁간막 탈락막세포. 영양막세포 및 거대영양막세포가 찰찰되었다. 이후 탈락막세포수는 감소하고 영양막세포는 증가하는데 특히 임신 14일에 현저하며 영양막은 해면영양막과 미로영양막으로 구분되었다 거대영양 막세포수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다. 자궁간막 탈락막에서 HSP27은 임신 10일 및 12일에 탈락막세포의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나타나고 특히 핵에 반응하는 세포수가 많았으며 임신 14일 이후 탈락막 세포수 감소와 함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대영양막세포는 임신 10일부터 일부 세포의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관찰되나 임신 18일부터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막의 HSP27은 임신 10 및 12일에 일부 세포에서만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관찰되나, 임신 14일부터 반응세포수 증가와 함께 대부분 핵에 반응을 나타내고 반응정도는 임신 16일 및 18일에 가장 현저하였으며, 미로영양막에서 반응세포수가 더 많았다.

  • PDF

압전센서 기반 CFRP 부착면 탈락 손상영역 탐색성능 향상 (Improvement of Damage Localization Performance for CFRP-debonding defects using Piezo-electric Sensors)

  • 김주원;이창길;이동환;장하주;박승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11-314
    • /
    • 2011
  •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강화를 위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보강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CFRP 보강재와 콘크리트 표면사이의 부착면 탈락은 보강재 자체의 손상보다 발생할 확률이 높고 이러한 부착면 탈락은 보강의 효과를 무의미하게 만들기 때문에 구조물 전체의 파괴로 직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FRP 부착면 탈락손상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기 위해 압전센서를 사용하는 구조물 건전성 평가 기술을 적용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해 CFRP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였고 3단계로 증가하는 부착면 탈락 손상을 발생시켰다. 손상 증가 단계마다 CFRP 표면에 배열된 압전센서로부터 임피던스와 유도초음파 신호를 계측하였고 손상에 따른 신호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 손상지수인 RMSD를 계산하였다. 더 구체적인 부착면 탈락 손상위치 탐색을 위해서 두 가지 계측 기법으로부터 구해진 RMSD 값를 중첩시키는 Superposed RMSD 가 제안되었다. 구해진 Superposed RMSD 값을 사용하여 커브 피팅이 수행되었고 도출된 커브의 최고값에 해당하는 위치값을 찾아 실제 손상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기법의 가능성을 검증해 보았다.

  • PDF

석회.붕사의 시용이 담배의 엽탈락과 수량,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me and Borax on the Abscission of Tobacco Green Leaves, Yields and Quality)

  • 민영근;반유선;이정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09
    • /
    • 1981
  • 담배의 엽탈락,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석회와 붕사의 영향을 알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탈락 이식후 40~80일에 많이 발생되며 불위엽에서 상위엽으로 진행된다. 2. 석회의 시용은 엽탈락을 조장하나 붕사는 엽탈락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3. 석회의 시용은 전당, Lignin, 붕소함량을 감소시키며 붕사시용은 붕소와 Lignin 함량을 증가시킨다. 4. 붕사의 1년시용으로 엽탈락의 완전방지는 어려웠다. 5. 석회와 붕사의 시용량은 각각 120kg/10a,1.2kg/10a가 엽탈락방지와 품질, 수량성으로 보아 적정시용량으로 인정되었다.

  • PDF

Progesterone과 TGF-${\beta}1$에 의해 탈락막화가 유도된 인간 자궁내막세포의 삼차원 공배양이 2-세포기 생쥐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Mouse 2-cell Embryos In Vitro)

  • 권욱현;김휘곤;이동형;고경래;이규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1호
    • /
    • pp.49-60
    • /
    • 2008
  • 목 적: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삼차원 공배양을 통한 탈락막화 유도에서 성호르몬과 TGF-${\beta}1$의 역할을 알아보고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가 유도된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와 영양막세포수 및 부착율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인간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된 기질세포와 상피세포의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분리를 확인하였으며, 성호르몬 우세환경 (progesterone, estrogen)에서 분리된 세포를 단일배양 혹은 3차원 공배양을 통하여 RT-PCR법으로 TGF-${\beta}1$, 수용체-1, -2, integrin-${\beta}3$, prolactin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배양액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 유도와 유도하지 않은 인간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부착율과 부화된 포배의 영양막세포와 내세포괴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상피세포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기질세포 표지인자인 vimentin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한 결과 각각 95% 이상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자궁내막조직으로부터 상피세포와 기질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단일배양에서는 성호르몬의 조건에 관계없이 TGF-${\beta}1$과 수용체 type-1, type-2, integrin-${\beta}3$, prolactin mRNA가 발현되지 않았다. 공배양에서는 progesterone 우세환경일 경우 TGF-${\beta}1$ 수용체 type-2를 제외한 모든 mRNA가 발현하였으나 estrogen 우세환경에서는 TGF-${\beta}1$ 수용체 type-2와 prolactin이 발현되지 않았다. 2-세포기 생쥐배아를 배양액군, 비탈락막군 및 탈락막군으로 나누어 공배양하였을 때 포배기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율 (92%)과 부착율 (82%)은 탈락막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비탈락막군의 공배양에서 다수의 영양막세포가 투명대를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은 상태로 부착한 비정상형태를 보였다. 부화된 생쥐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수는 탈락막화에 관계없이 공배양한 포배의 내세포괴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5), 영양막세포수는 탈락막군에서 배양액군과 비탈락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분리하여 다시 삼차원적 공배양을 통하여 progesterone (100 nM), estrogen (1 nM)과 TGF-${\beta}1$ (10 ng/ml)을 첨가하면 체외에서 탈락막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탈락막화를 유도한 자궁내막 세포와 2-세포기 생쥐배아를 공배양하였을 때 탈락막화가 부화율, 부착율 및 영양막세포수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