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전단탄성계수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사질토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 산정을 위한 경험식 제안 (A Suggestion of an Empirical Equation for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 Estimation of Sandy Soils)

  • Park, Dug-Keu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26-126
    • /
    • 2002
  • 지진에 의한 지반거동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등 지반동역학적 문제분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동적 토질전단탄성계수의 획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어떤 변형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사질토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을 위한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비소성 토질의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의 위치와 모양은 평균유효구속압에 주로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영향요소 및 최대전단탄성계수를 이용하여 변형을 증가에 의한 전단탄성계수 감소를 산정할 수 있는 방정식을 형성하였다. 최대전단탄성계수가 측정되면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특정 변형을 및 구속압에서 감소된 전단탄성계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질토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 산정을 위한 경험식 제안 (A Suggestion of an Empirical Equation for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 Estimation of Sandy Soils)

  • Park, Dug-Keu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27-138
    • /
    • 2002
  • 지진에 의한 지반거동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등 지반동역학적 문제분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동적 토질전단탄성계수의 획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어떤 변형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사질토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을 위한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비소성 토질의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의 위치와 모양은 평균유효구속압에 주로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영향요소 및 최대전단탄성계수를 이용하여 변형을 증가에 의한 전단탄성계수 감소를 산정할 수 있는 방정식을 형성하였다. 최대전단탄성계수가 측정되면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특정 변형을 및 구속압에서 감소된 전단탄성계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시험 방법을 이용한 서해안 송도 지역에 분포하는 실트질 모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 평가 (Evaluation of Maximum Shear Modulus of Silty Sand in Songdo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Various Testing Methods)

  • 정명훈;이강원;김명모;권형민;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65-75
    • /
    • 2005
  • 흙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는 동적/정적 지반구조물 설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기본 토질상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송도 지역의 실트질 모래에 대해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자가굴착식 공내재하시험, 다운홀 시험, 탄성파 탐사 콘관입시험, 공진주 시험 등을 수행하여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운홀 시험을 기준으로 표준관입시험 및 콘관입시험에 대한 경험식으로 구한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비교하고 새로운 경험식물 제안하였다. 제안식으로 구한 전단탄성계수는 다운홀 시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제안식을 이용하여 적절히 지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잘 부서지는 모래의 동적전단탄성계수 (Dynamic Shear Modulus of Crushable Sand)

  • 윤여원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4호
    • /
    • pp.67-80
    • /
    • 1992
  • 동적인 문제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최대전단탄성계수의 결정은 어떤 변형률에서의 전단응력을 추정하는데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실리카질 모래에 관한 모델이 준시되어 왔지만 그러한 모델을 부서지는 모래에 직점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모래의 부서짐(crushability)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서지는 모래의 미소변형률에서의 동적인 거동이 평가되었으며 실험한 모래의 최대 전단탄성 계수에 관한 모델이 제시되었다. 부서지는 모래의 전단탄성 계수는 느슨한 모래의 경우는 실리카질 모래와 유사한 값을 보이나 밀도가 증가하면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비틀력 (torsional force)으로 인해 모래가 부서져 전단저항이 작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계수치 (modulus number) 가 Been과 Jefferies (1985)의 상태 정수 (state parameter)로 표현되었다.

  • PDF

토질 최대전단탄성계수($G_{max}$)에 미치는 시간지속효과 및 그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Effect of Duration of Confinement and Its Affecting Factors on the Low-Amplitude Shear Modulus ($G_{max}$) of Soils)

  • 박덕근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135-145
    • /
    • 1999
  • 동적 하중을 받는 지반반응 평가시 필요한 가장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가 지반의 전단탄성계수(G)이다. 지반의 동특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 점은 흔히 간과되어져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일정구속압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토질 최대전단탄성계수($G_{max}$) 및 그 영향요소에 관해 고찰해보고 몇몇 경험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험식 작성을 위해 고려된 요소는 선행응력과 선행변형율, 입자크기와 지속응력, 소성지수 등이고, 실제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평균입자직경과 소성지수를 이용한 두개의 경험식을 작성하였다. 끝으로 $G_{max}$의 일시적 변화와 그 원인, 그리고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G가 시사하는 점에 대해 서술한다

  • PDF

섬유혼합토의 비선형 동적물성치 (Nonlinear Dynamic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Soils)

  • 박철수;황선근;목영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89-197
    • /
    • 2003
  • 본 논문은 공진주시험과 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하여 소변형률(0.0001%~l%) 범위에서 섬유혼합토의 변형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최대전단탄성계수를 잣대로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단섬유의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형상비), 흙의 중량에 대한 섬유 중량의 섬유혼합비, 단섬유의 종류에 따른 보강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시료는 주문진 표준사에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단섬유를 무작위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섬유혼합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는 비혼합토에 비해 최대 30%까지 증가하였고, 비선형 영역에서의 전단탄성계수 감소량도 억제되었다. 형상비가 증가할수록 최대전단 탄성계수는 증가하고, 단사에 비해 망사의 보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혼합비는 0.3 % 부근에서 보강효과가 가장 커,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진주/비틂전단 시험 및 벤더엘리먼트 시험을 이용한 사질토 지반의 최대전단탄성계수 평가 (Measurement of $G_{max}$ of Sands Using Bender Element in Resonant Column and Torsional Shear Equipment)

  • 김동수;윤준웅;이세현;추연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17-25
    • /
    • 2005
  • 벤더엘리먼트 시험은 시험시편의 전단파속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최대전단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다양한 실내시험장비에 간단히 부착되어 다양한 시험조건에서 시편의 최대전단탄성계수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시험기법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포화가 가능하도록 개조된 Stokoe식 공진주/비틂전단 시험장비에 벤더엘리먼트 시험장비를 부착하여 동일한 시험시편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벤더엘리먼트 시험, 공진주 시험, 비틂전단 시험의 세 가지 시험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각 시험법에 의하여 평가되는 최대전단탄성계수를 비교하였으며, 벤더엘리먼트 시험기법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포화조건에서 Biot의 이론을 적용하여 각 시험기법의 하중주파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었다.

다짐된 궤도 흙노반 재료의 전단탄성계수(G)-전단변형률(γ)-포화도(S) 관계특성 분석 (Analysis of Shear Modulus(G)-Shear Strain(γ)-Degree of Saturation(S) Characteristics of Compacted Subgrade Soil used as Railway Trackbed)

  • 최찬용;이성혁;임유진;김대성;박재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27-1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 궤도하부 다져진 흙노반의 강성 평가를 위하여 Stokoe 방식의 고정단-자유단 중형 공진주 시험기(D=10cm, L=20cm)를 이용, 구속압 및 전단변형률 증가시 포화도(S)변화에 따른 전단탄성계수의 분포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최대전단탄성계수는 감소하고 정규화 전단탄성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포화도(S)~전단탄성계수(S)~전단변형률(${\gamma}$) 사이의 고유한 감소 관계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수립 가능성을 기반으로 향후 광범위한 추가시험을 통하여 예측모델을 수립하고 소정의 모델계수 값들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CPT와 DMT를 이용한 부산점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The Prediction Method of the Small Strain Shear Modulus for Busan Clay Using CPT and DMT)

  • 홍성진;윤형구;이종섭;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16
    • /
    • 2009
  • 본 연구는 콘 관입시험(CTP)과 딜라토미터시험(DMT)을 이용한 부산지역 점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 추정($G_{max}$)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신항 지역과 녹산지역에서 피에조콘 관입시험(CPT) 및 달라토미터시험(DMT)를 수행하였으며, 비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hybrid oedometer 시험을 실시하였다. Oedometer 내벽에 장착된 벤더엘리먼트로 전단파 속도를 측정하여 최대전단탄성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산점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와 구속응력, 간극비, 응력이력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분석한 결과, $q_t$$G_{max}$의 상관계수 ${\alpha}_G$는 소성지수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_D$$G_{max}$의 상관계수 $R_G$는 ($I/I_D$)$(p_a/{\sigma}'_v)^{0.5}$와 비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CPT와 DMT 시험으로부터 $G_{max}$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은 부산점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점탄성접착결합의 감쇠 및 전단분포 (Damping and Shear Distribution in Adhesive Bonded Lap Joint with Viscoelastic Adhesive)

  • ;홍창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05-112
    • /
    • 1980
  • 정현적 응력을 받고 있는 정탄성 결합부의 에너지 손실을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구하였다. 탄성접착결합부의 해를 구하고 탄성해의 전단계수를 복소전단계수로 대치하여 점탄성 접착결 합부의 전단변형분포를 구하였다. 주어진 접착제의 최대강쇠현상은 접착제의 강성과 피접착물의 비를 증가 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구조적 결합부에서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피접착부와의 강성비를 결정함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