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생의 인식

검색결과 974건 처리시간 0.026초

교사들의 학교홈페이지 활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 Study on Teachers' Acceptance Factors of School Homepage in Elementary Schools)

  • 한광현;장정무;김태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19-132
    • /
    • 2003
  • 학교홈페이지 운영은 학교와 가정의 정보교환을 위한 창구이자 학교교육활동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학교홈페이지의 활성화에 있어 교사의 역할은 어떤 교육주체의 역할보다 중요하다. 초등학교학생들은 아직 가치판단력이 미숙하여 교사의 방향성제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학교홈페이지 활성화는 교사들의 활용의지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홈페이지 활용유무에 따라 교사들이 느끼는 학교홈페이지의 교육활동기여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해 학교홈페이지 운영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홈페이지를 신기술로 가정하고 기술수용모형이라는 신기술확산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홈페이지의 수용 및 확산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교홈페이지의 사용 경험에 따른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과정에서의 놀이성, 주관적 규범, 직무관련성, 자기효능감, 운영경험 등을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정보교육에서의 계산적사고 교육을 위한 언플러그드 컴퓨팅 방법에 관한 고찰 (The Research of Unplugged Computing Method for 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Informatics Education)

  • 한병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6
    • /
    • 2013
  • 컴퓨터과학은 정보처리의 연구, 자동화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연구, 컴퓨터계산의 연구, 자연적 인공적 모두의 정보처리의 연구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과학의 발전에 따라 정보교육의 모습도 변해 왔고, 최근에는 계산적사고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보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계산적사고의 교육방법으로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탐색해 본다. 연구자는 또한 언플러그드 컴퓨팅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고려사항을 교사준비, 교육내용, 교수자원의 측면으로 나눠 살펴본다. 교사준비 측면에서는 교사의 인식전환, 컴퓨터과학 내용의 이해, 학생의 사고 촉진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내용 측면에서는 추상화 수준 설정, 내용 난이도 조절, 내용 심화 및 통합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수자원의 측면에서는 시간관리 및 자료준비 방법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 PDF

워크시트를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 및 환경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 Worksheet on th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s & Behavior)

  • 김순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11-62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 effect of 3 types of environment worksheets used for 5th elementary graders's environmental class on their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behavior. 104 of 5th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A group(35), B group(34) and C group(35) for this study, and to A group, a class used worksheet of the photo taken clean, unpolluted environment, and to B group, a class used worksheet of the photo taken polluted environment and to C group, a class used worksheet of only text without photo were carried out. The worksheet used class was conducted 5 times, and then after the classes, the student's change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behavior by group was put into verification Below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worksheets used for the environment class have incur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s by their types. A. B groups were higher than C group in their post-test environmental perceptions sc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score between A and B groups. Second, the type of worksheet used for environment class represent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he students' environmental behavior. A group was higher than B. C groups in post test environment behavior score, the difference of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represented in environmental behavior between B, C groups. Third, the both types of worksheets of the photo of positive environment and that of negative environment appeared to be effective statistically in changing th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behavior, while the worksheets of the photo of positive environment appeared to be effective statistically in their environmental behavior.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자녀 간식 및 식생활 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 (Parent's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ir Kids' Snacking Behavior and Dietary Life Education)

  • 김유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6-602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behavior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kids' snacking and dietary life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s (N=412) of elementary students from seven provinces, includeing Seoul, Busan, Daegu, Kwangju, Gyungnam, Chungnam, and Kangwon. Kids' snacks consisted mainly of purchased foods rather than homemade foods. Parents' main concerns regarding kids' snacks were nutrition (44.9%), taste (24.3%), and safety (23.5%). Over 50% of parents checked food labels, especially expiration date (96.4%), food ingredients (49.5%), and food additives (33.5%). The snack items frequently provided to kids were fruits (62.8%), milk (55.5%), bread (47.1%), and snack items (23.3%). Parents responded that the amount of their kids' snacking was adequate (47.8%), small (33.7%), or large (18.2%). The results show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regarding the adequacy of kids' snacking, considering that 15.7% and 22.4% of the children ate more and less, respectively, than their daily energy requirement. 76.5% of the parents performed home education regarding their kids' dietary habits, especially on the topics of 'balanced diet' (83.9%), 'healthful food' (53.7%), and 'eating three meals a day' (40.2%). Parents obtained dietary information from TV (65.2%), internet (12.0%), and newspapers (7.0%).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parents perceived their kids' snacking behavior correctly, and considered home-education for their kids' dietary habits positively. However, the information resources were limited, which makes it necessary to develop parents' education programs.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판별모형 개발 (The SMC Model: Identifi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 이선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87-115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의 소득 수준과 다문화 가정환경을 고려하여 선발된 사회적 배려대상 초등학생들 중 음악, 시각예술, 발레 영역에서 예술적 잠재성을 보이는 예술영재를 판별하는 모형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서 개발한 SMC모형은 예술적 기술, 동기, 창의성을 주요 판별 요소로 포함하며 문서 리뷰 및 교사 추천, 예술 영재성 평가, 종합 평가의 세 단계를 통해서 총체적, 영역 일반적 예술 영재성과 세부적, 영역 특수적 예술 영재성을 평가함으로써 아동의 예술적 잠재성을 조기에 인식하고 판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의 효과적인 판별은 숨어있는 다수의 잠재적 예술영재들의 발견을 통해서 예술영재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대시키고 이들의 영재성 계발을 가능하게 하는 후속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초등학생 자녀의 구강보건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및 행동 (Parents'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s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한수진;문혁수;정재연;김영경;이병진;김은경;정혜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7-1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parents and to encourage their actu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oral health program. The authors surveyed parents' awareness and behaviors about the oral health of their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3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irty-five percent of the parents investigated paid a regular visit to a dental clinic. The most common tooth brushing time among them was after dinner, the second was after breakfast, and this was followed by before bedtime and before breakfast 2. Ninety-four percent of the parents responded that prevention is necessary, 92.2% had a plan to visit a dental clinic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60.1% experienced receiving pit and fissure sealants. Ninety-seven percent responded that they did check their children's dental caries. 54.9% checked their children's oral status after tooth brushing. The parents who visit a dental clinic on a regular basis were more likely to check their children's teeth after tooth brushing than those who don't(P<0.05). 3. Eighty eight percent of respondents wanted to keep the fluoride mouth rinse program. 4. It is recommended that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be developed for parents to visit dental clinics on a regular basis, to educate as to the right tooth brushing time, and to check out their children's oral status after tooth brushing.

  • PDF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보건교사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for School Health Educator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 정귀순;안숙희;정은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34
    • /
    • 2003
  •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level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for school health educator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and to compare them, and 2)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b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educators.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33 6th grade students at 37 elementary schools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that students recogniz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tudents' level of recognizing the role expectation was high(M=4.08) and level of the role performance was moderate to high(M=3.50) within range of 1 to 5. The students recognized role expectation greater than role performance. 2. The students' point of view for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for school health educators were related to sev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school health educators. Students' levels of recognizing the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were higher when students were male, healthy, their academic performance was high,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was high,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using school health office was high. With characteristics of School health educators, students' level of appreciating the role expectation was higher when educators were of an older age and had a long career, and when they were fairly satisfied with their job as an educator. Students' level of recognizing the role performance was higher when educators were of a younger age, and had a small number of students at school. This indicates that there exists role conflict on students and implies that the conflict needs to be mediated, and desirable solutions to address the conflict need to be developed by school health educators.

학교구강보건실 설치운영학교 담임교사의 구강보건인지도 및 지지도 조사 (Survey on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and Support of Benefited School Teachers by the Operating Period of Incremental School Oral Health Program)

  • 이정화;전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44-25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담임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 및 구강보건실 관련 태도를 분석하여 구강보건실 발전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지역에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하는 8개 초등학교 담임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학교별, 운영기간별 담임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서 항목별에 따른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대체적으로 단기운영학교에서 구강보건지식과 행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학교별 담임교사의 학교구강보건실 추천여부에서도 선행논문에 비해 추천률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은 학생은 물론 교사들에게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의 올바른 인식 변화와 구강보건지식수준을 높여줄 구강보건교육과 선진국형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의 확대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구성원의 관심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자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otation' by School Level)

  • 한제준;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2-26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실험을 조사하여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자전을 학습하기 위한 실험 9가지를 조사 또는 개발하였으며, 초등 예비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 실험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는 실험 준비가 간단하고 실험 과정이 쉬우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 흥미를 느낄만한 실험을 선택하였고, 중·고등학교는 좀 더 난이도가 높고 다른 개념과 연계될 수 있는 실험을 선택하였다. 대학교는 지식을 응용, 능동적인 탐구, 컴퓨터 활용 능력, 어려운 난이도 등의 이유로 그에 맞는 효과적인 실험을 선택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hibi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Using Storytelling)

  • 이재나;유현경;김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7-114
    • /
    • 2015
  •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록 및 대통령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특수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관련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기록관의 현 과제는 보존과 관리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공유 활용 확산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들에게 대통령기록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에 천착하여,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스토리텔링 전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고, 유아 및 초등학생들의 단체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향후 기록물 수집정책이나 전시기획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