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커뮤니티공간의 특성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 공동생활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llectivehouse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 Focused on Common Space -)

  • 이하연;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12
    • /
    • 2016
  •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acilitate community centering on cases of collective houses in Japan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data to activate collective houses as an alternative form of housing in our count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active communities with collective living spac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collective houses and housing, derived territoriality, accessibility, comfort and safety as factors of community activation and analysed various cas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erritoriali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formation of community, and a confined and physical space. It indicates the proper size of a space and diverse spacial areas which meet the needs of residents with the proper size and amount of spac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diverse generations including women, the aged and the young, flexible spac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urposes and program, space which supports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and space which can accommodate outsiders). Second, accessibility indicates an environment which supports residents' easy use of space. As the more accessible it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its use, spatial factors (piloti, backyards, benches and tables) should be provided, community space should be arranged in a central or decentralized way and community living space should be made for each floor. As for exits,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way; entrances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s, open entrances and entrances accessible from outside or individual living spaces. Third, comfort satisfies the physical and mental needs of residents through separation of floors and flows betwee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spaces for privacy and formation of eco-friendly spaces including vegetable gardens, gardens and plant arrangements. Fourth, safety should be considered for a higher quality environment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installation of hand-rails, removal of thresholds, spacial design for the socially weak, duplex and open type structures for community space, open stages and halls, as well as indoor and outdoor openness through the use of windows.

1인 청년 가구를 위한 셰어하우스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hare House for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 조에스더;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5-266
    • /
    • 2018
  • 현대 사회는 1인가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1인 가구의 대부분은 20-30대 청년들의 비중이 높다. 그에 비해 청년주거의 주거 빈곤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합리적인 공급가격으로 셰어하우스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인 청년 가구 중 셰어하우스 사례를 대상으로 하며, 청년들의 셰어하우스 생활에 적합한 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와 정보 수집을 통해 셰어하우스의 개념과 특성 등을 이론 고찰하였다. 둘째, 국내의 청년 대상으로 셰어하우스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셋째, 셰어하우스 사례들을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셰어하우스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개인 주거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이 결합된 셰어하우스의 형태를 볼 수 있었다.

  • PDF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ining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ir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 김윤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7-120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및 유기체성이라는 소통적 특성을 발굴하고, 이들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타당한지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소통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도서관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유기체성'의 4개의 소통적 특성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소통적 특성은 16개 구성요소, 이에 따른 63개의 세부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소통적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첫째, 도서관이 건강한 지역사회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고, 커뮤니티의 생성과 강화에 기여하며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도서관은 공동체성 강화를 위해 지역의 문화공동체 형성과 대인관계 향상, 사회적응력 향상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의 소속감 형성에 기여하며, 지역주민 간의 활발한 지역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은 다양한 세대들이 의견을 공유하고,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 지역공동체의 문화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넷째, 소통적 특성으로서 도서관 유기체성은 내·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전통적인 역할과 기능인 정보전달, 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 확장된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문제점와 공개 API 를 통한 해결 방안 연구 (Open API as a solution for the unification and fragmentation in online social network)

  • 김용근;변재범;윤준성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56-661
    • /
    • 2008
  • 사이버 커뮤니티(cyber community)는 다양한 사회학적 방법론을 통해 연구될 수 있다, 특히, 사회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에 기반하여 구성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online social network)는 사회망분석방법을 통해 제반 현상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마누엘 카스텔(Manuel Castells)이 지적한 사회망의 문제점, 즉 참여(participation)와 개방(openness)에 따른 단일화(unification)와 단편화(fragmentation)의 문제는 사이버 커뮤니티의 특성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러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사이버 커뮤니티의 전자적 특성은 단일화, 단편화에 대한 또 다른 대안을 제시한다. 최근 들어 더욱 다양해진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공개 API(Open API)는 그러한 대안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망 분석법을 통해 드러나는 사이버 커뮤니티, 특히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개 API 를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조직체계와 역할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ole of Smart City Governance)

  • 남광우;박정우;박준호;지상태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69-85
    • /
    • 2017
  • 스마트시티가 제공하는 도시서비스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공간과 도시활동의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정보통신기술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조성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과 민간영역의 협력과 참여체계가 핵심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의 수평적 협력체계인 스마트 거버넌스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사례분석 및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시티가 지향하는 '보다 스마트한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역할에 대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11개 분야 228개 스마트서비스를 대상으로 공간위계별 스마트서비스의 공간적 서비스분포와 서비스의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미국 미네소타주 두 도시인 Minneapolis-St. Paul권의 광역권에 형성된 공간정보협력체 형식의 거버넌스인 MetroGIS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거버넌스의 생성과정과 조직구조, 하위 조직의 역할과 상호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스마트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공분야의 지원 체계 구축이 요구되며 커뮤니티 내부 및 외부와의 소통체계나 협력체계의 고도화, 그리고 커뮤니티가 거버넌스 형태로 진화하기 위한 재정적 안정성 확보를 통해 지속가능한 모델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복합커뮤니티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exation Type Korea.Japan Complex Community Facility and Space Characteristics)

  • 서수미;김영희;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4-279
    • /
    • 2008
  • The significance of complexation facilities in Japan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social/economic changes such as rapid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low rates of birth, and aging population, an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urban advantages. Likewise, there have been increasing demands for community facilities that can meet the new requirements in terms of efficient administration and resident-centered administrative service system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ociety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Thus, analyzed are cases concerning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in Japan that have coped with changes in consciousness in the community earlier than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cept of modernday complex community facility is investigated, and the complexation of Korea Japan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is divided to physical complexation and functional complexation to grasp the types. The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are com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re also examined. The result of analyzing complex community facility cases is comprehensively analyzed to find out new possibilities in this regard.

  • PDF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 도시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haracter for Community Vitality in Urban Public Space - Focus on the Urban Squares -)

  • 김미영;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91-299
    • /
    • 2011
  • As our lifestyles have chang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new social and communication problems have been caused and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 on regional communication. For communities to become alternatives with realistic meanings in this changed society, considerations on social and spatial conditions are needed. Therefore, public space which works as a devi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activation of communities needs more active changes which encourages social communication. In respect to the activation of commun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physical devices of a urban plaza should be arranged to support various programs presented along with consideration of human behaviors as users. Second, fundamental facilities of the plaza should accommodate various activities through connections with programs and commercial space. Third, when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re understood, the plaza can form regionality and symbolism through artistic representation. And users can form the identity of community. Fourth, transportation facilities should be separated from or coexist with areas of passengers and the plaza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through symbolic sculptures.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in Apartment Housing)

  • 이송현;황연숙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79-8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lanning features of apartments that are people-friendly, nature-friendly and one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the apartments through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partment community space. This study found the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 of 8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in the Seoul-Gyeunggi area. Sustainable design was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 social sustainability b) economic sustainability c)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ly sustainable design which included plans for various types of squares, spaces for pedestrians showed high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lans. While, plans to maximize open spaces that facilitate the social exchanges among residents showed low application. Second, economically sustainable design showed high application in term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bicycle storage facilities. However, planning factors such as alternative energy facilities, recyclable materials, reuse of rainwaterand heavy water showed low application. Thir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sign included high application of promenades, artificially created green space and various types of water space. On the other hand, nature study centers, biotope and environment friendly parking space showed low application.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community space of apartment house)

  • 김성연;황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7-402
    • /
    • 2008
  • For the past years, Korean Housing policy have been focused on quantity rather then quality, when they provide housing. Focusing great quantity on housing led monolithic and standardized house forms in limited area. Most of our traditional residental environment, which made Koreans to communicate with neighbors, disappeared from the result of providing great quantity on housing. However, the increase of the income and standard of living, changed people's view. People start to demand for the place which is commodious and comfortable to live. Moreover, more leisure time caused people to communicate with their neighbors. To meet the demands of new forms of housing, they started to provide a community space to increase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ty spirit for the residents in apartment house. The forms of past house which is defined by uniformity is delivered from rational thoughts. People can get emotional satisfaction from Community space because it provides opportunity of communicating and increase community spirit.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emotional expression in Community space and analyze the elements that is expressed in community space of apartment ho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