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Shear Modulus of Crushable Sand

잘 부서지는 모래의 동적전단탄성계수

  • 윤여원 (정회원,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In the analysis of dynamic problem, determination of mazimun shear modulus is essential for the estimation of shear stress at any strain level. Although many models for silica sands were presented, the direct accomodation of those models to crushable sand would be difficult because of crushability during torsion. In this research dynamic behaviour of tested sand is presented. The shear modulus of loose crushable sand shows similar results to silica sand. However, as the density of crushable sand increases the shear modulus decreases because of crushability by increasing surface contact area. And modulus number is expressed in terms of state parameter by Been and Jefferies (1965).

동적인 문제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최대전단탄성계수의 결정은 어떤 변형률에서의 전단응력을 추정하는데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실리카질 모래에 관한 모델이 준시되어 왔지만 그러한 모델을 부서지는 모래에 직점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모래의 부서짐(crushability)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서지는 모래의 미소변형률에서의 동적인 거동이 평가되었으며 실험한 모래의 최대 전단탄성 계수에 관한 모델이 제시되었다. 부서지는 모래의 전단탄성 계수는 느슨한 모래의 경우는 실리카질 모래와 유사한 값을 보이나 밀도가 증가하면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비틀력 (torsional force)으로 인해 모래가 부서져 전단저항이 작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계수치 (modulus number) 가 Been과 Jefferies (1985)의 상태 정수 (state parameter)로 표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