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Legal Units

초등 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이해

  • Received : 2009.05.10
  • Accepted : 2009.06.1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understand the legal Units, focusing on seven basic unit such a 'm', 'm2', 'L', 'kg', 'K', 'cd', 's'.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tudents understand the legal units. The subjects were 1096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Jinju, Gyeongnam.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this research and checked by authority,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ponses to each question were obtained and analysed. The survey was the legal units on interesting, using the experience of confusing a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Korea Government is regulating using traditional measures such as 'pyeong' or 'don' in commercial transactions change to adopt the metric system for as a subsidiary the first of July, 2007. The interesting of the legal units dose not exceed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52.1%. Their were answer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confused of 60.1% in the life. How to do efforts for the settle down of the legal units that answered broadcasting>in class>a campaign>study and training by an academic year in oder. Findings show regardless of academic year, gender and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or the science department all the students knew very well that 'm' '$m^2$', 'L', 'kg' are included in the legal units, compared to the others low percentage of 'K', 'cd' and 's' the legal units. In case of time(s), women has correct answered 2.7 times than man. In case of academic year, except for the third-year students was not to exceed 50%. In case of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or the science department contrary to one's expectations increase of 50% or more correct answer while half the students scored in scienc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seems to thinking separate the legal units with their in university life. Als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the lack of interest on society. Their should be for settle down of the legal units through learning to class in university, newspapers,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of broadcast media's further more by maintenance efforts of the gover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C 교대 초등예비교사 1,096명을 대상으로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인식과 관심, 학년별, 성별, 계열별로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하여 변인별 빈도와 백분율(%)과 교차분석($x^2$)을 산출하여 분석해 보았다. 법정계량단위사용의 시기에 대한 관심은 52.1%가 잘 알지 못하였고, 단위사용에 대한 혼란을 느낀 경험을 60.1% 갖고 있다고 하였다. 시행공포후의 반응에서는 절반이상이 별 달라진 것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법정계량단위 사용의 정착을 위한 노력은 방송매체, 수업시간 그리고 캠페인, 연수의 순으로 습득해야한다고 하였다. 법정계량단위에 대하여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출신별로 지식정도를 알아본 결과로는 길이와, 넓이, 부피, 질량 단위 등은 학년별, 성별 그리고 이과, 문과계열출신별에 관계없이 따른 지식정도는 잘 알고 있었다. 3학년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지식 정도 순서로는 3>4>2>1 순으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교육과정상 단위 관련 과목을 배운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성별의 경우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온도는 남자가 정답을 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여학생은 한 명도 정답을 선택하지 않았다. 시간의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남학생보다 2.7배 이상으로 높았다. 문과, 이과계출신별 지식정도는 부피와, 빛의 밝기는 동일하였고 온도를 제외하고는 예상과 달리 문과 계열출신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특히 광도를 나타내는 SI단위인 '칸델라(cd)'보다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럭스' 단위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 같다. SI 기본단위는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별에 관계없이 잘 모르고 있었다. 또한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유리 및 보조단위를 기준단위와 혼동하여 쓰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단위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처가 제도정착을 지연시키는 한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정부는 제도정착을 위해서 다른 나라의 경우를 거울삼아 하루빨리 정착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