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and e-Portfolio for Educating Pre-service Teachers)

  • 김홍래;김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3-234
    • /
    • 2008
  • 우수한 초등교사의 양성은 우수한 예비교사 교육을 통하여 성취될 수 있다. 양질의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개인적 요구를 반영하고, 대학 강의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 교과교육에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를 통합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N = 105)은 6회에 걸쳐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그 학습과정을 블로그를 이용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며, 학습 과정과 결과에 관한 경험 및 반성을 반성저널에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의 반성저널은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을 통하여 컴퓨터교과교육에 대한 이해의 증진, 잠재적으로 ICT 활용 능력의 향상, ICT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습득, 그리고 수행평가로써의 e-포트폴리오 경험을 통해 미래의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and policy implications)

  • 박희진;최수진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89-123
    • /
    • 2022
  • 본 연구는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농촌지역 2개 군에 위치한 9개 학교의 교원 1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조차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에 긴박한 지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자료확보의 어려움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학교 한국어교육 자료 개선 및 통합교육 자료 보급, 일반교과 내용의 수정과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한국어교육 전담인력의 육성과 배치를 통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소통지원 방안 마련,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 대책 등의 다문화교육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과학 탐구중심 모의수업 경험이 초등예비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Features)

  • 이인선;조선미;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65-47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xiety to sci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18 pre-service teachers. The pre-post paired t-test design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additi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heir chang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quiry-based peer teaching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reduce their anxiety to science. The findings imply that it is possible to meaningfully chang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when effective strategies are adequately adopted.

  • PDF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Qualitative Study on P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as to Elementary Student Experience)

  • 이종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78-691
    • /
    • 2016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with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o that end, the classe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ere compared through the students with focus on PE class. Practicum is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and there are many related stud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ntributing to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prospective teach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thei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ir practicum,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 less helpful than th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The detail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only focus on the textbook and materials they have prepared. Second,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consider the level of students as they focus on the textbook only. Third, most students find the class of prospective students uninteresting. Fourth,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are unable to help students acquire various functions easily.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es are inadequate. It implies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gain effective teaching skills at their universities (college of education). Prospective teachers should identify their areas of improvement based on their student experience.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ARCS 모델 활용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경험 탐구 (Exploring the experience of AI education platform using ARCS model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성영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99-204
    • /
    • 2021
  • 4차 산업혁명에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해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다양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초등 예비교원들에게도 기존의 소프트웨어교육과 함께 인공지능 교육 역량을 강화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경험과 인공지능 교육 경험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학습 동기를 지속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ARCS 모델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의 학습 동기 유발과 관련된 요소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동기 유발과 지속을 위해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서 요구되는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 과학과 $5{\sim}6$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연구.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ICT to $5{\sim}6$ Grad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 이대형;김홍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78-485
    • /
    • 2004
  • 정보통신기술(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실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실 수업에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국가 주도하고 있는 ICT활용 교육은 교사 중심의 전통적 수업보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ICT활용 능력을 갖추고 이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적, 경험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연수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ICT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예비 교원까지 확대하여 이들의 능력을 계발하고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원양성기판의 교육과정에 ICT 활용교육방법의 도입 및 활용을 촉진하고,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및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Moon Observations and Their Pedagogical Suggestions)

  • 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47-460
    • /
    • 2017
  • This study ask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conduct an inquiry of observing the moon, and analyzed the phenomena observed, difficulties experienc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1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cours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part of the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for about a month and completed personal journals which described the phenomena they observed,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nd the pedagogical suggestions to help elementary students conduct the same inquiry activity.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mostly during the evening or night and that they noticed lunar phases, directions, altitudes, and color and brightness more frequently than other phenomena.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bservation time, lunar phases, directions, and altitudes, and,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suggested a variety of pedagogical ideas about these difficulties. The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included how to help elementary students keep their interest and perform the moon observation for a rather long period of time. Implications for moon investig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and relevant research were discussed.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

  • 유지연;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10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DASTT-C(Drawing-A-Science-Teacher-Test Checklist)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했다. 3개 교육대학을 선정한 후, 과학 심화전공과 비과학 심화전공의 2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1학기 초에, 4학년 학생 183명들을 대상으로 2학기 초에 DASS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과학 심화전공의 경우 2학년 보다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더 학생 중심에 가까웠다. 그러나 비과학 심화전공의 경우에는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DASTT-C 점수 차이가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심화전공과 관계없이 2학년 학생들은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교수 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나,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교육 관련 과목의 내용이나 교수 방식, 교육실습에서의 실제 수업이나 참관 경험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Legal Units)

  • 김성규;공영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11-12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C 교대 초등예비교사 1,096명을 대상으로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인식과 관심, 학년별, 성별, 계열별로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하여 변인별 빈도와 백분율(%)과 교차분석($x^2$)을 산출하여 분석해 보았다. 법정계량단위사용의 시기에 대한 관심은 52.1%가 잘 알지 못하였고, 단위사용에 대한 혼란을 느낀 경험을 60.1% 갖고 있다고 하였다. 시행공포후의 반응에서는 절반이상이 별 달라진 것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법정계량단위 사용의 정착을 위한 노력은 방송매체, 수업시간 그리고 캠페인, 연수의 순으로 습득해야한다고 하였다. 법정계량단위에 대하여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출신별로 지식정도를 알아본 결과로는 길이와, 넓이, 부피, 질량 단위 등은 학년별, 성별 그리고 이과, 문과계열출신별에 관계없이 따른 지식정도는 잘 알고 있었다. 3학년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지식 정도 순서로는 3>4>2>1 순으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교육과정상 단위 관련 과목을 배운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성별의 경우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온도는 남자가 정답을 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여학생은 한 명도 정답을 선택하지 않았다. 시간의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남학생보다 2.7배 이상으로 높았다. 문과, 이과계출신별 지식정도는 부피와, 빛의 밝기는 동일하였고 온도를 제외하고는 예상과 달리 문과 계열출신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특히 광도를 나타내는 SI단위인 '칸델라(cd)'보다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럭스' 단위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 같다. SI 기본단위는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별에 관계없이 잘 모르고 있었다. 또한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유리 및 보조단위를 기준단위와 혼동하여 쓰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단위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처가 제도정착을 지연시키는 한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정부는 제도정착을 위해서 다른 나라의 경우를 거울삼아 하루빨리 정착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 PDF

초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ing Ethics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6-593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기술 윤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 및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에 위치한 6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과학교사 5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1)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수강 경험, 2)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인식, 3) 초중등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3개 영역, 총 35문항(Likert 5점 척도, 선택형, 서술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의 37.4%는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다고 하였으며, 학교를 통해 얻는 비율은 이보다 낮은 23.5%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개설된 과학기술 윤리 관련 강좌를 수강한 비율도 전체의 8.4%에 불과하여 예비과학교사 대상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부재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자신감도 평균 이하(Mean=2.73)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평균 이상(최소값=3.34, 최대값=4.58)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중등 예비과학 교사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가 더 높았다(p<.05). 초중등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초중등 예비과학교사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는 교과목은 과학이 62.4%로 가장 높았으며, 도덕 윤리(29.1%)가 다음으로 높았다. 과학기술 윤리 교육에 효과적인 수업의 형태로는 사례제시(43.5%), 토론 중심의 수업(41.4%)을 선택하였다. 서술형 응답에서도 많은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사례에 대한 토론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