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경자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7초

Thifluzamide 제제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 증진이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Enhancement of Foliar Uptake and Leaf Deposit of Thifluzamide Formulation and Fungicidal Activity Against Rice Sheath Blight)

  • 유주현;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1
  • 벼의 줄기에 주로 발생하는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thifluzamide의 방제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벼 경엽을 통한 thifluzamide의 침투성을 강화하거나 벼 부착량을 증진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선발하고 이를 함유하는 제제의 병 방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화제 현탁액에 dodecaethylene glycol monohexadecyl ether를 첨가함으로써 벼 잎에 대한 thifluzamide의 침투성을 증진할 수 있었으나 병 예방효과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수화제 현탁액에 첨가하였을 때 유효성분 부착량이 약 5배 증대되었으나 잎집무늬마름병 예방효과는 약간 증가하여 $EC_{50}$가 5.8 mg $L^{-1}$에서 각각 4.4 mg $L^{-1}$와 3.4 mg $L^{-1}$로 감소하였다.

한국 영.유아의 대소변 가리기 훈련습성에 관한 일 연구 (STATISTICAL STUDY ON HABITUAL METHODS Of TOILET TRAINING FOR INFANT AND TODDLER)

  • 최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9-132
    • /
    • 1973
  • This study observed on habitual methods of toilet training for infants and toddlers in Korea thru 300 mothers at four medical institutions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Ewha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Severanc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a design to analyze beginning time, duration of period, methods employed, motives, equipments used, special terminology used for the subject trai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lize the proper methods of toilet training, and also to contribute a better psychological education for the mother and chil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jority of (67.3%) observed were in the age category between 30 and 40 years, and dominant numbers (64.7%) were housewive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nd from middle class family background. 2. In the most cases (85%), toilet training was carried out by mothers(including wives who had a job) while more than half of mothers (53.7%) maintained their important motive for the training was "due to having high regard for cleanliness" 3. As for the time of beginning toilet training: finding indicated that starting period was decided (70%) at inconsiderate desertion of each mother. whereas, only minority group (30%) represents the cases where mother started the training when they consider tile child wa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randy. Also greater number (77.7%) started bladder training prior to that of bowel. 4. It is noticeable that in course of training a large number of mothers (48.3%) applied strict training method when the child proper talenting, and the more rigid and strict in tile training. the more malformation of personality of the infant and toddler were seen after the training period (P<0.01). 5. Over the half of the total cases denoted (bowel 54.3%, bladder 67.7%) starting period before one year and in most cases (bowel 79.3%, bladder 729)the training was accomplished within 12 month, and therefore it was noted that earlier start(before 1 year) shortened the training period (with 12 month)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s in both starting period and duration of period in bladder training, however, in bowel training there was a tendency that female started earlier(7-12 months needed, 51.4%) than tile male (13-18 months needed, largest number 41.4%), and also in cases of female the period for needed for training were shorter than the cases of male. 6. Many a number (bowel 50.3%, bladder 97.7%) employed the method of continuous talenting at regular interval in accordance with that of child′s habit formed before training. Equipment used were various kinds, however, pieces of paper for male (45.5%) and piss pot or bedpost (42.3%) for female were common, on the other hand, "Eung-ga" for defecation (52.3%) and "Shii" for the urination (95.3%) were most standard expression that us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 PDF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박과작물의 저항성 (Resistance Degree of Cucurbits Cultivars to Colletotrichum orbiculare)

  • 심선아;장경수;최용호;김진철;김흥태;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71-379
    • /
    • 2013
  •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의한 탄저병은 오이, 수박 및 멜론 등의 박과작물에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박과작물 112개 품종의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각 품종의 2-3엽기 유묘에 C. orbiculare KACC 40809의 포자 농도가 4.0 C $40^5spores/mL$인 포자현탁액을 분무하여 접종하였다. 실험한 36개 오이 품종 중 '아시아스트라이크', '통일백다다기', '대선', '청록맛짱', '녹야청청' 및 '아시아노각' 등 6품종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품종들은 감수성을 보였다. 멜론 및 참외 33개 품종과 수박 4개 품종들은 C. orbiculare에 대하여 모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달리 호박 품종들은 실험한 다른 박과작물에 비하여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호박 17개 품종 중 '감미락단호박'과 '텃밭풋호박'은 저항성을, 12개 품종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박과작물을 위한 대목 22개 품종 중 '쯔야까EX', '눈부셔', '유니온', 'RS111', '강근토좌', '황제토좌', 'NO.8', '신토좌', '불패토좌' 및 '뉴타입' 등 10개 품종은 저항성을 보였고, 4개 품종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선발된 저항성 품종들은 박과작물 탄저병 저항성 육종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관주 접종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 (Convenient Screening Method of Chinese Cabbage for Resistance to Plasmodiophora brassicae Using Soil-Drenching Inoculation)

  • 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9-284
    • /
    • 2010
  • Plasmodiophora brassicae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주 접종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레이스 9인 GN-1 균주를 사용하여 토양 종류, 접종원 농도, 배추 생육시기, 접종 후 배양 기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뿌리혹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혼합토양(원예용 상토:밭 토양=1:1, v/v)과 달리, 원예용 상토에서는 P. brassicae 접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 뿌리혹병 발생도 증가하였다. 접종원 농도는 폿트 당 $4.0{\times}10^8$개의 포자로 접종하였을 때 그리고 접종을 위한 배추는 파종 후 10일 유묘가 적합하였다. 안정적인 발병을 위해서, 접종한 배추 유묘는 3일 동안 $20^{\circ}C$ 생육상에서 하루에 12시간 광을 처리하며 배양한 후 온실($25{\pm}5^{\circ}C$)에서 5주 동안 재배한 후에 병조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확립한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중인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 25종과 감수성 품종3종의 P. brassicae GN-1 균주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모든 저항성 품종들은 뿌리혹병에 대하여 뚜렷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 품종들은 발병도 3.5 이상의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배추의 뿌리혹병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정법임을 알 수 있었다.

고추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an Efficient Bioassay Method to Evaluate Resistance of Chili Pepper Cultivars to Ralstonia solanacearum)

  • 황성민;장경수;최용호;김헌;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34-347
    • /
    • 2017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고추 풋마름병은 고추의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병해 중 하나이다. 그리고 병 저항성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고추의 풋마름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이다. 본 연구는 고추의 풋마름병 저항성을 효율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 6개 고추 품종을 선발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이들 품종의 풋마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접종 방법에 따른 고추 품종들의 풋마름병 발생 정도를 실험한 결과, 상처없이 토양관주하는 방법과 접종원에 뿌리를 침지하는 방법보다 뿌리 절단 후 접종원을 관주하는 방법이 더 간단하고 효율적이었다.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인 'MC4'는 파종 후 21일부터 28일 재배한 고추 유묘에 $1{\times}10^8cfu/ml$ 농도의 세균 현탁액을 포트 당 20 ml 접종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한편 감수성 품종들은 이들 조건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들 결과는 우리가 고추 품종의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방법을 개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선발한 발병조건을 사용하여 시판중인 140개 고추 품종의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효율적인 배추 무름병 저항성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Bioassay Method for Testing Resistance to Bacterial Soft Rot of Chinese Cabbage)

  • 이수민;최용호;김헌;김흥태;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59-169
    • /
    • 2020
  • Pa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에 의한 무름병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특히 온난 다습한 지역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본 연구는 Pcc에 의해 발생하는 배추 무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시판 배추 품종 65개의 Pcc KACC 10225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고, 추후 실험을 위해 저항성에 차이를 보이는 3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이들 3개 품종의 접종하는 배추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접종 후 재배 온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무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로부터 배추의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배추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5℃)에서 21일 동안 재배한 유묘에 Pcc 균주의 세균현탁액(1×107 cfu/ml)을 식물체 기부에 5 ml씩 관주하여 접종하고, 접종한 식물은 25℃ 습실상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25℃, 상대습도 80%의 생육상으로 이동하여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Cucumber Cultivars to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 이지현;김진철;장경수;최용호;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45-252
    • /
    • 2014
  • 본 실험은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덩굴쪼김병의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TS와 TEF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멜론, 참외, 오이 및 수박을 포함한 박과 작물에 대한 기주 특이성 분석을 통해 KR5 균주를 F. oxysporum f. sp. cucumerinum으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덩굴쪼김병균 KR5에 저항성 정도가 다른 오이 네 품종과 오이용 대목 두 품종을 선발하여 유묘의 생육 시기, 뿌리 상처, 접종원 농도 및 접종 후 재배 온도에 따라 이들 여섯 품종의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저항성 품종의 덩굴쪼김병 발병도는 접종 후 재배 온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저항성 품종들은 접종 후에 $20^{\circ}C$보다 $25^{\circ}C$$30^{\circ}C$에서 재배하였을 때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유묘의 생육 시기 중 파종 후 7일된 유묘에 덩굴쪼김병균을 접종하였을 때 가장 큰 저항성과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으로 파종하고 7일 동안 재배한 유묘의 뿌리로부터 흙을 제거하고, 이들을 $1.0{\times}10^6-1.0{\times}10^7$ conidia/ml 농도의 F. oxysporum f. sp. cucumerinum 포자현탁액에 침지하여 접종한 후에 건전한 원예용 상토에 이식하고 $25^{\circ}C$ 생육상에서 3주간 재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당 분해효소를 이용한 백하수오 뿌리로부터 분리한 Pregnane Glycosides의 생전환 (Biotransformation of Pregnane Glycosides from Cynanchum wilfordii Roots by β-Glucosidase)

  • 윤미영;끄엉 마이뉴엔;최경자;최용호;장경수;차병진;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6-193
    • /
    • 2012
  • 생물전환은 친환경적이며 생물이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백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자들은 ${\beta}$-glucosidase를 이용하여 wilfoside C1G의 생물전환을 수행하였다. Wilfoside C1G와 cynauricuoside A(K1G)가 포함된 G 시료로부터 glucopyranosyl moiety를 분해하기 위하여 ${\beta}$-glucosidase를 처리하였다. 효소반응을 통해 wilfoside C1G와 K1G는 각각 wilfoside C1N과 wilfoside K1N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G 시료를 이용한 생물전환의 최적 조건은 에탄올 10%, 1,555 ${\mu}U$ ${\beta}$-glucosidase/ml, pH 5 및 $45^{\circ}C$로 결정되었다. 최적조건을 통해 생물전환을 실시한 후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beta}$-glucosidase에 의해 생물전환된 G 시료는 ${\beta}$-glucosidase가 처리되지 않은 G 시료보다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beta}$-glucosidase를 이용한 생물전환은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있는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기술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유도체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작용 특성 (Biological properties of $\beta$-ketoacetoanilide chlorides against late blight of tomato)

  • 최경자;장경수;김진철;이선우;조광연;남기달;한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4
    • /
    • 2004
  • 페닐기의 4 위치(para)에 치환체가 존재하는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은 선택적으로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살균 활성을 보였다.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5종(KIST163, KIST170, KIST260, KIST263, KIST267)을 선발하여 이들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예방효과, 치료효과, 침투이행성, 약효 지속성 및 성체실험과 같은 약제의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모두는 예방효과를 보였으며, KIST163과 KIST170의 $EC_{50}$은 각각 21.9와 $14.5{\mu}g/mL$로 우수한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들 화합물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치료효과는 거의 없었으며, 토양관주처리 후의 침투이행성에 의한 방제효과는 미미하였다. 접종 7일전에 처리한 KIST163과 KIST170의 $100{\mu}g/mL$는 7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 약효 지속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성체를 이용한 토마토 역병 방제실험에서 5종 화합물 중 특히 KIST163과 KIST170은 방제효과가 높아 $100{\mu}g/mL$에서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유도체 5종은 주로 경엽처리 예방제이며, 이들 중 KIST163과 KIST170은 포장에서도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달개비 병원균인 Pythium myriotylum MD2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 (Use of Pythium myriotylum MD2 to Control Weeds in Rice Paddy Fields)

  • 최경자;황인택;최용호;이병회;김흥태;김진철;이선우;김진원;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39
    • /
    • 2001
  • 물달개비에 병을 일으키는 Pythium myriotylum 균주를 2000년 충청남도 유성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실험실과 온실에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 곰팡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생장적온은 $35^{\circ}C$ 이었다. 또한 $30{\sim}35^{\circ}C$에서 물달개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 등의 논잡초에는 병원성이 강하였으나, 강피에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벼에 대한 생육시기별 및 품종에 따른 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발아 직후의 벼는 생육에 저해를 받았으나 1엽기 이상의 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12 품종의 $3{\sim}4$엽기 벼도 MD2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배추, 옥수수, 콩 등 12종의 작물에 대한 병원성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밀을 제외한 11종의 작물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ythium myriotylum MD2는 1엽기 이상의 벼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으며, 물달개비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일년생 논잡초에 대하여 강한 병원성을 보이고 또한 작물에 대한 영향도 적어서 생물적 방제제로서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