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 of Pythium myriotylum MD2 to Control Weeds in Rice Paddy Fields

물달개비 병원균인 Pythium myriotylum MD2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

  • Choi, Gyung-Ja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Hwang, In-Taek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Choi, Yong-Ho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Lee, Byung-Hoi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Heung-Tae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Jin-Cheol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Lee, Seon-Woo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Jin-Won ;
  • Cho, Kwang-Yun (Screening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최경자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황인택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최용호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이병회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김흥태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김진철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이선우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 김진원 (서울시립대학 환경원예학과) ;
  • 조광연 (한국화학연구소 스크리닝연구부)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An isolate of the indigenous fungus Pythium myriotylum was isolated from Monochoria vaginalis in Yusung, Korea in year 2000 and evaluated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in laboratory and greenhouse. P. myriotylum MD2 grew in a wide range of temperature regimes and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was $35^{\circ}C$. The fungus was highly pathogenic to Monochoria vaginalis at 30 to $35^{\circ}C$. Several weeds such as Rotala, indica, Lindernia procumbens, Ludwigia prostrata, Cyperus difformis, Scirpus juncoides, Aneilema keisak were also susceptible to the fungus, but Echinochloa crus-galli was not. The fungus affected the growth of rice seed germinated, but not to rice seedlings of 1- to 3-leaf stage. A total of 12 rice cultivars (3- to 4-leaf stage) tested showed no disease symptoms when inoculated with the fungus. Eleven crops, including Chinese cabbage, corn, soybean except wheat were immune to the infection of the fungi. These data suggest that P. myriotylum MD2 has a potential as a mycoherbicide to control weeds in paddy fields.

물달개비에 병을 일으키는 Pythium myriotylum 균주를 2000년 충청남도 유성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실험실과 온실에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 곰팡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생장적온은 $35^{\circ}C$ 이었다. 또한 $30{\sim}35^{\circ}C$에서 물달개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 등의 논잡초에는 병원성이 강하였으나, 강피에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벼에 대한 생육시기별 및 품종에 따른 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발아 직후의 벼는 생육에 저해를 받았으나 1엽기 이상의 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12 품종의 $3{\sim}4$엽기 벼도 MD2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배추, 옥수수, 콩 등 12종의 작물에 대한 병원성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밀을 제외한 11종의 작물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ythium myriotylum MD2는 1엽기 이상의 벼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으며, 물달개비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일년생 논잡초에 대하여 강한 병원성을 보이고 또한 작물에 대한 영향도 적어서 생물적 방제제로서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